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07.02

by Jeewon

 

 

커버드 콜 ETF는 주식 시장에서 인기를 얻고 있는 투자 방법 중 하나로, 주식 포트폴리오를 보호하고 추가 수익을 추구하는 전략입니다.

 

커버드 콜 ETF란 무엇인가?

 

커버드 콜 ETF는 기본적으로 커버드 콜 전략을 적용하는 ETF입니다. 커버드 콜 전략은 주식을 보유하고 있으면서 동시에 주식에 대한 콜 옵션을 매도하여 추가 수익을 추구하는 전략입니다. 이러한 전략은 투자자가 주식 시장의 상승을 이용하여 추가 수익을 얻으려는 목적으로 사용됩니다.

 

커버드 콜 ETF의 작동 원리

 

커버드 콜 ETF는 일반적으로 주식 포트폴리오와 주식에 대한 콜 옵션 매도를 조합한 전략을 따릅니다. 주식 포트폴리오는 일반적인 주식 ETF와 유사하게 구성되지만, 이에 추가적으로 콜 옵션 매도가 포함됩니다. 콜 옵션 매도는 주식을 보유한 만큼의 수량으로 콜 옵션 계약을 매도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커버드 콜 ETF의 장단점

 

커버드 콜 ETF는 주식 투자에 비해 상대적으로 안정적인 수익을 추구하는 투자 방법입니다. 주식 시장이 상승할 경우 주식 포트폴리오의 가치가 증가하면서 추가 수익을 얻을 수 있습니다. 또한, 콜 옵션 매도를 통해 프리미엄 수익을 얻을 수 있습니다. 하지만 주식 시장이 하락할 경우 주식 포트폴리오의 가치 감소와 함께 커버드 콜 전략의 수익도 제한될 수 있습니다.

 

대표적인 커버드 콜 ETF

 

1. Invesco QQQ Covered Call ETF (QQQC): 기술 섹터 기업에 집중한 ETF로, Nasdaq 100 지수를 기초로 하며 커버드 콜 전략을 적용합니다.

2. iShares Russell 2000 Covered Call ETF (IWM): 미국 중소형 기업에 투자하는 ETF로 IWM은 러셀 2000 지수를 기초로 하며 커버드 콜 전략을 사용하여 수익을 추구합니다.

 

커버드 콜 ETF의 선택 및 주의사항 커버드 콜 ETF를 선택할 때에는 몇 가지 주의사항을 고려해야 합니다. 먼저, 해당 ETF의 수익성과 수익률 이력을 확인해야 합니다. 또한, ETF의 비용 구조와 거래량 등을 고려하여 유동성과 효율성을 평가해야 합니다. 더불어, 커버드 콜 전략의 특성상 주식 시장 하락 시 손실을 경험할 수 있으므로 리스크 관리와 포트폴리오 다변화에도 주의를 기울여야 합니다.

 

정리 커버드 콜 ETF는 주식 포트폴리오를 보호하고 추가 수익을 추구하는 전략으로 사용되는 ETF입니다. 주식 포트폴리오와 콜 옵션 매도를 조합하여 안정적인 수익을 추구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주식 시장 하락 시 손실을 경험할 수 있으므로 주의가 필요합니다. 커버드 콜 ETF를 선택할 때에는 수익성, 비용 구조, 거래량 등을 고려하여 신중하게 판단해야 합니다.

 

참조 사이트:

by Jeewon

2023.4.21.

 

금리 인하기에는 채권투자가 유용하며,  자산에 대한 주식과 채권에 대한 분산 투자필요

특히, 현시점에서는 초장기 채권 투자가 유용하다

 

추천 초장기 채권 ETF

채권종류 설명
KBSTAR KIS 국고채30Enhanced
한국채 초장기 채권 ETF상품
KODEX 미국채울트라30년선물(H)
미국채 30년 상품, 환헷지 상품
고환율시 유용한 상품
KOSEF 국고채10
한국채 10년
KODEX 국채 선물 10
한국채 10년 선물

 

KBSTAR KIS국고채30년Enhanced

 

• 국고채권 30년물 3종목에 대해 전체의 30% 규모로 현금 차입(RP매도) , 차입비용 차감 및 차입 자금을 이용한 동일 바스켓 추가 매수(국고채권 30년물 3종목 액면금액 차등 비중)는 상품
  • 현재가 : 72,755 (2023.4.21)
  • 일일거래량 : 11만주
  • 거래대금 : 7,954백만원
  • 시가총액 : 2,365억원
  • 상장일 : 2021.5.
  • 보수 : 연 0.05%
  • 자산운용사 : KB자산운용

 

KODEX 미국채울트라30년선물(H)

 

미국 국채30년물 선물가격을 기초로 하는 S&P Ultra T-Bond Futures Excess Return Index(이하 “기초지수”라 한다)를 기초지수로 하여 1좌당 순자산가치의 변동률을 기초지수의 변동률과 유사하도록 투자신탁재산을 운용함

 

  • 현재가 : 9,010 (2023.4.21)
  • 일일거래량 : 77 만주
  • 거래대금 : 6,970백만원
  • 시가총액 : 2,027억원
  • 상장일 : 2018.9.
  • 보수 : 연 0.3%
  • 자산운용사 : 삼성자산운용

 

KOSEF 국고채10년

 

• 국고채 10년물 3종목을 추종하는 ETF상품. 
 

