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y Jeewon

2023.4.21.

 

금리 인하기에는 채권투자가 유용하며,  자산에 대한 주식과 채권에 대한 분산 투자필요

특히, 현시점에서는 초장기 채권 투자가 유용하다

 

추천 초장기 채권 ETF

채권종류 설명
KBSTAR KIS 국고채30Enhanced
한국채 초장기 채권 ETF상품
KODEX 미국채울트라30년선물(H)
미국채 30년 상품, 환헷지 상품
고환율시 유용한 상품
KOSEF 국고채10
한국채 10년
KODEX 국채 선물 10
한국채 10년 선물

 

KBSTAR KIS국고채30년Enhanced

 

• 국고채권 30년물 3종목에 대해 전체의 30% 규모로 현금 차입(RP매도) , 차입비용 차감 및 차입 자금을 이용한 동일 바스켓 추가 매수(국고채권 30년물 3종목 액면금액 차등 비중)는 상품
  • 현재가 : 72,755 (2023.4.21)
  • 일일거래량 : 11만주
  • 거래대금 : 7,954백만원
  • 시가총액 : 2,365억원
  • 상장일 : 2021.5.
  • 보수 : 연 0.05%
  • 자산운용사 : KB자산운용

 

KODEX 미국채울트라30년선물(H)

 

미국 국채30년물 선물가격을 기초로 하는 S&P Ultra T-Bond Futures Excess Return Index(이하 “기초지수”라 한다)를 기초지수로 하여 1좌당 순자산가치의 변동률을 기초지수의 변동률과 유사하도록 투자신탁재산을 운용함

 

  • 현재가 : 9,010 (2023.4.21)
  • 일일거래량 : 77 만주
  • 거래대금 : 6,970백만원
  • 시가총액 : 2,027억원
  • 상장일 : 2018.9.
  • 보수 : 연 0.3%
  • 자산운용사 : 삼성자산운용

 

KOSEF 국고채10년

 

• 국고채 10년물 3종목을 추종하는 ETF상품. 
 

  • 현재가 : 112,060 (2023.4.21)
  • 일일거래량 : 2.7 만주
  • 거래대금 : 3,070백만원
  • 시가총액 : 4,707억원
  • 상장일 : 2018.9.
  • 보수 : 연 0.05%
  • 자산운용사 : 키움투자자산운용

 

 

KODEX 국채 선물 10년

 

1좌당 순자산가치의 변동률을 기초지수인 10년국채선물지수의 변동률과 유사하도록 투자신탁재산을 운용하는 것을 운용목표로 합니다. 한국거래소가 산출하는 10년국채선물지수는 이 지수는 한국거래소에 상장된 10년국채선물의 최근월물의 가격을 기준으로 비교시점의 선물계약금액을 기준시점의 선물계약금액으로 나눈 값에 배수(1,000)를 곱하여 산출합니다. (기준시점 201112) 10년국채선물은 만기가 10년이고, 표면금리가 연 5%이며 6개월마다 이자가 지급되는 가상의 국고채권 표준물을 그 거래대상으로 하는 선물상품입니다. 10년국채선물지수수에 포함된10년국채선물을 매수하는 방법으로 장내파생상품에 투자하며 현금성 자산 및 채권 등으로 포트폴리오를 구성합니다.

 

 

  • 현재가 : 64,810 (2023.4.21)
  • 일일거래량 : 1만주
  • 거래대금 : 662백만원
  • 시가총액 : 1,093억원
  • 상장일 : 2012.01.
  • 보수 : 연 0.07%
  • 자산운용사 : 키움투자자산운용

'투자이야기 > ETF' 카테고리의 다른 글

[ETF] 미국 고배당 ETF - SCHD  (0) 2023.04.08
[ETF] SOL 미국배당다우존스  (0) 2023.04.07
미국 배당주 ETF 리스트  (0) 2023.03.26
[포트폴리오] RPAR (Risk Parity) ETF  (0) 2022.11.18
[금ETF] 골드ETF 비교  (0) 2022.11.12

by Jeewon

2023.4.8

 

• 미국의 대표적인 고배당 ETF 하나

• 지난 10년간 미국에서 배당을 지속해오고, 실적이 우수한 회사를 보유하는것을 목표로 하며, 다만 리츠계열은 제외한다

• 개별종목은 4% 넘으면 안되고, 포트폴리오에서 sector 25% 넘지 않는다

• 분기별로 리밸런싱

• 총보수 0.06%

• 연평균 3~4%대의 배당수익률을 기록하고 있슴

 

 

현재가 : $72.96

자산 총액 : $46.54B

 

분류는 대형 가치주에 해당 되며, 지난 1년간 수익율은 -2.6%입니다

아래는 spy대비 지난 5년간 성과 비교입니다.거의 유사한 성과를 보이고 있습니다

 

 

 

'투자이야기 > ETF' 카테고리의 다른 글

[230421] 장기채권 ETF  (0) 2023.04.21
[ETF] SOL 미국배당다우존스  (0) 2023.04.07
미국 배당주 ETF 리스트  (0) 2023.03.26
[포트폴리오] RPAR (Risk Parity) ETF  (0) 2022.11.18
[금ETF] 골드ETF 비교  (0) 2022.11.12

by Jeewon

2023.4.7

 

 

• 2022년에 국내 출시된 월배당 ETF

연금저축/펀드에서 투자할수있는 미국 고배당 ETF

• 미국의 대표 배당주 Schwab U.S. Dividend Equity ETF (SCHD)와 동일한 기초지수를 사용

 

기초지수 : Dow Jones U.S. Dividend 100 Price Return Index

• 해당 기초지수는 연평균 약 3% 이상의 배당수익률과 최소 10년의 기간동안 연속적으로 배당을 지급했던 기업들 중 현금흐름, ROE (자기자본수익률), 배당수익률과 5년 배당성장률을 기준으로 상위 100개 종목을 선별

 

• 시가 총액 : 1,200억원

 

• 총보수 : 0.05%

 

'투자이야기 > ETF' 카테고리의 다른 글

[230421] 장기채권 ETF  (0) 2023.04.21
[ETF] 미국 고배당 ETF - SCHD  (0) 2023.04.08
미국 배당주 ETF 리스트  (0) 2023.03.26
[포트폴리오] RPAR (Risk Parity) ETF  (0) 2022.11.18
[금ETF] 골드ETF 비교  (0) 2022.11.12

by Jeewon

2023.3.26

 

* 인기/추천 배당주 ETF

 

ETF 주가($)
(03/24/23)
시가총액($) 설정일 운용보수(%) 배당수익(,%) 배당주기 운용사
JEPI
(JPMorgan Equity Premium Income ETF)
53.26 22.25B 2020.5 0.35 9.24 JPMorgan
QYLD
(Global X NASDAQ 100 Covered Call ETF)
16.92 6.88B 2013.12 0.60 12.09 Global X Funds
VIG
(Vanguard Dividend Appreciation Index Fund ETF Shares)
149.23 63.14B 2006.4 0.06 2.01 분기 Vanguard
SCHD
(Schwab US Dividend Equity)
70.48 45.65B 2011.1 0.06 3.39 분기 Schwab

 

* 월배당 우선주 ETF

 

ETF명 주가($)
(03/24/23)
시가총액($) 설정일 운용보수(%) 배당수익(연,%) 배당주기 운용사
PGX
(Invesco Prefered ETF)
11.10 4.57B 2008.1.31 0.50 6.6 Invesco
PGF
(Invesco Financial Preferred ETF)
14.12 1.05B 2006.12.1 0.55 6.12 Invesco
PFF
(iShares US Preferred Stock ETF)
30.05 12.59B 2007.3.26 0.45 7.51 iShares
PSK
(SPDR Wells Fargo Preferred Stock ETF)
32.77 968.77M 2009.9.16 0.45 6.42 SPDR
PFXF
(VANECK Vectors Preferred Securities EX)
17.02 985.57M 2009.9.16 0.40 4.08 VanEck
FPE
(FirstTrust preferred securities and InC)
15.34 5.36B 2013.2.11 0.85 7.74 FirstTrust

 

*월배당 채권 ETF

ETF명 주가($)
(03/24/23)
시가총액($) 설정일 운용보수(%) 배당수익(연,%) 배당주기 운용사
PCY
(Invesco Emerging Markets Sovereign Debt ETF)
18.90 1.6B 2007.1 0.50 6.68 Invesco
EMLC
(VanEck Vectors JP Morgan EM Local Currency)
24.85 3.26B 2010.7 0.30 5.36 VanEck
SJNK
(SPDR Bloomberg Short Term High Yield Bond ETF)
24.25 3.38B 2012.3 0.40 5.36 SPDR
JNK
(SPDR Bloomberg High Yield Bond ETF)
90.24 6.80B 2007.11 0.40 6.81 SPDR

 

*월배당 회사채 ETF

 

ETF명 주가($)
(03/24/23)
시가총액($) 설정일 운용보수(%) 배당수익(연,%) 배당주기 운용사
VTC (Vanguard Total Corporate Bond) 76.65 958.6M 2017.11.7 0.04 3.36 Vanguard
HYLB (Xtrackers USD High Yield Corporate Bond ETF) 33.79 3.54B 2016.12.6 0.15 5.59 Xtrackers
HYS (PIMCO 0-5 Year High Yield Corporate Bond Index Exchange-Traded Fund) 89.16 1.23B 2011.6.16 0.55 6 PIMCO
SHYG (iShares 0-5 Year High Yield Corporate Bond ETF) 40.80 5.43B 2013.10.15 0.30 6.75 iShares
HYG (iShares iBoxx USD High Yield Corporate Bond ETF) 73.60 13.29B 2007.4.4 0.48 7.33 iShares

'투자이야기 > ETF' 카테고리의 다른 글

[ETF] 미국 고배당 ETF - SCHD  (0) 2023.04.08
[ETF] SOL 미국배당다우존스  (0) 2023.04.07
[포트폴리오] RPAR (Risk Parity) ETF  (0) 2022.11.18
[금ETF] 골드ETF 비교  (0) 2022.11.12
[ETF] ETF vs 펀드  (4) 2022.10.21

by Jeewon

2022.11.18

 

미국시장에는 정말 다양한 ETF상품들이 출시되어있다

국내에서도 현재 많은 다양한 자산의 분산차원에서 개인들이 포트폴리오를 구성하기 위해 자산을 다양하게 나누어 투자를 하고 있다. 최근에는 많은 분들이 들어서 알고 있는 주식, 채권에 분산한다든지, 원자재, 금등에도 자산을 분산하여 리스크를 줄이고 장기적인 꾸준한 수익을 얻고자 포트폴리오 구성이 인기이다.

