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용어] 테이퍼링이 뭐길래 ? (2021)
테이퍼링이란
Tapering의 사전적 의미는 점점 가늘어지다. 점점 줄이다. 라는 의미이며, 경제학적인 용어측면에서는 단계적, 점진적 양적 긴축, 다시말해 금융의 자산매입 축소를 의미한다.
작년 코로나 사태로 국가적인 경제활동의 위축으로 가계는 소비를 줄이고, 많은 회사들의 도산 위기로 금융위기가 왔다. 이를 타개 하기 위해 미국 정부는 몇가지 방법을 택하게 되는데, 첫째 이자율을 낮춰서 시장의 통화량을 증가시킨다. 또한 이때 막대한 규모의 국가 채권을 매입. 시장 즉 금융권에 돈을 푸는 것이다. 이는 각 회사들에게 간접적으로 돈을 돌게 하는 것이라고 보면 된다. 또 추가적인 방법은 직접적으로 개인들에게 돈을 지급하는 방법이 있다. 이는 재난지원금이란 형태로 미국에서 개인들에게 지속적으로 현금을 지급해왔다. 이러한 정책은 양적 완화 정책이라 한다.
하지만, 시장의 엄청나게 풀린 통화는 경제가 활성화되고 회복에 도움이 된다. 하지만, 결과적으로 돈의 가치를 떨어뜨리게 되고 물가가 오르고 자산 가격(부동산등)이 오르는등 인플레이션이 올수 있다. 그래서 어느정도 양적완화 정책이 효과를 봤다고 생각하면, 정부는 통화량을 줄여야 하는데, 이때 통화량을 줄여나가는것을 테이퍼링이라고 한다.
출구전략 중 하나인 테이퍼링은 지속적으로 사들이던 채권의 규모를 점진적으로 축소하는것을 말한다고 이해하면 된다.
출구전략의 방법은 여러가지이지만 또다른 방법은 은행 이자율을 올리는 것이다. 이자율을 올림으로서 시중에 유통되는 통화량을 축소할 수 있다. 테이퍼링이 직접적으로 금리를 올리는것을 말하는것은 아니다. 시중에 돈을 줄이도록 채권 매입 규모를 줄이는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