  • 현재가 : 112,060 (2023.4.21)
  • 일일거래량 : 2.7 만주
  • 거래대금 : 3,070백만원
  • 시가총액 : 4,707억원
  • 상장일 : 2018.9.
  • 보수 : 연 0.05%
  • 자산운용사 : 키움투자자산운용

 

 

KODEX 국채 선물 10년

 

1좌당 순자산가치의 변동률을 기초지수인 10년국채선물지수의 변동률과 유사하도록 투자신탁재산을 운용하는 것을 운용목표로 합니다. 한국거래소가 산출하는 10년국채선물지수는 이 지수는 한국거래소에 상장된 10년국채선물의 최근월물의 가격을 기준으로 비교시점의 선물계약금액을 기준시점의 선물계약금액으로 나눈 값에 배수(1,000)를 곱하여 산출합니다. (기준시점 201112) 10년국채선물은 만기가 10년이고, 표면금리가 연 5%이며 6개월마다 이자가 지급되는 가상의 국고채권 표준물을 그 거래대상으로 하는 선물상품입니다. 10년국채선물지수수에 포함된10년국채선물을 매수하는 방법으로 장내파생상품에 투자하며 현금성 자산 및 채권 등으로 포트폴리오를 구성합니다.

 

 

  • 현재가 : 64,810 (2023.4.21)
  • 일일거래량 : 1만주
  • 거래대금 : 662백만원
  • 시가총액 : 1,093억원
  • 상장일 : 2012.01.
  • 보수 : 연 0.07%
  • 자산운용사 : 키움투자자산운용

'투자이야기 > ETF' 카테고리의 다른 글

[ETF] 미국 고배당 ETF - SCHD  (0) 2023.04.08
[ETF] SOL 미국배당다우존스  (0) 2023.04.07
미국 배당주 ETF 리스트  (0) 2023.03.26
[포트폴리오] RPAR (Risk Parity) ETF  (0) 2022.11.18
[금ETF] 골드ETF 비교  (0) 2022.11.12

by Jeewon

2023.4.8

 

• 미국의 대표적인 고배당 ETF 하나

• 지난 10년간 미국에서 배당을 지속해오고, 실적이 우수한 회사를 보유하는것을 목표로 하며, 다만 리츠계열은 제외한다

• 개별종목은 4% 넘으면 안되고, 포트폴리오에서 sector 25% 넘지 않는다

• 분기별로 리밸런싱

• 총보수 0.06%

• 연평균 3~4%대의 배당수익률을 기록하고 있슴

 

 

현재가 : $72.96

자산 총액 : $46.54B

 

분류는 대형 가치주에 해당 되며, 지난 1년간 수익율은 -2.6%입니다

아래는 spy대비 지난 5년간 성과 비교입니다.거의 유사한 성과를 보이고 있습니다

 

 

 

'투자이야기 > ETF' 카테고리의 다른 글

[230421] 장기채권 ETF  (0) 2023.04.21
[ETF] SOL 미국배당다우존스  (0) 2023.04.07
미국 배당주 ETF 리스트  (0) 2023.03.26
[포트폴리오] RPAR (Risk Parity) ETF  (0) 2022.11.18
[금ETF] 골드ETF 비교  (0) 2022.11.12

by Jeewon

2023.4.7

 

 

• 2022년에 국내 출시된 월배당 ETF

연금저축/펀드에서 투자할수있는 미국 고배당 ETF

• 미국의 대표 배당주 Schwab U.S. Dividend Equity ETF (SCHD)와 동일한 기초지수를 사용

 

기초지수 : Dow Jones U.S. Dividend 100 Price Return Index

• 해당 기초지수는 연평균 약 3% 이상의 배당수익률과 최소 10년의 기간동안 연속적으로 배당을 지급했던 기업들 중 현금흐름, ROE (자기자본수익률), 배당수익률과 5년 배당성장률을 기준으로 상위 100개 종목을 선별

 

• 시가 총액 : 1,200억원

 

• 총보수 : 0.05%

 

'투자이야기 > ETF' 카테고리의 다른 글

[230421] 장기채권 ETF  (0) 2023.04.21
[ETF] 미국 고배당 ETF - SCHD  (0) 2023.04.08
미국 배당주 ETF 리스트  (0) 2023.03.26
[포트폴리오] RPAR (Risk Parity) ETF  (0) 2022.11.18
[금ETF] 골드ETF 비교  (0) 2022.11.12

by Jeewon

2023.3.26

 

* 인기/추천 배당주 ETF

 

ETF 주가($)
(03/24/23)
시가총액($) 설정일 운용보수(%) 배당수익(,%) 배당주기 운용사
JEPI
(JPMorgan Equity Premium Income ETF)
53.26 22.25B 2020.5 0.35 9.24 JPMorgan
QYLD
(Global X NASDAQ 100 Covered Call ETF)
16.92 6.88B 2013.12 0.60 12.09 Global X Funds
VIG
(Vanguard Dividend Appreciation Index Fund ETF Shares)
149.23 63.14B 2006.4 0.06 2.01 분기 Vanguard
SCHD
(Schwab US Dividend Equity)
70.48 45.65B 2011.1 0.06 3.39 분기 Schwab

 

* 월배당 우선주 ETF

 

ETF명 주가($)
(03/24/23)
시가총액($) 설정일 운용보수(%) 배당수익(연,%) 배당주기 운용사
PGX
(Invesco Prefered ETF)
11.10 4.57B 2008.1.31 0.50 6.6 Invesco
PGF
(Invesco Financial Preferred ETF)
14.12 1.05B 2006.12.1 0.55 6.12 Invesco
PFF
(iShares US Preferred Stock ETF)
30.05 12.59B 2007.3.26 0.45 7.51 iShares
PSK
(SPDR Wells Fargo Preferred Stock ETF)
32.77 968.77M 2009.9.16 0.45 6.42 SPDR
PFXF
(VANECK Vectors Preferred Securities EX)
17.02 985.57M 2009.9.16 0.40 4.08 VanEck
FPE
(FirstTrust preferred securities and InC)
15.34 5.36B 2013.2.11 0.85 7.74 FirstTrust

 