미국은 이런 포트폴리오를 기준으로 이미 출시된 ETF 상품들이 있으며,

 

주식과 채권 비중으로 출시된 대표적인 ETF상품은 

AOA (iShares Core Aggressive Allocation ETF) - 주식 80% 채권 20%

AOR (iShares Core Growth Allocation ETF)  - 주식 60% 채권 40%

AOM (iShares Core Moderate Allocation ETF) - 주식 40% 채권 60%

AOK (iShares Core Conservative Allocation ETF) - 주식 30% 채권 70%

 

위의 자산포트폴리오에 리스크를 좀더 줄여보자는 취지에서 자산군을 주식, 채권 뿐아니라, 원자재와 금에 나누어 투자하는 대표적인 유명한 올웨더 포트폴리오가 있으며, 그에 대한 상품이 이미 출시되어 있다

RPAR ( Risk Parity ETF) - 올웨더 포트폴리오

 

RPAR 이란

 

• 브릿지워터사의 레이달리오의 올웨더포트폴리오를 ETF 구현한 상품

주식, 미국채권, 원자재(금포함), 물가연동채로 자산을 구성한 상품 

• 리스크 최소화를 목표로 한다

경제 성장기 동안 플러스 수익을 창출하고, 경기 침체 동안 자산을 최대한 유지하고, 인플레이션이 기간 동안  실물 가치수익률을 유지를 목표로 한다

 

 

상품 Summary

 

출처 : https://investion.com

자산규모 : $1.07 Billion

현재가 : $18.63

최근 1년간 수익률 : -26.04%

보수 : 0.5%

 

타상품과 수익 비교 그래프

 

아직 상품이 나온지 몇년되지 않아 장기간 비교를 하긴 어렵지만, 1년이나 출시후 수익그래프를 비교해볼수 있다

 

출처 : 구글파이낸스

 

지난 1년간의 성과를 보면 SPY/AOR과 비교해보면 RPAR ETF가 오히려 수익률이 더 떨어지는것을 볼수있다. 리스크 관리를 하는 포트폴리오인데도 오히려 더 떨어지는 모습에 당황할수 밖에 없을듯 하다. 그 이유를 찾아 보자면, 최근 인플레이션 상황에서 주식도 반토막나고 채권도 반토막이 나서 두개 자산을 투자하는 AOR이 더 좋지 않은 수익을 보여야 겠지만, RPAR 오히려 좋지 않은 모습을 보여야 하지만, RPAR의 상품투자 방식을 조금 이해해보자면, 내부적으로 채권에 대한 레버리지를 투자하고, 또한 단기채보다는 장기채권에 집중되어 있다보니, RPAR이 최근 1년이 가장 않좋은 사이클을 보이고 있는것 같다

출처 : https://rparetf.com/rpar

상품소개 홈페이지 가보면, 최근 1년간 자산들의 성과를 보여주고 있다. 모든 자산이 큰 손실을 보이고 있으며, 채권투자에 대해 레버리지로 투자하다보니, 주식의 거의 두배 가까이 수익이 떨어진 것처럼 보인다

 

 

 

상품구성

 

상품의 상세 비율은 아래와 같으며, 주식 25%, 원자재 15%, 금 10%, 채권 35%, 물가연동채 35%로 투자 되고 있는것을 알수 있으며, 다만 합이 100%가 아닌 120%인 이유는 채권에 대한 레버리지 투자 20%정도 오버되어 있다고 보면된다

출처 : https://rparetf.com/rpar

 

수익성 경향

 

아래는 상품보고서에 상품 출시이후 시기별 수익을 구분해서 표시해주고 있다. 코로나로 인한 panic 시기에는 상당한 리스크 방어가 된것을 알수있다. 그러나 21년 초반, 경제 rebound시기에 거의 모든 주식들이 20%이상의 수익을 보여주던 시기에 상대적 박탈감을 보여주고, 최근 금리인상기에는 오히려 더 큰 손실을 보여주고 있다.

 

 

RPAR의 변동성 최소화

 

RPAR은 자산군의 분산으로 주식만 투자 했을 때 나올수있는 변동성을 보다 부드럽게 , 분산을 줄이는 방향으로 상품구성을 했다고 소개하고 있으며, 장기적인 추세에서는 주식과 비슷하게 평균적인 수익을 추종하도록 소개 되어 있다

출처 : https://rparetf.com/rpar

 

결론적으로 아직 상품이 출시된지 얼마되지 않은 검증받지 않은 상품이지만,

레이달리오의 올웨더포트폴리오에 대한 믿음을 가지고, 5년이상 장기간 꾸준히 투자하고, 개인이 그때그때 리밸런싱하기에는 어렵다고 생각할 경우 개별주식이아니라, 주식시장에 중간이상 성적을 내고자 한다면, 추천하는 상품이라고 할수있다

'투자이야기 > ETF' 카테고리의 다른 글

[ETF] SOL 미국배당다우존스  (0) 2023.04.07
미국 배당주 ETF 리스트  (0) 2023.03.26
[금ETF] 골드ETF 비교  (0) 2022.11.12
[ETF] ETF vs 펀드  (4) 2022.10.21
[미국고배당] Tiger 미국S&P500배당귀족  (2) 2022.10.02

by Jeewon

2022.11.12.

 

국내 금에 대한 투자는 현물 투자 외에 ETF로 투자하는 방법이 있다.

국내 상장되어 있는 골드 ETF는 3가지 종류가 있다

 

금ETF에 대한 설명은 아래를 참조하세요

https://webbie.tistory.com/20

 

KINDEX KRX 금현물 은 ACE KRX 금현물로 상품명이 변경되었다

 

Kodex 골드선물(H)/ Tiger 골드선물(H)  vs ACE KRX 금현물

 

두 상품의 큰차이는 ACE KRX 금현물 ETF는 금현물가를 직접 추종한다. Kodex 골드선물(H)/Tiger 골드선물(H)는 직접적인 금현물 투자가 아니라 S&P GSCI Gold Index 추종하는 선물에 투자 하는 상품이다. 그래서 Kodex 골드선물(H)/Tiger 골드선물(H)는 선물 특성상 금 시세를 바로바로 반영하지 못한다

 

 

ACE KRX 금현물은 KRX 금시세를 추종하고 골드선물 ETF는 S&P GSCI Gold Index를 추종하는 모양새를 볼수 있다. 원래 금 값을 추종하기 때문에 동일하게 차트표가 나타나야 하지만 두개의 인덱스 지수가 다른것을 알수 있다. 국제 금시세는 달러기준으로 많이 하락하였지만, ACE KRX 금현물 가격은 상대적으로 높은 가격을 유지하는것을 볼수있다. 이는 최근의 달러 대비 고환율의 영향으로 원화로 표시되는 금시세는 떨어지지 않은 것으로 생각된다.

 

자산 배분 차원에서 금을 투자 하고자 하는 경우 금 시세를 선물에 비해 바로바로 반영하는 ACE KRX 금현물 ETF가 적절한 시세를 반영하는것 같다. 하지만, 단순한 금시세가 아닌 환율도 상대적으로 반영되니까, 이 부분은 유념할 부분으로 생각된다. 지금처럼 달러대비 원화가 쌀 경우는 지금 처럼 상대적으로 금지수가 높은가격을 보이지만,  원화가 비쌀경우는 금시세의 하락폭이 더 커질수 있다.  

 

 

'투자이야기 > ETF' 카테고리의 다른 글

미국 배당주 ETF 리스트  (0) 2023.03.26
[포트폴리오] RPAR (Risk Parity) ETF  (0) 2022.11.18
[ETF] ETF vs 펀드  (4) 2022.10.21
[미국고배당] Tiger 미국S&P500배당귀족  (2) 2022.10.02
[단기채] 단기채권 ETF  (0) 2022.09.23

by Jeewon

2022.10.21.

