by Jeewon
2022.3.30.
금투자 해야 할까?
금은 투자 상품이라기 보다는 철저히 수요와 공급에 따라 이익이 결정되는 구조이다. 당연히 금에 대한 자원은 한정적이라 금액은 오른다고 생각하지만 , 대체재인 달러의 가격에 따라 많은 영향을 받는 상품이다. 변동성이 심해서 자본시장의 상황에 따라 자산의 비중을 조절해야 한다. 최근 사상 최악의 인플레이션 시기가 다가 오고 있다고 많은 분들이 느끼고 있다. 그래서 주식보다 실물자산의 하나인 골드에 투자를 많이들 생각하고 있다.
인플레이션 헤지의 수단으로 일정 부분 골드를 가져가는것도 시장에 대비하는 한 수단으로 고려해 볼수있다.
금 국제 시세 (USD/T.oz)
1 t.oz = 31.1g = 8.29돈
출처 : samsunggold.co.kr ((TradingView 제공 XAUUSD 차트)
우선 최근 20년간 변동을 보자, 아주 급상승 한걸 알수 있다. 2000년 초에 비해선 거의 7~8배 상승한걸 알수 있다. 하지만 전 최고점 2012년에서 다시 전고점을 지나는 데 10년을 지난걸 알수있다. 따라서 변동성 따라 지키는 자산으로 금액을 조정해야 할것이라 생각이 든다. 다음 차트를 보자.
1 t.oz = 31.1g = 8.29돈
출처 : samsunggold.co.kr ((TradingView 제공 XAUUSD 차트)
1970년대 이후 금에 경쟁수단인 달러가 본격적으로 통용되면서 금에 대한 가격 변화를 보면, 변동성이 굉장히 크며, 정체되는 시간도 아주 극단적일 정도로 10년이상 오랜 시간이 걸린것을 알수 있다. 그래서 금에 대한 투자 접근법은 자산 증식의 수단보다, 자산의 방어수단으로 적정수준을 유지하는게 중요한것으로 생각돤다.
주식과 동일하게 위험자산으로 간주, 전체자산의 10% 내외에서 운영하는것을 추천한다.
골드 ETF
금가격에 연동해서 간단히 투자 할수 있는 방법은 금 ETF를 거래하는것이다. 주식시장에 상장된 금시세를 추종하는 골드 ETF에 투자 하는것이다.
KODEX 골드선물(H)
TIGER 골드선물(H)
KRX 금현물 ETF
KRX 금현물 ETF은 최근에 출시된 신상이며, 골드 선물과 달리 실제 금을 투자하는 ETF로 금으로 교환 가능하다
골드 ETF 비교
현재, 상장되어 있는 상품중 KODEX 골드선물(H), TIGER골드선물(H)은 모두 미국 상품 거래소(COMEX)에 상장되어 있는 금선물 가격에 연동되어 투자 하는 ETF로 원달러 변동에 환헤지를 통해 국제 금가격에 연동되는 상품이다.
항목 | KODEX 골드 선물(H) | TIGER 골드 선물(H) | KINDEX KRX금현물 |
운용사 | 삼성증권 | 미래에셋증권 | 한국투자신탁운용 |
상장일 | 2010.10.01 | 2019.4.9 | 2021.12.13 |
총자산 | 2310억원 | 305억원 | 230억원 |
거래대금 | 1,847백만원 | 225백만원 | 2,847백만원 |
주당가격(22.1.21) | 12,425원 | 13,280원 | 10,950원 |
총보수 | 0.68% | 0.39% | 0.5% |
추종지수 | S&P GSCI Gold Index | S&P GSCI Gold Index | KRX 금현물지수 |
결론
금투자는 인플레이션 발생시 헤지수단으로 자산의 10%내에서 운용한다
금투자는 안전자산이 아닌, 위험자산으로 생각해야 한다
원자재ETF이므로 별도 배당이 없다
연금계좌에서는 골드ETF가 유용하며, 선물보다 금현물 지수 ETF를 고려하여 KRX금현물 ETF를 추천한다.
'투자이야기 > ETF' 카테고리의 다른 글
[미국채]국내상장 미국채ETF (0) | 2022.04.24 |
---|---|
[배당주] 미국고배당 ETF (0) | 2022.04.08 |
[금융ETF] 미국 금융/은행 ETF (0) | 2022.03.25 |
[나스닥100] 국내상장 나스닥100 ETF (0) | 2022.03.12 |
[S&P500] 국내상장 S&P500 ETF 비교 (0) | 2022.03.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