*월배당 채권 ETF

ETF명 주가($)
(03/24/23)
시가총액($) 설정일 운용보수(%) 배당수익(연,%) 배당주기 운용사
PCY
(Invesco Emerging Markets Sovereign Debt ETF)
18.90 1.6B 2007.1 0.50 6.68 Invesco
EMLC
(VanEck Vectors JP Morgan EM Local Currency)
24.85 3.26B 2010.7 0.30 5.36 VanEck
SJNK
(SPDR Bloomberg Short Term High Yield Bond ETF)
24.25 3.38B 2012.3 0.40 5.36 SPDR
JNK
(SPDR Bloomberg High Yield Bond ETF)
90.24 6.80B 2007.11 0.40 6.81 SPDR

 

*월배당 회사채 ETF

 

ETF명 주가($)
(03/24/23)
시가총액($) 설정일 운용보수(%) 배당수익(연,%) 배당주기 운용사
VTC (Vanguard Total Corporate Bond) 76.65 958.6M 2017.11.7 0.04 3.36 Vanguard
HYLB (Xtrackers USD High Yield Corporate Bond ETF) 33.79 3.54B 2016.12.6 0.15 5.59 Xtrackers
HYS (PIMCO 0-5 Year High Yield Corporate Bond Index Exchange-Traded Fund) 89.16 1.23B 2011.6.16 0.55 6 PIMCO
SHYG (iShares 0-5 Year High Yield Corporate Bond ETF) 40.80 5.43B 2013.10.15 0.30 6.75 iShares
HYG (iShares iBoxx USD High Yield Corporate Bond ETF) 73.60 13.29B 2007.4.4 0.48 7.33 iShares

'투자이야기 > ETF' 카테고리의 다른 글

[ETF] 미국 고배당 ETF - SCHD  (0) 2023.04.08
[ETF] SOL 미국배당다우존스  (0) 2023.04.07
[포트폴리오] RPAR (Risk Parity) ETF  (0) 2022.11.18
[금ETF] 골드ETF 비교  (0) 2022.11.12
[ETF] ETF vs 펀드  (4) 2022.10.21

by Jeewon

2023.3.24

 

ISM 제조업 지수란 ?

 

ISM 제조업 지수는 미국의 제조업 부문을 대표하는 경제 지표 중 하나로, Institute for Supply Management에서 매월 발표하는 지수이다. 해당 지수는 제조업 부문의 활동 수준을 나타내며, 미국 경제의 건강 상태를 파악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제조업지수와 비제조업(서비스업)지수로 발표되며 두 지수 모두 50 이상이면 경기확장을, 50 이하면 수축을 예고한다고 합니다

 

ISM 제조업 지수의 구성 요소

 

ISM 제조업 지수는 다음과 같은 5개 요소로 구성되어 있다.

  1. 주문 수량
  2. 생산량
  3. 공급망 (입고재고량, 공급업체 납품 속도 등)
  4. 고용 인원
  5. 가격 변동률

 

ISM 제조업 지수가 경제에 미치는 영향은 무엇인가?

 

ISM 제조업 지수는 미국 경제의 건강 상태를 파악하는 중요한 지표 중 하나이다. 제조업 부문은 미국 경제에서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으며, 제조업 부문의 활동 수준이 높으면 미국 경제가 성장할 가능성이 높아진다. 따라서 ISM 제조업 지수가 높게 나오면 경제 성장에 긍정적인 신호가 된다. 그러나 반대로 제조업 부문이 불황에 직면하면, 미국 경제 전반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다.

 

ISM 제조업 지수가 높게 나오는 이유는 무엇인가?

 

ISM 제조업 지수가 높게 나오는 이유는 다양하다. 예를 들어, 주문 수량이 많아지면 생산량도 늘어나기 때문에 제조업 부문 전반에 호황이 오게 된다. 또한, 공급망이 원활하면 생산과 납품이 원활해져서 ISM 제조업 지수가 상승하게 된다. 또한, 경제 성장에 따라 고용 인원이 늘어나고, 생산성이 증가하면 제조업 부문이 더욱 활발해질 수 있다.

 

 

ISM 제조업 지수가 높아지면 주식시장에 미치는 영향은?

 

ISM 제조업 지수가 높아지면 주식시장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

by Jeewon

2023.2.24.

 

영구포트폴리오

 

 경기 사이클에 따라, 채권, 부동산, 정기예금(현금), 주식이 서로 사이클을 가지고 움직이며, 경기 상황에 따라 금리환경이 변화한다. 이를 경기의 사계절이라 부르며, 각 계절의 특징은 다음과 같다

 

  • 봄 : 경기불황에서 회복하며, 금리가 내려가는 시기
  • 여름 : 저금리 기조에서 경기 호황기를 맞기하는 시기
  • 가을 : 호황을 지나 금리가 지속 상승하는 시기
  • 겨울 : 고금리로 인해 경기가 불황을 맞기하는 시기

실물경제에서는 경기의 각 시기를 예측하기 힘들며, 어느시기인지 지나고 나서야 뒤늦게 깨닫는경우가 대 다수이다.

그래서, 각 4개의 자산 - 주식, 부동산, 정기예금(현금), 채권에 각각 1/4 씩 투자하여 모든 경기 사이클에 대응하자는것이

영구 포트폴리오이다

 

 

백테스트

 

실제 효과가 있는지 확인해보려면, 많이들 사용하는 portfolio visualizer에서 시험해보면 된다

https://www.portfoliovisualizer.com/

 

Portfolio Visualizer

Portfolio Visualizer is an online software platform for portfolio and investment analytics to help you make informed decisions when comparing and analyzing portfolios and investment products. Our suite of quantitative tools covers portfolio modeling and ba

www.portfoliovisualizer.com

 

 

 

영구포트폴리오와 비교하고자, 주식, 채권, 부동산에 각각에 투자한 수익률과 MDD를 비교해보면 다음과 같다

 

각자산에 25%씩 투자하여 백테스트를 해보면 다음과 같다

수익률은 주식이나 부동산에만 투자했을때가 더 수익이 높지만, 최대하락폭이 영구포트폴리오가 상대적으로 낮아서, 맘고생을 덜할수있는것을 알수 있다. 포트폴리오 구성의 장점들은 대체로, 큰 급변없이 꾸준한 수익을 목표로 한다고 생각할수 있겠다.