 

주식 초보자들은 직접적인 주식 투자 대신에 간접 투자로 펀드에 대한 투자, ETF에 투자로 나눌수 있다. ETF에 대한 투자와 펀드 투자에 대해 지난 과거동안의 통계를 보면 다음과 같다

 

시중 펀드 상품의 과거 5년 수익률

수익률 구분 상품갯수 비율
수익률 10% 이상 90개 14.0%
수익률 5 ~ 10% 146개 22.7%
수익률 0 ~ 5 % 347개 53.9%
수익률 0% 미만 61개 9.5%

 

수익률을 보면, 5년이상 상품인 경우, 과반수이상의 펀드상품이 5% 미만의 수익률을 보이고 있다. 펀드의 경우 장기간 투자할수록 수익률이 전체적으로 떨어진다는것을 보여준다고 볼수있다

 

펀드 상품과 ETF간의 차이를 보면

구분 ETF 펀드 설명
연간 수수료 평균 0.1% 평균 2%  
투자주체 시스템 펀드매니저 ETF는 추종지수를 만들어 자동으로 매매를 하여 지수를 따르도록 구성됨
하지만, 펀드의 경우 펀드매니저의 역량에 따라 매수/매도를 결정한다
구매 임의 매수 임의 매수/ 자동적립 ETF는 주식을 매매 하듯이 개별 매매를 진행해야 하지만, 펀드는 구매할수있는 방법이 임의로 매수하거나 매달 자동 적립을 선택할수있는 다양한 구매 방법이 있다
투자보고 개방적 부분적 폐쇄 ETF는 일반 주식처럼 매일매일 거래량, 매매가, 투자종목, 동향등을 언제든 확인할수있지만, 펀드는 분기별/연도별 정도로면 전체적인 거래규모, 투자종목을 확인 할수있다
목표 지수추종 지수를 이기자  

 

개인적으로는 5년이상 장기투자의 경우, 수수료 측면이나 투명성측면에서는 ETF가 유리하다고 볼수 있다. 

다만, 매달 적립식으로 ETF를 꾸준히 시장에 흔들리지 않고 구매를 해야 제대로 된 효과와 수익을 누릴수 있다고 볼수있다

하지만, 사실상 매달혹은 주기적으로 꾸준히 구매할만큼 부지런하지 못하다면, 또한 시장에 흔들리지 않을 자신이 없다면 인기있거나 정통의 강호라 불리는 유명 펀드를 선택해서, 꾸준히 자동 적립을 해서, 잊는것이 가장 좋을것 같다. 다만, 펀드는 3~5년 정도가 적정 투자기간이라 생각되므로 펀드의 규모나 수익성 변동성, 매니저가 변화된다면 유사한 성격의 다른 펀드로 갈아탈것을 권장한다

 

상품 ETF 펀드
어떤 사람이 투자 ● 부지런하고, 뚝심있는  사람
 - 매달/주기적으로 일정금액을 계속적으로 매매할수 있는 사람
 - 시장이나 주변 유혹에 흔들리지 않고 정해진 액수를 투자할 수 있는 사람
약간은 게으르고,  선택에 망설이는 분

- 펀드에 매달 일정액을 투자할수있는분 
- 한번 Go, 정하면, 잊고 본업에 충실할수있는분
어떻게 투자 ● 매달 혹은 2~3개월단위로 일정 금액씩 무조건 매수
● 가급적 시장에 투자 (예, 미국S&P, KOSPI200)

● 처음 약정시 매달 적립식으로 가입
● 전통의 강호 종목에 투자
  - 성장주, 가치주등 각 Sector에서 유명한 상품 위주로
권장 투자 목표 기간 최소 5년이상 3 ~ 5년
선정 기준 자산 규모
수수료
5년이상 갈수있는 트랜드를 가질것
자산규모
펀드매니저
신탁회사
유의할 점 ● 매년 시장 트랜드를 확인 후 선택한 ETF가 문제가 있는지 확인할것
 
● 분기별 실적 보고서를 반드시 체크하여, 자산규모가 갑작스럽게 변화가 있거나, 펀드매니저가 변경될 경우 유의해서 지켜볼것
● 선택한 펀드가 유사펀드에서 실적순위가 크게 변화가 있는지 확인할것 (morningstar, funddoctor등에서 확인)

 

'투자이야기 > ETF' 카테고리의 다른 글

[포트폴리오] RPAR (Risk Parity) ETF  (0) 2022.11.18
[금ETF] 골드ETF 비교  (0) 2022.11.12
[미국고배당] Tiger 미국S&P500배당귀족  (2) 2022.10.02
[단기채] 단기채권 ETF  (0) 2022.09.23
[ETF] 신한Sol 미국 S&P500  (0) 2022.08.27

by Jeewon

2022.10.02

 

- 미국 주식을 주된 투자대상자산으로 하며, “S&P 500 Dividend Aristocrats 지수(원화환산)”를 기초지수로 하여 1좌당 순자산가치의 변동률을 기초지수의 변동률과 유사하도록 투자신탁재산을 운용함을 목적으로 한다


- “S&P 500 Dividend Aristocrats 지수(원화환산)”는 S&P Dow Jones Indices LLC에서 발표하는 지수로서, 미국 주식시장 상위 500개 기업으로 구성된 S&P500 지수 종목을 대상으로 배당금을 최소 25년 연속 증가시켜 온 40개 이상의 기업으로 구성된 지수입니다.

 

기본 상품 소개

 

 

현재 기준가 : 10,000원 (2022/09/30 기준)

운용회사 : 미래에셋자산운용

총보수 : 0.25%

순자산총액 : 약 190억원

설정일 : 2022.05.16

일일 거래량 : 259백만원

 

차트

2022년 5월에 상품이 구성되었으며, 5개월간 운영되었으며, 최근 시장 분위기 때문에 좋은 성과는 내지 못하지만

지금 같은 장에서 버틸수 있는 고배당주로 구성되어 있다고 볼수있다

 

구성종목

 

기초지수 - ProShares S&P500 Dividend Aristorats ETF

 

지난 1년간 S&P500 지수와 비교하면 시장이 좋지 않을때 변동성이 작은것을 알수있다. 

 

 

정리

 

- 연금계좌에서 투자할수있는 미국 고배당 ETF

- 시장이 안좋을때 변동성을 어느정도 제한적으로 운용할수 있다

- 아직은 신생상품이니 본인이 국내상장 S&P ETF에 투자하고 있다면, 일부 비율로 투자하여 1년이상 투자해본후, 결정할것 

'투자이야기 > ETF' 카테고리의 다른 글

[금ETF] 골드ETF 비교  (0) 2022.11.12
[ETF] ETF vs 펀드  (4) 2022.10.21
[단기채] 단기채권 ETF  (0) 2022.09.23
[ETF] 신한Sol 미국 S&P500  (0) 2022.08.27
[체크포인트] ETF 점검사항  (2) 2022.08.21

by jeewon

2022.09.23.

 

세계적인 불황이다. 각국의 미친듯한 물가상승으로 극심한 인플레이션을 겪고 있는중이다. 그래서, 하루하루가 다르게 금리가 인상중이다. 금리가 하루가 다르게 상승중이라, 장기채권가격이 지속적으로 하락중이다.

그래서, 대개 잔존만기 1년 이하의 채권을 담고 있는 단기 채권에 자금이 몰리고 있다. 이는 단기 채권이 금리 상승에 따른 자산 가격 변화가 크지 않다는 장점이 있어, 금리 인상기에 이자 수익 등 단기적 이익을 노릴 때 주로 투자되고 있다. 금리와 채권 가격은 반대로 움직여서, 채권에 장기투자는 이시기에 삼가하게 된다

 

대표적인 단기 채권 ETF상품은 다음과 같다

 

상품명 운용사 총보수 시가총액
(억원)
연수익 설명
KODEX KOFR금리액티브 삼성운용 0.05 28,405 0.56
(3M)
KOFR 지수를 비교지수
TIGER 단기채권액티브 미래운용 0.07 6,130 1.19 국채, 특수채, 산금채, 중금채, 은행채, 회사채 등의 국내 채권 전체 섹터에 분산 투자
TIGER 미국달러단기채권액티브 미래운용 0.30 5,958 20.08 안정형 자산인 미국 달러 현물 채권에 투자하는 해외채권 ETF
KBSTAR 단기통안채 KB운용 0.13 5,229 0.97 잔존만기 10개월 이내의 한국은행 통화안정증권 10개 종목으로 구성해 지수를 산출
KODEX 단기채권 삼성운용 0.15 14,065 0.79 1년미만 단기 통안채 국고채 투자
KBSTAR 단기국공채액티브 KB운용 0.07 777 0.39 MMF, CMA 처럼 자유로운 환금성&안정적 수익률 추구(듀레이션 0.65)



'투자이야기 > ETF' 카테고리의 다른 글

[ETF] ETF vs 펀드  (4) 2022.10.21
[미국고배당] Tiger 미국S&P500배당귀족  (2) 2022.10.02
[ETF] 신한Sol 미국 S&P500  (0) 2022.08.27
[체크포인트] ETF 점검사항  (2) 2022.08.21
[ETF] 국내 물가연동 채권 ETF  (0) 2022.07.22

by Jeewon

2022.08.27.