 

2023.02.19.

by Jeewon

 

RSI (Relative Strength Index) – 상대강도 지수

 

  • 가격 변동의 크기와 속도를 분석하여 과매수와 과매도 상태를 나타내는 지표
  • 범위는 일반적으로 0에서 100까지의 범위에서 움직이며, 70을 상회하는 지점은 과매수 상태를, 30을 하회하는 지점은 과매도 상태로 판단
  • 과매수 상태에 도달하면 가격이 하락할 가능성이 높아지고, RSI가 과매도 상태에 도달하면 가격이 상승할 가능성이 높아진다고 판단할수 있음

 

 계산식

1. 일정 기간 동안의 가격 상승액을 평균 상승액으로 나눈 상승률로 계산

  • RSI =  일정 기간 동안의 상승폭 합 ÷ 일정 기간 동안의 평균 하락폭 합
  • (일정기간 : 보통 14일로 계산, 그외 9일, 25일)

2. 상승률을 1에 더하고 100으로 나눈 값을 계산

  • 1 + (상승률 ÷ 1 + 상승률) × 100

 

특징

 

장점

 
  • RSI는 강세와 약세를 나타내는 지표로 매우 널리 사용
  • RSI는 과매수와 과매도 구간을 판단할 수 있어, 매매 전략을 수립할 때 유용하게 사용
  • RSI는 추세와 관련된 지표와 결합하여 사용할 경우, 상승추세와 하락추세의 반전을 포착하는 능력이 뛰어나다고 알려져 있슴

 

단점

 

  • RSI는 단기적인 가격 움직임에 더 영향을 받기 때문에 장기적인 추세를 보여주지 못함
 

보완책

 

• RSI를 다른 기술적 분석 지표와 함께 사용하기
  : RSI는 단일 지표로만 사용하기보다는 다른 기술적 분석 지표와 함께 사용하여 신호가 일치하는지 확인

  : 이동평균선, 볼린저 밴드, MACD와 같은 다른 기술적 분석 지표와 함께 사용

• RSI의 기간을 조정하기
   : RSI 기간을 단축하면 RSI 값의 변동성이 증가. 따라서, RSI의 기간을 늘리는 것이 거짓 신호를 줄이는 데 도움이 된다
• RSI를 통해 발생하는 신호를 확인하기 전에 다른 플랫폼과 뉴스와 같은 외부 정보를 살펴보기
  : RSI를 통해 발생하는 신호를 확인하기 전에 다른 플랫폼에서 보고한 뉴스 및 기타 정보와 함께 고려
 

실그래프에서 보기

 
 

 

참조할 타 지표들

 

1.이동평균선 (Moving Average)
이동평균선은 일정 기간의 주가를 평균한 값을 이용해 그래프로 나타낸 것입니다. 이를 통해 단기 이동평균과 장기 이동평균을 비교하면 추세를 파악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단기 이동평균선이 장기 이동평균선을 상향돌파하면 상승 추세가 예상됩니다.
2.스토캐스틱 (Stochastic Oscillator)
스토캐스틱은 주가의 최고가와 최저가를 이용해 주가의 상승 또는 하락 추세를 파악하는 지표입니다. 주가가 상승하는 추세에서 %K%D상향돌파하면 매수 시점으로 볼 수 있습니다. 반대로, 주가가 하락하는 추세에서 %K%D하향돌파하면 매도 시점으로 볼 수 있습니다.
3.추세선 (Trend line)
추세선은 주가가 상승하거나 하락하는 추세에서 그래프 상의 주가 변동을 나타내는 선입니다. 이를 통해 추세의 전환을 파악할 수 있습니다.
4.이동평균수렴확산 (Moving Average Convergence Divergence, MACD)
MACD는 주가의 단기 이동평균과 장기 이동평균의 차이를 이용하여 주가 추세를 파악하는 지표입니다. MACD 선과 신호선을 비교하면 추세의 전환을 예측할 수 있습니다.

 

'투자이야기 > 이것 정도는' 카테고리의 다른 글

[230702] 커버드콜 ETF  (0) 2023.07.02
ISM 제조업 지수  (0) 2023.03.24
[230217] 기술적지표분석 - MACD  (0) 2023.02.17
[경제원리] 코스톨라니의 달걀 모형  (0) 2022.11.04
[환율] 엔 환율 확인  (0) 2022.10.29

by Jeewon

2023.02.17

이동 평균 수렴/발산 지수(Moving Average Convergence Divergence)

 

  • 12일 이동평균과 26일 이동평균의 차이를 나타내는 지표
  • 단기 이동평균과 장기 이동평균의 차이를 이용하여 주가 흐름을 파악하는데 도움을 줍니다
  • 12일 이동평균을 단기 이동평균(SMA 12), 26일 이동평균을 장기 이동평균(SMA 26)
  • 이동평균은 일정 기간 동안의 종가의 평균을 나타내며, 이를 통해 주가의 추세를 파악합니다

계산식

MACD = 12일 이동평균 - 26일 이동평균

MACD의 신호선(Signal line)9일 이동평균을 구하여 MACD와 함께 표시

해석

1. MACD0보다 큰 값을 가지면 상승추세, 0보다 작은 값을 가지면 하락추세를 나타냅니다.
2. MACDSignal line의 교차는 매수/매도 시점을 나타냅니다.

    • MACDSignal line상향돌파하면 매수 시점으로 간주합니다.