 

국내증시에 상장된 미국 S&P500 지수를 추종하는 ETF가 이미 시장에 다양하게 출시되었다. 최근 신한 자산 운용에서 S&P500을 추종하는 ETF를 출시하였다. 그이름 Sol 미국 S&P500 ETF이다

 

상품에 대한 정보는 기본적으로 금융투자 협회에서 확인할수있다

 

 

현재 기준가 : 11,581.79원 (2022/08/26 기준)

운용회사 : 신한자산운용

총보수 : 0.05%

순자산총액 : 약 270억원

설정일 : 2022.06.17

 

총보수는 0.05%이나 기타 비용은 금융투자협회에서 확인해볼수 있다

 

 

기타비용은 0.15%, 총보수는 0.05%

총비용 = 총보수 + 기타비용

그래서 총비용은 0.2%이다

 

 

신한 자산운용에서 기술한 내용중 본상품의 특징을 기술한 내용이 있다. 타 운용사의 제품과 틀린 내용은 최초로 월 배당을 한다는 얘기이다

 

 

 

대표상품 TIGER S&P500 와 비교하면 아래와 같다

 

상품명 TIGER 미국 S&P500 SOL 미국 S&P500
주관사 미래에셋자산운용 신한자산운용
현재가 (22.8.26) 14,020 11,720
시가총액 1400억원 270억원
거래대금(백만원) 9,795 1,142
총보수(%) 0.07 0.05
기타비용(%) 0.08 0.15
운용개시일 2020.08 2022.06.21
배당주기 분기별 월별

 

결론적으로 얘기하면, 아직 시가총액이나 보수면에서는 좀더 지켜봐야 하는 상품이지만, 장기 투자후 국내에서 미국지수 투자를 통해 월배당을 받을수 있는 유일한 상품으로 볼수 있다

 

향후, 월배당 수입을 위해 일정부분 유지해볼수있는 상품이라 할수 있다

'투자이야기 > ETF' 카테고리의 다른 글

[미국고배당] Tiger 미국S&P500배당귀족  (2) 2022.10.02
[단기채] 단기채권 ETF  (0) 2022.09.23
[체크포인트] ETF 점검사항  (2) 2022.08.21
[ETF] 국내 물가연동 채권 ETF  (0) 2022.07.22
[TDF] TDF ETF  (0) 2022.07.03

by Jeewon

2022.08.21

ETF

우선 ETF에 대해 왜 ETF를 투자해야 하는지 알고 싶다면 아래 링크를 참조바랍니다.

 

왜 ETF에 투자해야 하는가 ?

 

여기서, 간략히 ETF의 특징을 말하자면

 

* 특정 지수 또는 가격의 수익을 추종하는 인덱스 펀드

* 거래소에 상장되어 주식계좌를 통해 거래 가능

* 구성종목과 수량 등은 자산 구성내역을 통해 공개

* 1좌를 거래할 수 있는 최소한의 금액만으로 분산투자 효과를 누릴 수 있음

* 펀드보다 운용보수가 낮고 주식에 적용되는 거래세도 붙지 않음

 

ETF 내용 점검

 

아래 사이트에서 기본적인 사항은 확인 가능하다

http://finance.daum.net 

http://finance.naver.com

 

점검할 포인트

중요한 아래 네가지 포인트에서 확인이 필요하다

 

  • ETF 가격정보 - 가격, 일일거래대금, 시가총액등
  • 주요 자산 구성
  • 총보수
  • 벤지마크 대비 괴리율

 

가격 정보 - 현재가, 거래량, 거래대금, 시가총액, 수익율

 

시가총액과 거래량이 충분히 큰 상품일수록 안정적인 ETF라고 할수 있다.

 

주요 자산구성

주요 자산 구성을 통해 , 해당 ETF를 통해 투자 하는 종목과 비율을  확인할수 있다

 

 

상품개요 확인 - 기초지수 , 총보수, 자산 운용사

 

추종 벤치 마크 지수

 

벤치마크 지수 대비 괴리율을 확인하여, 얼마나 충실히 투자가 이루어지는지 확인할수있다

 

추가로, 숨겨진 보수 총비용

앞서 얘기한 총보수를 얘기하였지만, 금융사에서 얘기하지 않은 숨어있는 비용이 있다. 공식적인 보수외에

기타 비용이 있다. ETF를 운영하는데, 종목을 매수하는데, 괴리율을 보정하는데 등등 금융기관이 해당 ETF를 유지하기 위해 드는 숨겨진 비용이 있으며 이는 네이버, 다음에서 확인이 불가하다. 금융투자협회 홈페이지에서 ETF 상품명을 입력하면, 운용사가 공식적으로 공지한 총비용에 대한 비율이 조회된다

 

금융투자협회 

 

투자협회 홈페이지 가서 상품명을 클릭 , TER을 조회하면 됩니다

'투자이야기 > ETF' 카테고리의 다른 글

[단기채] 단기채권 ETF  (0) 2022.09.23
[ETF] 신한Sol 미국 S&P500  (0) 2022.08.27
[ETF] 국내 물가연동 채권 ETF  (0) 2022.07.22
[TDF] TDF ETF  (0) 2022.07.03
[인플레이션] 인플레이션 시대에 투자 ETF  (0) 2022.04.30

by Jeewon

2022.07.22

 

그동안 국내에는 물가연동채권은 있었지만, ETF 상품은 없었다. 미국은 다양한 ETF가 있으며 물가연동 대표 ETF로 TIPS가 있다. 인플레이션이 심한 지금 시기에 특별히 헤지수단으로 적절한 상품을 찾기 쉽지 않다. 당연히 물가가 상승할것이라 물가에 연동된 물가 연동 채권에 투자하면 어느정도 헤지 되지 않을까 생각하는 와중에 국내에 ETF 상품이 나왔다.

 

KOSEF 물가채KIS

 

물가연동국채에 투자하는 국내 최초 ETF

국내 물가연동국채는 소비자물가지수(CPI)에 연동된 만기 10년물 국채로 2년에 한 번씩 발행되며 해당 채권에 투자하는 ETF 상품이다

 

지금 시세 현황은 아래와 같다

나온지 몇개월 되지 않아 아직 거래량과 거래대금은 크지 않다. 하루 거래량이 7/22 기준 330주, 거래대금은 33백만원이라고 보면 된다. 

 

시가 총액은 100억규모로 크지 않은 규모로 판단하면 되겠다

 

최초 상장일은 22.5.30 이며, 총보수가 0.15% 로 조금 높은편이다

 

개인적인 의견은 본인의 포트폴리오 구성상 일부 채권에 투자 하고 있다면, 채권비중에서 일부는 물가연동 채권 ETF에 넣어서 인플레이션 헤지로 활용하는것이 좋을것 같다

'투자이야기 > ETF' 카테고리의 다른 글

[ETF] 신한Sol 미국 S&P500  (0) 2022.08.27
[체크포인트] ETF 점검사항  (2) 2022.08.21
[TDF] TDF ETF  (0) 2022.07.03
[인플레이션] 인플레이션 시대에 투자 ETF  (0) 2022.04.30
[미국채]국내상장 미국채ETF  (0) 2022.04.24

by Jeewon

2022.07.03

 

TDF(Target Date Fund)

 

근로자의 은퇴 날짜에 맞춰 주식과 채권 비중을 조절하여 운용하는 펀드

타겟데이트에 맞춰 2030, 2040, 2050과 같이 은퇴날짜를 펀드이름에 같이 명기되어 있다

연령, 은퇴시기에 따라 위험자산과 안전자산의 비중이 자동으로 조정되기 때문에 효율적인 자산 관리가 가능

 

유의사항

 

국내에 활성화된 지 오래되지 않아 장기간 수익률을 통계적으로 보여주지 못하고 있다.

 

ETF 출시

 

기존 Active fund형태로 출시되던 상품이 대거 ETF로 출시되었다

주식처럼 실시간으로 거래할수 있다

Fund 비해 운용보수가 싸다

 

ETF 출시 상품

 
상품명 운용사 총보수
ARIRANG TDF2030 / 2040 / 2050 / 2060액티브 한화자산운용 0.2%
KODEX TDF2030 / 2040 /2050 액티브 삼성자산운용 0.2%
히어로즈 TDF2030 /2040 / 2050 액티브 키움투자자산 0.3%

 

주요 자산 구성

분류 구분 한화자산운용 삼성자산운용 키움투자자산운용
위험자산 선진국주식 KODEX 선진국 MSCI
미국 S&P500
Vanguard European ETF
IShares MSCI Canada ETF
JPM BetaBuilders Japan
VANGUARD S&P 500 ETF
iShares S&P500 Index Fund
SPDR S&P500 ETF



JPM BetaBuilders EU
IShares MSCI Japan index
IShares MSCI Australaia INDX
신흥국주식 ISHARES CORE MSCI EMERGING
ARIRANG 200
ISHARES CORE MSCI EMERGING ISHARES CORE MSCI EMERGING
글로벌주식 IShares MSCI World DTF iShares Core Dividend Growth ETF
VANGUARD HIGH DVD YIELD ETF
IShares Global
안전자산 한국국채 Arirang 국채선물10년 KODEX 국채선물10년
KODEX 종합채권
KODEX 장기종합채권
KODEX 국고채3년
KINDEX 단개채권PLUS
 
신흥국국채 IShares JP MORGAN USD EMERGING    
선진국국채 IShares International Treasure BOND ISHARES US REAL ESTATE ETF JPM US AGG BOND ETF
글로벌      
현금 원화 원화예금 원화예금
USD 예금
      맥쿼리인프라

 

by Jeewon

2022.04.30

 

인플레이션이 최대 화두이다. 코로나 시기를 거치며, 자본이 시중에 엄청나게 흘러들었고, 또한,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으로 인한 원자재 상승, 미연준의 금리 인상 기조. 모든게 복잡한 시기 이다. 이것저것 복잡한 시황을 고려하고 예측하려면 힘들다. 이때는 잠시 투자를 멈추는 것도 한 방법이다. 아니면, 자본을 투자할  상품에 대해 알아보자

 

   전통적으로, 인플레이션 헤지 수단으로 인정받고 있는 상품이다. 인플레이션이 오면 당연히 돈의 가치가 하락하고, 각종 자산 가격들이 폭등하고, 물가도 오르게 된다. 이때는 돈과 달리 금은 그 자체로 가치를 인정하는 경향이 있어서, 금은 인플레이션 환경에서 시중 유통되는 돈에 비해 그자치가 지속적으로 상승하게 된다.

 

금에 대한 투자 방법

실물 금 투자 (KRX 금시장)

 증권사에서 현물 금계좌를 개설후 투자. 실제 금을 거래. 거래시 양도소득세 면제, 부가세 할인의 혜택이 있다. 세금측면에서 가장 유리

 

금 ETF 투자

증권사에 주식시장에 상장된 금 ETF를 주식 거래하듯이 투자, 거래측면에서 가장 편리.

대표적인 상품은 KODEX 골드선물(H), TIGER 골드선물(H), KINDEX KRX 금현물

 

골드뱅킹 

은행에서 골드 계좌를 개설, 실제 골드로 사서 은행에 투자. 인출시 실제 금으로 인출가능. 수수료가 가장 비쌈

 

원자재

 

인플레이션으로 물가도 상승하고 각종 원자재 가스, 곡물, 광물등의 가격도 폭등하며, 원자재에 투자 하기 편한 방법은 원자재 관련 기업 주식을 직접 사거나, 원자재 ETF에 투자하거나, 원자재 펀드에 투자 하는 것이다

 

채권

 

인플레이션 환경에서는 채권 투자가 쉽지 않다. 왜냐하면 각국의 통화 정부들이 물가 안정화를 위해 금리를 올리는 경향이 있다. 인플레이션이 심해질수록 고금리로 정책을 유지한다. 하지만, 그림가 오르게 되면 문제가 각국의 채권 가격이 하락한다. 채권 가격이 하락하는 이유는 앞으로 국가에서 팔게될 채권들이 점점 높은 금리로 팔릴것이라, 현재의 채권은 점점가치가 떨어져서 투자자들은 보유하고 있는 채권들 팔고, 새로운 채권을 구매하려 할것이다. 그래서 채권가격은 하락한다. 이런경우 채권에 대한 투자는 장기채권은 가급적 비중을 줄이거나 매도를 하고 빠른 시장대응을 할수 있는 단기채권에 집중하는게 유리하다

그래서, 인플레이션 환경에서는 1~2년 짜리 단기채, 회사채를 추천

 

부동산 

 

물가가 오르고, 현금가치가 떨어지게 되면 당연히 자산가치는 상대적으로 비싸진다. 부동산은 자산에 해당하므로, 부동산은 현금에 비해 그 가치를 인정받게 된다. 그래서 보유한 부동산은 점점 가치가 상승한다. 

이경우 부동산에 대해 추천하는 투자는 인프라, 리츠 ETF나 펀드 투자를 추천

 

 

'투자이야기 > ETF' 카테고리의 다른 글

[ETF] 국내 물가연동 채권 ETF  (0) 2022.07.22
[TDF] TDF ETF  (0) 2022.07.03
[미국채]국내상장 미국채ETF  (0) 2022.04.24
[배당주] 미국고배당 ETF  (0) 2022.04.08
[금ETF] 국내 골드 ETF  (0) 2022.03.30

by Jeewon

2022.04.24

 

미국채 투자는 언제?

 

주식은 변동성과 위험성이 크다. 그래서, 자산에 상당부분 주식에 투자를 하더라도, 가급적 주식과 반대의 수익성을 가지는 채권이 대표되는데, 그중 가장 안정적인 모양새를 나타내는것이 미국채로 많이 평가하고 있다. 특히 국내주식에 대한 투자가 많을경우, 반드시 미국채를 일정부분 가지고 있는것이 어느정도 안정성을 가져갈수 있다.

 

미국채 투자는 꾸준히 일정 부분 비율을 유지하는게 좋다

 

국내 상장 미국채 ETF 종류는 ?

 

미국주식시장에 직접 투자하기 번거롭거나 힘든경우 국내에 상장되어있는 미국채 ETF에 투자 하면 된다

 

  KODEX 미국채울트라
30년 선물(H)
KODEX 미국채 10년선물 Tiger 미국채 10년선물 Tiger 달러단기액티브
종가(22.4.22) 10,275 11,210 11,400 10,590
평균거래대금 338백만원 106백만원 570백만원 1,843백만원
시가총액 257억원 157억원 821억원 3,103억원
자산운용사 삼성자산운용 삼성자산운용 미래에셋자산운용 미래에셋자산운용
총보수 0.3% 0.09% 0.29% 0.3%
특징 30년 장기미국채
환헤지 상품
10년 장기 미국채 10년 장기미국채 1년이하 미국채권

 

가급적 환헷지보다 달러에 직접투자하는 것이 좋으며, 

장기 미국채는 KODEX 미국채 10년 선물

지금처럼 채권금리가 지속적으로 상승하는 경우는 Tiger 달러단기액티브 투자하는게 좋은 방법으로 생각 되며,

장기 투자 관점에서는 장기 국채 + 단기국채를 6:4 나 7:3 비율로 투자하는것이 바람직해보인다

'투자이야기 > ETF' 카테고리의 다른 글

[TDF] TDF ETF  (0) 2022.07.03
[인플레이션] 인플레이션 시대에 투자 ETF  (0) 2022.04.30
[배당주] 미국고배당 ETF  (0) 2022.04.08
[금ETF] 국내 골드 ETF  (0) 2022.03.30
[금융ETF] 미국 금융/은행 ETF  (0) 2022.03.25

by Jeewon

2022.04.08

배당주 ETF를 투자 하는 이유

 

배당주는 비교적으로 안정적인 수익을 내는 종목으로 간주되며, 일정한 주기로 현금을 제공한다. 그러나, 개인이 각종목을 선정하기는 쉽지 않아서, 고배당주를 지속적으로 평가하고 일정한 잣대에 따라 종목들을 선정, 주기적으로 일정한 현금흐름을 가질수 있도록 ETF에 투자하는 방법이 가장 적절하다고 볼수있다

 

  • - 일반적인 주식보다 안전성을 가진 주식으로 간주
  • - 주식처분없이 일정한 현금 수입을 주기적으로 가질수 있다
  • - 종목선정은 각 ETF별로 정해진기준에 따라 자동 조절해준다

미국 배당주 ETF 장점

 

배당금이 한국보다 많다

분기 혹은 월배당을 받을수 있는 상품이 많다

대체로 주가 변동성이 작은 주식이어서, 주가 방어 수단으로 일부 활용가능하다

 

미국 배당주 ETF 단점

 

일반적으로 배당주는 변동성이 작아서, 성장성이 작아서, 주가수익률은 크게 기대하기 어려울수있다

기대할수있는 배당 수익율은 평균 2~7% 사이이다

해외 주식 수익에 대해서는 연 250만원 이상의 수익에 대해서는 15.4%의 소득세를 내야 한다

 

대표 ETF 비교

 

티커/명칭 SCHD VIG VYM DGRO QYLD SPHD
상장년도 2011 2006 2006 2014 2013 2012
운용사 찰스 스왑 뱅가드 뱅가드 블랙락 글로벌X 인베스코
총자산($) 31B 64B 42B 22B 6B 3B
운용보수 0.06 0.06 0.06 0.06 0.6 0.3
1년배당수익율 2.83 1.53 2.69 1.94 11.27 3.65
배당주기 분기 분기 분기 분기
총수익율
(5년, %)
79.72 82.79 47.69 77.82 -9.52 20.05
특징 가장 인기 있는 배당주 ETF 가장 규모가 큰 배당주 ETF 고배당 ETF 중 가장 규모가 큰 ETF S&P 500과 비견되는 높은 주가성장률과 더불어 높은 배당률 초고배당 ETF 저변동성 + 고배당 ETF

 

SPY ETF와 수익률 비교(5년)

 

 

미국 배당주 추천

 

주가 성장성과 자산규모, 배당율을 고려했을때 SCHD가 안정적이라고 생각된다.

구성종목도 누구나 아는 쉬운 종목으로 구성되어 있는 강점이 있다.

 

by Jeewon

2022.3.30.

 

금투자 해야 할까? 

 

금은 투자 상품이라기 보다는 철저히 수요와 공급에 따라 이익이 결정되는 구조이다. 당연히 금에 대한 자원은 한정적이라 금액은 오른다고 생각하지만 , 대체재인 달러의 가격에 따라 많은 영향을 받는 상품이다. 변동성이 심해서 자본시장의 상황에 따라 자산의 비중을 조절해야 한다. 최근 사상 최악의 인플레이션 시기가 다가 오고 있다고 많은 분들이 느끼고 있다. 그래서 주식보다 실물자산의 하나인 골드에 투자를 많이들 생각하고 있다.

 

인플레이션 헤지의 수단으로 일정 부분 골드를 가져가는것도 시장에 대비하는 한 수단으로 고려해 볼수있다.

 

금 국제 시세 (USD/T.oz)

 

 

1 t.oz = 31.1g = 8.29돈

 출처 : samsunggold.co.kr ((TradingView 제공 XAUUSD 차트)

 

우선 최근 20년간 변동을 보자, 아주 급상승 한걸 알수 있다. 2000년 초에 비해선 거의 7~8배 상승한걸 알수 있다. 하지만 전 최고점 2012년에서 다시 전고점을 지나는 데 10년을 지난걸 알수있다. 따라서 변동성 따라 지키는 자산으로 금액을 조정해야 할것이라 생각이 든다. 다음 차트를 보자. 