    • MACDSignal line하향돌파하면 매도 시점으로 간주합니다.

3.MACDSignal line의 거리는 추세의 세기를 나타냅니다.

 

장점

단기 이동평균과 장기 이동평균의 차이를 이용하므로, 상대적으로 덜 민감한 추세를 보여줍니다.
다른 지표와 조합하여 사용하면, 더욱 정확한 추세 판단이 가능합니다.
보통 주가와 함께 차트로 표시되므로, 쉽게 이해하고 사용할 수 있습니다.
 

단점

MACD는 추세를 나타내는 지표이므로, 추세가 강하지 않을 때는 신호가 불안정하게 나타날 수 있습니다.
 

 

2023.2.11

by Jeewon

 

연금저축 가입시 혜택

 

연말정산시 환급 (2023년 기준 수정)

연간 납입금액의 최대 400만원 600만원까지 세액 공제를 받을수 있으며, 400만원 x 16.5% = 66만원 연말 환급 혜택을 받게 된다. 단, 총 급여 1.2억원 초과 가입자는 연 300만원까지 세액공제를 받을수 있음

 

(연금저축만 납입시)

급여 최대 세액 공제액
총액 1.2억 이하 연간 최대 400만원   무조건 600만원 ('23년기준)
총액 1.2억 초과 연간 최대 300만원   무조건 600만원 ('23년기준)

 

납입한도

연간 1800만원 까지 납입가능 ( 퇴직연금(IRP) 과 합산 )

 


퇴직연금(IRP)  가입시 혜택 

 

연말정산시 환급 (2023년기준 수정)

연간 납입금액의 최대 700만원  900만원까지 세액공제를 받을수 있으며, 700만원 x 16.5% = 115.5만원 연말 환급혜택을 받게된다. 연금저축과 동시 가입시 두상품 합산하여 연 700만원 한도로 제한한다.

 

납입한도연간 1800만원 까지 납입가능 ( 퇴직연금(IRP) 과 합산 )

 

상세정보

(연금저축+퇴직연금만 납입시)

구분 연금저축 퇴직연금(IRP)
세액공제 급여총액 1억2천이하, 연400만원
급여총액 1억2천초과, 연300만원

조건없이 연 600만원 (2023년)
연700만원   최대 연900만원
합산 하여 연 900만원
만50세이상, 2020~2022년 납입분

급여총액 1억2천이하, 연 600만원
만50세이상, 2020~2022년 납입분

급여총액 1억2천이하, 연 900만원
합산하여 연 900만원
납입한도 합산하여 연 1800만원 한도
(ISA 해지시, 해지금액은 전액이체 납입가능)
투자가능 상품 실적배당형 상품(펀드)
국내상장 ETF 
원리금보장형상품(예금가능)
실적배당형 상품(펀드)
국내상장 ETF(선물제외)
안전형상품(채권형/예금/현금)에 30%이상 투자필수

 


연금저축, 퇴직연금 동시 가입시 연간 상품별 투자 방법 (2023년도 수정)

 

투자 순서 조건없이 통일 (2023년) 급여 1억 2천만원이하
만50세이상
(2020년~2022년도)
급여 1억 2천만원초과
1순위 연금저축 600만원 (세액공제) 연금저축 600만원 연금저축 300만원
2순위 퇴직연금 300만원 (세액공제) 퇴직연금 300만원 퇴직연금 400만원
3순위 연금저축 900만원까지 연금저축 900만원까지 연금저축 1100만원까지
총액 1800만원
(세액공제900만원)
1800만원
(세액공제900만원)
1800만원
(세액공재)

 

퇴직연금에는 세액공제 받을수 있을만큼만 넣고, 연금저축에 세액공제후 남은 여유돈을 모두 넣는 이유는 연금저축에서 가입할수 있는 투자 가능 상품이 좀더 유연하기 때문이다.

 

by Jeewon

22.12.30.

 

 

카카오뱅크

 

스마트폰이 일반화되면서, 기존 지점중심으로 돌아가던 은행시스템은 큰 변화를 겪었다. 그래서 실제 오프라인 지점없이 손안에서 인증, 통장개설, 이체를 자유롭게하는 모바일은행이 생겨났으며, 그런 대표적인 은행이 토스, 그리고 카톡의 편리함을 고스란히 받고 있는 카카오뱅크가 있다.

 

상품종류

 

카카오뱅크 개설은 순전히 손안의 스마트폰에서 간편히 개설할수있다. 본인인증과 주민등록을 사진찍기만 하면 개설하는데, 아무런 문제가 없다. 카카오뱅크를 개설하고 나면, 기본적인 통장을 개설하는데 카카오 뱅크에서 기본적으로 개설할수있는 상품은 아래와 같다

 

• 입출금통장 : 자유롭게 입금과 출금을 할수 있는 계좌. 기본적으로 개설하는 통장

 

• 모임통장 : 모임회비 관리를 위해 여러명이 함께 사용하는 통장. 카톡으로 같이 볼 회원을 초대하고 추가 할수있다

 

• 세이프박스 : 계좌속 금고 개념 , 입출금통장은 상대적으로 이율이 낮은 통장에서 세이프박스에 보관할 금액을 정하면, 해당금액에 대해 별도 이율을 적용하며, 입출금이 제한된다

 

• 저금통 : 자주쓰는 계좌에 규칙을 정하면 규칙에 해당하는 금액을 알아서 모아주는 상품

 

• 정기예금 : 1개월이상 약속한 기간동안 돈을 맡기고 정해진 이율을 받는 통장

 

• 자유적금 : 정해진 날짜/기간/금액과 상관없이 언제든지 자유롭게 적금을 넣을수있다.