 

1 t.oz = 31.1g = 8.29돈

 출처 : samsunggold.co.kr ((TradingView 제공 XAUUSD 차트)

1970년대 이후 금에 경쟁수단인 달러가 본격적으로 통용되면서 금에 대한 가격 변화를 보면, 변동성이 굉장히 크며, 정체되는 시간도 아주 극단적일 정도로 10년이상 오랜 시간이 걸린것을 알수 있다. 그래서 금에 대한 투자 접근법은 자산 증식의 수단보다, 자산의 방어수단으로 적정수준을 유지하는게 중요한것으로 생각돤다.

 

주식과 동일하게 위험자산으로 간주, 전체자산의 10% 내외에서 운영하는것을 추천한다.

 

골드 ETF

 

금가격에 연동해서 간단히 투자 할수 있는 방법은 금 ETF를 거래하는것이다. 주식시장에 상장된 금시세를 추종하는 골드 ETF에 투자 하는것이다.

KODEX 골드선물(H)

TIGER 골드선물(H)

KRX 금현물 ETF

 

KRX 금현물 ETF은 최근에 출시된 신상이며, 골드 선물과 달리 실제 금을 투자하는 ETF로 금으로 교환 가능하다

 

골드 ETF 비교

 

현재, 상장되어 있는 상품중  KODEX 골드선물(H), TIGER골드선물(H)은 모두 미국 상품 거래소(COMEX)에 상장되어 있는 금선물 가격에 연동되어 투자 하는 ETF로 원달러 변동에 환헤지를 통해 국제 금가격에 연동되는 상품이다.

 

항목 KODEX 골드 선물(H) TIGER 골드 선물(H) KINDEX KRX금현물
운용사 삼성증권 미래에셋증권 한국투자신탁운용
상장일 2010.10.01 2019.4.9 2021.12.13
총자산 2310억원 305억원 230억원
거래대금 1,847백만원 225백만원 2,847백만원
주당가격(22.1.21) 12,425원 13,280원 10,950원
총보수 0.68% 0.39% 0.5%
추종지수 S&P GSCI Gold Index S&P GSCI Gold Index KRX 금현물지수

 

결론

금투자는 인플레이션 발생시 헤지수단으로 자산의 10%내에서 운용한다

금투자는 안전자산이 아닌, 위험자산으로 생각해야 한다

원자재ETF이므로 별도 배당이 없다

연금계좌에서는 골드ETF가 유용하며, 선물보다 금현물 지수 ETF를 고려하여 KRX금현물 ETF를 추천한다.

by Jeewon

2022.03.25

 

금융 및 은행 ETF

 

최근 금리가 올라서 금융주에 많은 관심이 생기고 있다. 그래서, 이런 시기에 미국내에 상장되어 있는 금융 및 은행 ETF 를 소개한다. 

 

어떤 ETF가 있을까 ?

일정 자산이상이 되는 ETF를 골라서 리스트 하면 다음과 같다

Ticker Name 총보수(%) 총자산($) 거래량
($)
배당율 특징
XLF Financial Select Sector SPDR Fund 0.12 45.9B 2.91B 1.52 S&P 500 금융주 지수를 추종하는 ETF
KRE SPDR S&P Regional Banking ETF 0.35 4.41B 939M 2.43 미국 전체기업 지역은행을 선정한 ETF
KBWB Invesco KBW Bank ETF 0.35 2.94B 115M 2.37 미국 대형은행과 투자 은행을 포함한 ETF
IAT iShares U.S. Regional Banks ETF 0.41 1.19B 15M 2.68 미국의 초대형은행을 제외한 중소형 지역은행

 

1. SPDR S&P Regional Banking ETF (KRE)

미국 은행주 ETF 가장 큰 규모의 ETF
미국 전체 기업 지역은행을 선정
운용수수료 0.35%, 연간배당률 2.4%
중소형주 위주의 지역은행주

2. Invesco KBW Bank ETF (KBWB)

미국 은행주중 2번째로 규모가 ETF
미국 대형은행과 투자은행을 포함한 ETF
운용수수료 0.35%, 연간배당률 2.3%
대표 종목은 JP모건, BOA, 웰스파고, 시티그룹
 

3. iShares U.S. Regional Banks ETF (IAT)

미국의 중소형 은행주를 모아놓은 ETF
KRE 비해 소형주에 노출됨
운용수수료 0.41%, 배당률 2.6%

 

4. Financial Select Sector SPDR Funds (XLF)

 

'투자이야기 > ETF'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배당주] 미국고배당 ETF  (0) 2022.04.08
[금ETF] 국내 골드 ETF  (0) 2022.03.30
[나스닥100] 국내상장 나스닥100 ETF  (0) 2022.03.12
[S&P500] 국내상장 S&P500 ETF 비교  (0) 2022.03.11
[고배당ETF] 국내 고배당 ETF  (0) 2022.02.26

 

by Jeewon

2022.03.12.

 

나스닥 100

 

국내 주식시장은 대형주 중심의 KOSPI시장 소형 및 기술기업 중심의 KOSDAQ 시장 있다. 이와 마찬가지로 미국도 대형주 중심의 S&P 시장 기술주 중심의 대표적인 나스닥 주식시장 있다. 그중 NASDAQ시장은 많은 사람들이 알고 있듯이 혁신적인 기업들이 많이 소속되어 있어, 변동성이 큰시장이다. 대표적인 종목들이 애플, 마이크로소프트, 어도비, 테슬라 등이 있다. 이런 첨단 기술주에 한꺼번에 투자 하고 싶다면, NASDAQ 100지수를 추종하는 ETF 투자하면 되며, 국내시장에서는 국내 상장된 나스닥100 ETF을 추종하는 ETF 투자 하면 된다.

 

역시, 주관사마다 각 비용과 자산규모에 대해가 다르며, 해외 달러 계좌에서 직접 투자하기 힘들때, 특히 연금계좌에서 미국 주식시장에 투자하기에 더 없이 좋은 상품이라고 볼수있다.


다만 여기서는 선물, 인버스 제품은 제외하고 비교한다.

 

국내 나스닥100 ETF 비교

(2022.03.11)

상품 TIGER
미국나스닥100
KODEX
미국나스닥100TR
KINDEX
미국나스닥100
KBSTAR
미국나스닥100
주관사 미래에셋자산운용 삼성자산운용 한국투자신탁운용 케이비자산운용
현재가() 74,995 11,030 11,043 12,500
시가총액 19700 3,100 3,600 1,900
거래대금(백만원) 12,584 4,299 1,371 2,359
총보수(%) 0.07 0.05 0.07 0.021
총비용(%)
(총보수+기타비용)
0.19 0.16 0.18 0.18
운용개시일 2010.10 2021.04 2020.10 2020.11
특징
배당금재투자
 

 

역시, ETF 상품을 판단하는 가장 중요한 기준은 역시 시가총액/거래대금 과 총비용이라고 보면 된다. 자산규모는 역시 Tiger미국나스닥100이 압도적으로 규모도 크고 거래량도 많다고 볼수있다. 그리고 보수측면에서는 KBSTAR 가 최근에 나온 상품이라 가장 적은 0.021%이지만 역시 숨겨져 있는 기타비용이 있다. 기타 비용을 포함한 총비용을 비교 하면 4가지 상품 모두 0.16~0.19% 로 큰 차이가 없다 할수있다.

 

그럼 어느상품을 ?

 

그래서, 최종 투자는

 

적립식이든 거치식이든 배당금까지도 모두 신경안쓰고 장기 투자 하고 싶다 --> KODEX 미국나스닥100TR

안정적으로 투자 하고, 배당금을 중간중간에 투자나 생활비로 활용하고 싶다 --> TIGER 미국나스닥100

'투자이야기 > ETF' 카테고리의 다른 글

[금ETF] 국내 골드 ETF  (0) 2022.03.30
[금융ETF] 미국 금융/은행 ETF  (0) 2022.03.25
[S&P500] 국내상장 S&P500 ETF 비교  (0) 2022.03.11
[고배당ETF] 국내 고배당 ETF  (0) 2022.02.26
[ETF] ETF를 투자해야 하는 이유  (0) 2022.01.31

by Jeewon

2022.08.28

 

미국의 대표적인 S&P 주식시장을 추종하는 ETF가 있다. 국내상장된 S&P 500 지수를 추종하는 ETF도 있으며, 주관사마다 각 비용과 자산규모에 대해 알아보자. 해외 달러 계좌에서 직접 투자하기 힘들때, 특히 연금계좌에서 미국 주식시장에 투자하기에 더없이 좋은 상품이라고 볼수있다.

 

다만 여기서는 선물, 인버스 제품은 제외하고 비교한다.

 

(2022.08.28 기준)

상품명 TIGER
미국S&P500
KODEX
미국S&P500TR
KINDEX
미국S&P500
KBSTAR
S&P500
ARIRANG
미국S&P500(H)
SOL
미국S&P500
주관사 미래에셋자산운용 삼성자산운용 한국투자신탁 KB자산운용 한화자산운용 신한자산운용
현재가 14,020 12,410 14,130 12,235 17,880 11,720
시가총액 1400억원 3400억원 5300억원 1300억원 430억원 270억원
거래대금(백만원) 9,795 1,918 1,052 451 238 1,142
총보수(%) 0.07 0.05 0.07 0.021 0.3 0.05
기타비용(%) 0.08 0.13 0.1 0.43 ? 0.15
운용개시일 2020.08 2021.04 2020.08 2021.04 2017.05 2022.06
특징   배당금재투자     환헤지상품 월별배당

 

운용보수측면에서는 KBSTAR가 제일 유리해보인다. 하지만, 숨어있는 기타비용이 있다. 대체로 자산규모가 클 경우에 유리하다. 그래서 가급적 총보수가 큰차이가 없을때는 대체로 자삭규모나 거래규모가 큰 제품을 고르는것이 유리하다. 현재 기술된 상품들은  총보수가 ARIRANG 상품을 제외하고는 0.1% 이내여서 크게 차이가 나지 않아 보인다.