 

• 26주적금 : 카카오뱅크에 있는 특별한 상품, 26 연속 매주 일정금액을 적금하는 상품

 

by Jeewon

2022.11.18

 

미국시장에는 정말 다양한 ETF상품들이 출시되어있다

국내에서도 현재 많은 다양한 자산의 분산차원에서 개인들이 포트폴리오를 구성하기 위해 자산을 다양하게 나누어 투자를 하고 있다. 최근에는 많은 분들이 들어서 알고 있는 주식, 채권에 분산한다든지, 원자재, 금등에도 자산을 분산하여 리스크를 줄이고 장기적인 꾸준한 수익을 얻고자 포트폴리오 구성이 인기이다.

미국은 이런 포트폴리오를 기준으로 이미 출시된 ETF 상품들이 있으며,

 

주식과 채권 비중으로 출시된 대표적인 ETF상품은 

AOA (iShares Core Aggressive Allocation ETF) - 주식 80% 채권 20%

AOR (iShares Core Growth Allocation ETF)  - 주식 60% 채권 40%

AOM (iShares Core Moderate Allocation ETF) - 주식 40% 채권 60%

AOK (iShares Core Conservative Allocation ETF) - 주식 30% 채권 70%

 

위의 자산포트폴리오에 리스크를 좀더 줄여보자는 취지에서 자산군을 주식, 채권 뿐아니라, 원자재와 금에 나누어 투자하는 대표적인 유명한 올웨더 포트폴리오가 있으며, 그에 대한 상품이 이미 출시되어 있다

RPAR ( Risk Parity ETF) - 올웨더 포트폴리오

 

RPAR 이란

 

• 브릿지워터사의 레이달리오의 올웨더포트폴리오를 ETF 구현한 상품

주식, 미국채권, 원자재(금포함), 물가연동채로 자산을 구성한 상품 

• 리스크 최소화를 목표로 한다

경제 성장기 동안 플러스 수익을 창출하고, 경기 침체 동안 자산을 최대한 유지하고, 인플레이션이 기간 동안  실물 가치수익률을 유지를 목표로 한다

 

 

상품 Summary

 

출처 : https://investion.com

자산규모 : $1.07 Billion

현재가 : $18.63

최근 1년간 수익률 : -26.04%

보수 : 0.5%

 

타상품과 수익 비교 그래프

 

아직 상품이 나온지 몇년되지 않아 장기간 비교를 하긴 어렵지만, 1년이나 출시후 수익그래프를 비교해볼수 있다

 

출처 : 구글파이낸스

 

지난 1년간의 성과를 보면 SPY/AOR과 비교해보면 RPAR ETF가 오히려 수익률이 더 떨어지는것을 볼수있다. 리스크 관리를 하는 포트폴리오인데도 오히려 더 떨어지는 모습에 당황할수 밖에 없을듯 하다. 그 이유를 찾아 보자면, 최근 인플레이션 상황에서 주식도 반토막나고 채권도 반토막이 나서 두개 자산을 투자하는 AOR이 더 좋지 않은 수익을 보여야 겠지만, RPAR 오히려 좋지 않은 모습을 보여야 하지만, RPAR의 상품투자 방식을 조금 이해해보자면, 내부적으로 채권에 대한 레버리지를 투자하고, 또한 단기채보다는 장기채권에 집중되어 있다보니, RPAR이 최근 1년이 가장 않좋은 사이클을 보이고 있는것 같다

출처 : https://rparetf.com/rpar

상품소개 홈페이지 가보면, 최근 1년간 자산들의 성과를 보여주고 있다. 모든 자산이 큰 손실을 보이고 있으며, 채권투자에 대해 레버리지로 투자하다보니, 주식의 거의 두배 가까이 수익이 떨어진 것처럼 보인다

 

 

 

상품구성

 

상품의 상세 비율은 아래와 같으며, 주식 25%, 원자재 15%, 금 10%, 채권 35%, 물가연동채 35%로 투자 되고 있는것을 알수 있으며, 다만 합이 100%가 아닌 120%인 이유는 채권에 대한 레버리지 투자 20%정도 오버되어 있다고 보면된다

출처 : https://rparetf.com/rpar

 

수익성 경향

 

아래는 상품보고서에 상품 출시이후 시기별 수익을 구분해서 표시해주고 있다. 코로나로 인한 panic 시기에는 상당한 리스크 방어가 된것을 알수있다. 그러나 21년 초반, 경제 rebound시기에 거의 모든 주식들이 20%이상의 수익을 보여주던 시기에 상대적 박탈감을 보여주고, 최근 금리인상기에는 오히려 더 큰 손실을 보여주고 있다.

 

 

RPAR의 변동성 최소화

 

RPAR은 자산군의 분산으로 주식만 투자 했을 때 나올수있는 변동성을 보다 부드럽게 , 분산을 줄이는 방향으로 상품구성을 했다고 소개하고 있으며, 장기적인 추세에서는 주식과 비슷하게 평균적인 수익을 추종하도록 소개 되어 있다

출처 : https://rparetf.com/rpar

 

결론적으로 아직 상품이 출시된지 얼마되지 않은 검증받지 않은 상품이지만,

레이달리오의 올웨더포트폴리오에 대한 믿음을 가지고, 5년이상 장기간 꾸준히 투자하고, 개인이 그때그때 리밸런싱하기에는 어렵다고 생각할 경우 개별주식이아니라, 주식시장에 중간이상 성적을 내고자 한다면, 추천하는 상품이라고 할수있다

'투자이야기 > ETF' 카테고리의 다른 글

[ETF] SOL 미국배당다우존스  (0) 2023.04.07
미국 배당주 ETF 리스트  (0) 2023.03.26
[금ETF] 골드ETF 비교  (0) 2022.11.12
[ETF] ETF vs 펀드  (4) 2022.10.21
[미국고배당] Tiger 미국S&P500배당귀족  (2) 2022.10.02

by Jeewon

2022.11.12.

 

국내 금에 대한 투자는 현물 투자 외에 ETF로 투자하는 방법이 있다.

국내 상장되어 있는 골드 ETF는 3가지 종류가 있다

 

금ETF에 대한 설명은 아래를 참조하세요

https://webbie.tistory.com/20

 

KINDEX KRX 금현물 은 ACE KRX 금현물로 상품명이 변경되었다

 

Kodex 골드선물(H)/ Tiger 골드선물(H)  vs ACE KRX 금현물

 

두 상품의 큰차이는 ACE KRX 금현물 ETF는 금현물가를 직접 추종한다. Kodex 골드선물(H)/Tiger 골드선물(H)는 직접적인 금현물 투자가 아니라 S&P GSCI Gold Index 추종하는 선물에 투자 하는 상품이다. 그래서 Kodex 골드선물(H)/Tiger 골드선물(H)는 선물 특성상 금 시세를 바로바로 반영하지 못한다

 

 

ACE KRX 금현물은 KRX 금시세를 추종하고 골드선물 ETF는 S&P GSCI Gold Index를 추종하는 모양새를 볼수 있다. 원래 금 값을 추종하기 때문에 동일하게 차트표가 나타나야 하지만 두개의 인덱스 지수가 다른것을 알수 있다. 국제 금시세는 달러기준으로 많이 하락하였지만, ACE KRX 금현물 가격은 상대적으로 높은 가격을 유지하는것을 볼수있다. 이는 최근의 달러 대비 고환율의 영향으로 원화로 표시되는 금시세는 떨어지지 않은 것으로 생각된다.

 

자산 배분 차원에서 금을 투자 하고자 하는 경우 금 시세를 선물에 비해 바로바로 반영하는 ACE KRX 금현물 ETF가 적절한 시세를 반영하는것 같다. 하지만, 단순한 금시세가 아닌 환율도 상대적으로 반영되니까, 이 부분은 유념할 부분으로 생각된다. 지금처럼 달러대비 원화가 쌀 경우는 지금 처럼 상대적으로 금지수가 높은가격을 보이지만,  원화가 비쌀경우는 금시세의 하락폭이 더 커질수 있다.  

 

 

'투자이야기 > ETF' 카테고리의 다른 글

미국 배당주 ETF 리스트  (0) 2023.03.26
[포트폴리오] RPAR (Risk Parity) ETF  (0) 2022.11.18
[ETF] ETF vs 펀드  (4) 2022.10.21
[미국고배당] Tiger 미국S&P500배당귀족  (2) 2022.10.02
[단기채] 단기채권 ETF  (0) 2022.09.23

by Jeewon

2022.11.04

 

경기와 금리로 현재의 경제시황을 모델링한 내용으로 코스톨라니라는 전설적인 투자자가 제시한 모델

경제모델을 금리와 경기로 나눠서 사분면에서 투자에 적절한 시기와 투자할 대상을 모델링 

 

그림과 같이 사사분면을 나눠서 저금리에서 고금리로 바뀔때가 경제 과열로 우려되는 호황기 시점이고, 고금리에서 금리인하로 바뀌는 시점이 불황기로 판단할수있다. 경기 사이클에 따라 이를 다시 보면 4계절로 표현할수 있는데, 다시 그려보면 다음가 같다

경기가 활황인시점을 여름 경기 하향곡선을 그리며, 불황인 시점을 겨울로 표현할수 있다. 그래서, 그림을 다시 보면, 금리가 인하되는 시점, 즉 봄에는 부동산이 , 저금리에서 경기 호황인 여름에서 주식이 대호황인 상황을 그려볼수 있다

 

#코스톨라니달걀 #경기사이클 #금리

by Jeewon

2022.10.29.

 

 

일본 엔(円, Yen)은 일본의 통화이다. ISO 4217 코드는 JPY이며, (한자 표기)이나 ¥(기호 표기)으로 표기한다. 참고로 중국 위안도 ¥으로 표기하는데, 원래 ¥ 표기는 중국이 먼저 쓰던 것을 일본도 받아들여 사용한 것이다.

 

최근 일본 엔화는 역대 최저가로 평가되 그 가치가 상당히 낮게 평가되어있다고 시장은 생각한다

그리고, 일본 엔화는 한국 원화에 비해 국제적으로 안정적인 통화로 평가 받고 있다

 

그이유는

첫째 ,  민간부문의 경쟁력, 신용과 자산은 견실한 편에 속하며 특히 엔화는 시장 공급량도 많고, 태환성도 좋은 국제 기축 통화의 지위를 가진다.

둘째, 일본 정부의 국가채무는 외국 투자자들보다 거의 대부분 자국 기업들과 은행들에 지은 채무라 상대적으로 안전하다.
셋째로 일본의 장기적인 디플레이션을 겪는 와중에 엔화의 가치는 반대로 매우 안정화되었고 장기간 큰 변동성을 보이지 않고 있다.

네 번째는 90년대 이후 일본 은행의 장기 저금리기조로 낮은 이율의 엔화자금을 빌려 신흥국시장 등 고이율, 고위험 자산에 투자하는 경향들이 많이 늘어났다.