 

각 상품별 총 비용 = 총보수+ 기타 비용 이며, 이를 감안하면, KBSTAR 상품이 무려 0.45%이다.

 

총비용은 다음과 같다. 

TIGER = 0.15%

KODEX = 0.18%

KINDEX = 0.17%

KBSTAR = 0.45 %

SOL = 0.2%

 

비용측면이나 하루 거래 대금 측면에서 TIGER S&P500제품이 가장 좋은 선택으로 보인다. 

 

투자하고서 배당금까지도 신경안쓰고 자동투자 되고 싶다 --> KODEX미국 S&P500 TR

거래량이나 규모면에서 안정적으로 투자하고 싶다 --> TIGER 미국 S&P500

 

다만, 월배당을 고려하면  SOL 미국 S&P500 ETF도 매력 있는 상품으로 생각된다. 최근 거래규모를 고려하면 꽤 인기 있는 상품으로 보인다

 

SOL 미국 S&P500상품에 대해 더 자세히 알고 싶으면 아래 링크를 조회해보면 알수 있다

 

SOL 미국 S&P500상품 

by Jeewon

2022.02.26

고배당 ETF

 

국내 고배당 ETF 종목을 알아보자. 국내 ETF 열풍은 작년부터 높아졌지만, 배당에 대해서는 아직 국내 상장주들

배당은 해외 시장에 비해서는 아직 많이 야박한 수준이다. 하지만, 배당주를 고르기는 미래의 불확실성 때문에

국내 인기있는 고배당 ETF 종목들을 알아보자

 

거래량순으로 상위 5 종목들

ARIRANG 고배당주
KODEX 고배당
KOSEF 고배당
TIGER 코스피고배당
KBSTAR 고배당
 

ARIRANG 고배당주

 - 시가총액 상위 200종목 중에서 60 평균 거래 대금이 5 억원 이상인 종목

 - 예상 배당수익률이 높은 상위 30 종목을 선별

(다음금융 제공)

 

구성종목

고배당 특성상, 산출 기준으로 뽑다보니, 금융주 위주로 구성되어 있다.

 

(다음금융 제공)

배당지급

 

연 3~4% 배당 이익을 기대할 수 있다. 지금까지 4%내외로 연 1회 지급되었다

 

(한화자산운용 제공)

 

by Jeewon

2022.01.31.

ETF란 ?

 

ETF(Exchanged Traded Fund)는 특정 지수의 성과를 추적하도록 자동화 하여 해당하는 펀드를 거래소에 상장시켜 주식처럼 거래할 수 있게 한 펀드를 말합니다. 그래서 상장지수펀드라고 부르며, 인덱스 펀드와 주식 거래의 장점을 모두 갖추도록 설계한 상품입니다. 

 

ETF 투자를 해야 하는 이유

 

개별 펀드 매니저의 역량에 의존하지 않고 따르는 기초지수에 대한 투자가 자동화 되어 있습니다.

 

ETF종류에 따라 추종하는 기초지수는 종류가 많으며, 대표적인 것으로 국내의 경우 국내 주식시장의 KOSPI시장에 상장된 종목중 상위 200종목을 기초지수로 하는 KOSPI 200지수를 추종하는 상품이 대표 적인 ETF이며,  KODEX200, TIGER200, KBSTAR200 등이 있습니다. 그리고, 특정 산업군에 투자하는 IT, 금융, 바이오, 헬스등에 투자하는 ETF등도 있습니다. 또한, 특정 금, 석유, 은, 구리 등 원자재에 투자하는 ETF, 채권에 투자하는 ETF등 종류는 다양하며, 해당 종목군에 자동으로 매매하며, 해당 기초지수를 따라가도록 되어 있습니다. 그래서, 일반 펀드처럼 주관적인 판단에 따르지 않고 현재 시장의 추세를 자연스럽게 따라간다고 보면 됩니다. 

 

일반 주식형 펀드 보다 운용보수가 낮습니다.

 

매니저가 특별히 관리하는것이 아니여서, 시스템적으로 자동으로 운용되므로 일반 펀드에 비해 상대적으로 운용비가 적게 들며, 특별한 시황분석등이 필요하지 않습니다. 일반 펀드처럼 매니저나 특정팀이 운영하지 않으며, 시스템적으로 자동으로 운용되어, 운용보수가 상대적 저렴 합니다. 그래서, 장기적인 투자 관점에서 수수료가 적게 든다고 볼수있습니다.

 

일반 펀드 대비 투자비용이 낮아, 소액으로 투자가능합니다.

 

일반 펀드는 일정규모 이상의 투자나, 이익을 가져가기 위해 가입시 펀드 종류에 따라 최소 가입금액, 최소투자 금액등 여러조건이 있을 수 있습니다. 그러나, ETF에는 주식시장에 상장된 주식과 동일하게 매매 되므로 개별주식에 투자하는것처럼 개인이 직접 소액으로 매매가 가능합니다. 

 

일반 주식처럼 거래가능하므로 원하는 시점에 원하는 수량만큼 매매 가능합니다.

 

또한 ETF는 주식으로 상장되어 있으므로 주식과 마찬가지로, ETF 종목의 시장 참여자들의 공급과 수요에 따라 언제나 시장에서, 원하는 만큼 매수, 매도를 할수있습니다. 

 

1주만 매수해도 지수를 구성하는 모든 종목에 투자하는것과 유사한 효과를 낼수 있습니다.

 

ETF의 가장 큰 장점은 ETF 주식자체가 지수를 추종하는 상품이므로, 1주를 사더라도 ETF가 추종하는 지수를 구성하는 모든 종목에 투자하는것과 동일한 효과를 가집니다. 예를 들어 KODEX 200을 1주만 사더라도 KOSPI 시장에 상장된 상위 200종목을 비율에 따라 투자하는것입니다.

 

ETF의 구성종목, 보유비중, 보유수량, 가격이 실시간으로 공개 됩니다.

 

펀드는 분기별 결산, 혹은 연말결산등 특정 시점에 결산보고서를 통해 투자 종목, 투자금액, 비율 , 자산 총액등을 알수 있지만, ETF는 시장에 상장되어 있으므로 실시간으로 현재가, 자산총액, 현재 투자 종목, 매매 규모를 실시간으로 확인가능하며, 현재 개인이 매매 규모나 전략을 짜기에 적당합니다. 

 

다양한 종류의 상품이 있습니다.

 

앞서 얘기한것 과 같이 ETF는 정말 다양한 종류가 상장되어 있어, 본인이 투자하고 싶은 분야에 골라서 투자 할수 있습니다.

 

추종 지수 대표 상품 상세 설명
국내 시장지수 KODEX 200
TIGER 200
KODEX MSCI Korea TR
TIGER MSCI Korea TR
KBSTAR 200
주식시장의 상장 지수를 추종하는 상품
 예)  KOSPI200, KOSDAQ150, MSCI지수등
국내 업종/테마 KODEX 삼성그룹
TIGER 2차전지테마
KODEX 2차전지산업
TIGER TOP10
TIGER 200IT
특정 섹터, 산업군, 테마에 투자하는 상품
 예) 삼성그룹, 2차전지산업, 자동차, IT, 메타버스, 은행, 반도체등
국내 파생 상품 KODEX 200선물인버스2X
KODEX 레버리지
KODEX 인버스
KODEX 코스닥150레버리지
KODEX 코스닥150선물인버스
선물과 같은 파생상품이나, 인버스상품에 투자하는 상품
해외 주식 TIGER 차이나전기차SOLACTIVE
TIGER 미국나스닥100
TIGER 미국 S&P500
TIGER 미국테크TOP10INDXX
TIGER 미국필라델피아반도체
해외 주식시장 지수나, 산업군에 투자하는 상품
예) 중국전기차, 미국S&P, 미국나스닥, 선진국MSCI지수, 베트남등
원자재 KODEX 골드선물(H)
KODEX WTI원유선물(H)
KODEX 은선물(H)
TIGER 원유선물Enhanced(H)
TIGER 농산물선물Enhance(H)
원재재에 투자하는 상품
예) 골드, 원유, 은, 농산물, 구리, 은, 팔라듐 등
채권 KODEX 단기채권
KODEX 종합채권(AA-이상)액
TIGER 단기통안채
KODEX 단기채권PLUS
KBSTAR 단기통안채
채권에 투자하는 상품
예)  국고채, 기업채권, 물가연동채 등
기타 TIGER CD금리투자(합성)
TIGER 미국MSCI리츠(합성H)
KODEX TRF3070
KODEX 미국달서선물
TIGER KIS부동산인프라채권TR
리츠, 포트폴리오구성, 배당주 등에 투자하는 상품

 

ETF는 정말 좋은점 밖에 없을까요?

 

ETF는 위에 열거된 여러장점도 있지만, 상품자체의 자산총액규모에 따라 원활한 매매의 제한이 있을 수 있습니다. 또한 여러종목에 분산투자하는 측면이 있으므로, 집중적인 투자를 통해 단기간 고수익과는 거리가 멀며, 장기간에 걸쳐 꾸준한 수익을 목표로 해야 합니다. 하지만, 원자재, 선물등에 투자하는 상품은 접근성이 좋지만, 쉽게 수익을 내기는 어렵다고 볼수있습니다

그래서, ETF투자할때는 일정규모 이상, 가급적 시장에 투자할수있는 상품위주로 투자하는것이 좋다고 볼수있습니다.

'투자이야기 > ETF' 카테고리의 다른 글

[S&P500] 국내상장 S&P500 ETF 비교  (0) 2022.03.11
[고배당ETF] 국내 고배당 ETF  (0) 2022.02.26
[달러]국내상장 달러 ETF  (0) 2022.01.14
[ETF] 코스피(KOSPI) ETF  (0) 2022.01.13
[ETF] 메타버스 ETF - 미국편  (0) 2022.01.06

국내 상장된 달러 ETF 종류

 

국내 상작된 ETF은 3가지로 구분할수 있다. 1년이하 단기 채권에 투자하는 Tiger 미국 단기 달러 채권 액티브, 미국달러 선물에 투자하여 달러 지수를 추종하는 ETF로 KODEX 미국달러선물, KOSEF 미국 달러 선물 , 3가지 상품이 있다.

 

달러 ETF 비교

 


Tiger 미국 달러 단기채권
액티브
KODEX 미국 달러 선물 KOSEF 미국 달러선물
현재가()
(2022.4.15)
10,445 10,815 12,835
일일 거래대금 899백만원 753백만원 66백만원
시가총액 3,083억원 876억원 362어원
기초지수 KIS U.S. TREASURY BOND 0-1Y지수 미국달러선물지수 미국달러선물지수
상장일 2019.07.22 2016.12.26 2011.02.03
보수 0.3% 0.25% 0.37%
자산운용 미래에셋자산운용 삼성자산운용 키움투자자산운용
특징 1년이하 미국채투자
 

 

그럼 어느 상품에 투자 ?

 

순수 달러강세를 생각해 달러에 투자, 보수를 고려하면 KODEX 미국 달러 선물 상품에 투자 하며 되겠다.

다만, 금리 상승기나, 연금 계좌에서는 달러 선물이 투자가 안되므로 미국 달러 단기 액티브 에 투자 하면 될것 같다

'투자이야기 > ETF' 카테고리의 다른 글

[S&P500] 국내상장 S&P500 ETF 비교  (0) 2022.03.11
[고배당ETF] 국내 고배당 ETF  (0) 2022.02.26
[ETF] ETF를 투자해야 하는 이유  (0) 2022.01.31
[ETF] 코스피(KOSPI) ETF  (0) 2022.01.13
[ETF] 메타버스 ETF - 미국편  (0) 2022.01.06

by Jeewon

2022.01.13.

 

KOSPI ETF

 

한국시장을 대표하는 KOSPI 시장, 대표 ETF

 

아무래도 한국의 주식시장은 KOSPI와 KOSDAQ으로 나뉘지만, 포함된 회사들의 자본규모, 투자규모는 KOSPI 시장이 메이저 규모라고 보면 된다. 작년한해 KOSPI시장의 대표 종목들을 모아서 투자하는 ETF가 많은 관심을 받은것 같다. 앞으로 한국시장이 전쟁, 천재지변이 발생하지 않는한 절대 망하지 않을 주식시장에 투자한다고 생각하면 아주 좋은 투자처 라고 볼수있다.

 

각 증권사들의 대표적인 ETF라고 볼수 있을것입니다. KODEX200,  TIGER200,  KBSTAR200, KINDEX200, KOSEF200,  ARIRANG 200, HANARO 200 이 각 증권사들이 내놓고 있는 상품이다.

 

ETF 기본정보 (2022.1.13)

 

상품명 KODEX
200
TIGER
200
KBSTAR
200
KINDEX
200
ARIRANG
200
HANARO
200
KOSEF
200
운용사 삼성자산 미래에셋
자산
KB자산 한국투자신탁 한화자산 NH아문디
자산
키움투자자산
시가총액(원) 5.72 조 2.16 조 1.12조 0.68 조원 0.74조 0.75조 0.59조
기초지수 KOSPI 200
상장일 2002.10.14 2008,.4.3 2011.10.20 2008.9.25 2012.1.10 2018.3.30 2002.10.14
운용보수 0.15% 0.05% 0.017% 0.09% 0.04% 0.036% 0.13%
기타보수 0.01% 0.02% 0.025% 0.02% 0.02% 0.02% 0.02%
총보수

(천만원투자시,원)
0.16% 0.07% 0.042% 0.11% 0.06% 0.056% 0.15%
16000원 7000원 4200원 11000원 6000원 5600원 15000원
주가(원)
(2022.1.13)
39,270 39,770 39,890 40,070 40,405 39,765 39,730

 

어떤 상품을 투자해야 할까?

 

자산규모는 KODEX 200이 전통의 강호라고 볼수 있습니다. 그래서 오랜시간 많은 자본이 몰렸으나, 최근 ETF의 열풍으로 각 자산운용사들의 경쟁으로 수수료율이 많이 들 떨어져서, 유사 상품들에도 자본이 몰리고 있습니다. 그래서 삼성자산이 운용하는 KODEX 200은 운용보수가 가장 비쌉니다. 그래서 꾸준히 적립식으로 사고자 한다면, 자산규모도 고려하고, 운용보수도 고려하면 KB자산의 KBSTAR 200이 1조 규모이상에서는 보수측면에서 가장 유리하다고 생각이 듭니다. KB자산은 작년부터 아주 공격적으로 운용상품을 내놓는듯 합니다.  1000만원 투자시 1년간 총보수는 KODEX200은 1만6000원, TIGER 200은 7천원, KB자산은 4200원 이 든다고 볼수있습니다.

 

KOSPI 시장 주가변동 과 KOSPI 200의 주식 변동

 

그럼 각 상품이 담고 있는 상품은 차이가 있을까?

 

배당금재투자를 하고 싶다면

 

조금 더 다르게 투자 하고 싶다면

2020.1.6.

by Jeewon

 

메타버스 투자 열풍

 

메타버스가 이슈 입니다. 작년부터 모든 IT, 디지털업계의 단연 키워드는 메타버스였습니다. 메타버스를 나타내는 키워드는 가상현실, 클라우드, 증강현실 등이라고 할수 있으며, 앞으로 어떤 형태로 더 발전되고 사람들에게 다가올지는 아주 많은 회사에서 실험적으로 청사진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대표 상품

그래서, 메타버스에 투자하고 싶은 투자자들은 진짜 옥석같은 회사들을 고르기 쉽지 않습니다. 그래서, 많은 지표나 근거를 가지고 메타버스관련 업체들에 투자 하는 ETF가 하나의 대안이 될수 있다고 봅니다. 그래서 현재, 메타버스에 투자하는 ETF는 현재 미국증시에는 두개이며 각각  '라운드힐 볼 메타버스'(Roundhill Ball Metaverse)'파운트 메타버스'(Fount Metaverse)가 있습니다. 티커(종목코드)는 각각 META, MTVR 입니다.

 

META는 세계 최초의 메타버스 ETF 이며, 운용규모는 약 8억달러이며, 엔비디아, 로블록스, 마이크로소프트, 메타 플랫폼(구 페이스북) 이 있습니다.

MTVR는 로보어드바이저로 유명한 투자자문서 파운트가 만든 ETF 이며,  애플, 메타 플랫폼, 구글, 유니티 등이 담겨 있습니다. 

 

 

상품 비교

 

ETF 명 Roundhill Ball Metaverse Fount Metavers
상장일 2021/06/29 2021/10/27
운용규모(천,$) 932,841 13,987
현재금액($, 2022.1.9) 14.24 22.63
보수율 0.75% 0.70%
보유주식종목수 44 51
구성종목 8.35% NVIDIA 
8.26% META PLATFORMS (구,페이스북)
6.75% ROBLOX CORP
6.69% MICROSOFT
5.10% UNITY SOFTWARE
4.52% SNAP 
4.07% TSMC
3.90% APPLE
3.77% AMAZON
3.75% AUTODESK
15.02% APPLE 
6.47% META PLATFORMS (구,페이스북)
5.61% Alphabet Inc Class A
2.98% PearlAbys Corp
2.69% Kakao Games
2.45% The Walt Disney 
2.36% Oriental Land Co Ltd
2.24% Unity Software
2.22% Sega Sammy Holdings Inc
2.20% Roblox Corp
기초자산 Ball Metaverse TR USD Fount Metaverse TR USD
선정기준 메타버스를 지원하는 7가지 요소를 글로벌하게 사업영역에 포함하고 있는 업체를 메타위원회에서 선정
1. Compute
2. Networking
3. VR
4. 상호교환기준 도구/서비스
5. 지불수단
6. 컨텐츠, 가상자산
7. 하드웨어요소
메타버스의 구성 요소로 증강현실, 라이프로그, 거울세계, 가상현실 이렇게 4가지를 제시하여 사업비중이 지난 1년간 여기에 절반이상인 회사를 선정

 

'투자이야기 > ETF' 카테고리의 다른 글

[S&P500] 국내상장 S&P500 ETF 비교  (0) 2022.03.11
[고배당ETF] 국내 고배당 ETF  (0) 2022.02.26
[ETF] ETF를 투자해야 하는 이유  (0) 2022.01.31
[달러]국내상장 달러 ETF  (0) 2022.01.14
[ETF] 코스피(KOSPI) ETF  (0) 2022.01.13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