 

현재 엔환율은 아래 사이트에 확인가능하다

https://kr.investing.com/currencies/jpy-krw

 

JPY KRW 오늘 | 엔 원 환율 - Investing.com

JPY/KRW의 환율, 분석, 실시간 스트리밍 차트 등 상세한 정보를 확인해 보세요. 엔 원 환율에 대한 전문가와 유저들의 견해도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kr.investing.com

차트를 보면 금일 현재가와 개략적인 변동폭을 알수 있다

 

추가로 실시간으로 변화는 엔환율과는 별도로 공식적으로 고시되는 고시 환율을 확인할수있는데,

고시환율은 아래 사이트에서 확인할수 있다

고시 환율은 대체로 그날그날의 수출입 단가에 적용이 되며, 매수가와 매도가로 확인할수 있다

 

https://www.forwarder.kr/curr/index.php?curr=ex_rate 

 

관세청 고시환율

관세청 고시환율 실시간 조회. 이번 주 수출입 환율을 미리미리 확인하세요!

www.forwarder.kr

 

by Jeewon

2022.10.21.

 

주식 초보자들은 직접적인 주식 투자 대신에 간접 투자로 펀드에 대한 투자, ETF에 투자로 나눌수 있다. ETF에 대한 투자와 펀드 투자에 대해 지난 과거동안의 통계를 보면 다음과 같다

 

시중 펀드 상품의 과거 5년 수익률

수익률 구분 상품갯수 비율
수익률 10% 이상 90개 14.0%
수익률 5 ~ 10% 146개 22.7%
수익률 0 ~ 5 % 347개 53.9%
수익률 0% 미만 61개 9.5%

 

수익률을 보면, 5년이상 상품인 경우, 과반수이상의 펀드상품이 5% 미만의 수익률을 보이고 있다. 펀드의 경우 장기간 투자할수록 수익률이 전체적으로 떨어진다는것을 보여준다고 볼수있다

 

펀드 상품과 ETF간의 차이를 보면

구분 ETF 펀드 설명
연간 수수료 평균 0.1% 평균 2%  
투자주체 시스템 펀드매니저 ETF는 추종지수를 만들어 자동으로 매매를 하여 지수를 따르도록 구성됨
하지만, 펀드의 경우 펀드매니저의 역량에 따라 매수/매도를 결정한다
구매 임의 매수 임의 매수/ 자동적립 ETF는 주식을 매매 하듯이 개별 매매를 진행해야 하지만, 펀드는 구매할수있는 방법이 임의로 매수하거나 매달 자동 적립을 선택할수있는 다양한 구매 방법이 있다
투자보고 개방적 부분적 폐쇄 ETF는 일반 주식처럼 매일매일 거래량, 매매가, 투자종목, 동향등을 언제든 확인할수있지만, 펀드는 분기별/연도별 정도로면 전체적인 거래규모, 투자종목을 확인 할수있다
목표 지수추종 지수를 이기자  

 

개인적으로는 5년이상 장기투자의 경우, 수수료 측면이나 투명성측면에서는 ETF가 유리하다고 볼수 있다. 

다만, 매달 적립식으로 ETF를 꾸준히 시장에 흔들리지 않고 구매를 해야 제대로 된 효과와 수익을 누릴수 있다고 볼수있다

하지만, 사실상 매달혹은 주기적으로 꾸준히 구매할만큼 부지런하지 못하다면, 또한 시장에 흔들리지 않을 자신이 없다면 인기있거나 정통의 강호라 불리는 유명 펀드를 선택해서, 꾸준히 자동 적립을 해서, 잊는것이 가장 좋을것 같다. 다만, 펀드는 3~5년 정도가 적정 투자기간이라 생각되므로 펀드의 규모나 수익성 변동성, 매니저가 변화된다면 유사한 성격의 다른 펀드로 갈아탈것을 권장한다

 

상품 ETF 펀드
어떤 사람이 투자 ● 부지런하고, 뚝심있는  사람
 - 매달/주기적으로 일정금액을 계속적으로 매매할수 있는 사람
 - 시장이나 주변 유혹에 흔들리지 않고 정해진 액수를 투자할 수 있는 사람
약간은 게으르고,  선택에 망설이는 분

- 펀드에 매달 일정액을 투자할수있는분 
- 한번 Go, 정하면, 잊고 본업에 충실할수있는분
어떻게 투자 ● 매달 혹은 2~3개월단위로 일정 금액씩 무조건 매수
● 가급적 시장에 투자 (예, 미국S&P, KOSPI200)

● 처음 약정시 매달 적립식으로 가입
● 전통의 강호 종목에 투자
  - 성장주, 가치주등 각 Sector에서 유명한 상품 위주로
권장 투자 목표 기간 최소 5년이상 3 ~ 5년
선정 기준 자산 규모
수수료
5년이상 갈수있는 트랜드를 가질것
자산규모
펀드매니저
신탁회사
유의할 점 ● 매년 시장 트랜드를 확인 후 선택한 ETF가 문제가 있는지 확인할것
 
● 분기별 실적 보고서를 반드시 체크하여, 자산규모가 갑작스럽게 변화가 있거나, 펀드매니저가 변경될 경우 유의해서 지켜볼것
● 선택한 펀드가 유사펀드에서 실적순위가 크게 변화가 있는지 확인할것 (morningstar, funddoctor등에서 확인)

 

'투자이야기 > ETF' 카테고리의 다른 글

[포트폴리오] RPAR (Risk Parity) ETF  (0) 2022.11.18
[금ETF] 골드ETF 비교  (0) 2022.11.12
[미국고배당] Tiger 미국S&P500배당귀족  (2) 2022.10.02
[단기채] 단기채권 ETF  (0) 2022.09.23
[ETF] 신한Sol 미국 S&P500  (0) 2022.08.27

by Jeewon

2022.10.16

 

국민연금은

만 18세부터 60세까지 직장 생활을 하면 의무적으로 가입

직장인이 아니더라도 임의 가입 제도를 통해 가입가능 하며,  최소 12개월은 납입해야만 수령 가능

매달 납입한 보험료로 노후에 연금으로 지급

노후에 받는 국민연금 금액은 납입 시의 급여와 납입 기간이 반영되어 산정

 

국민연금 조회는 https://www.nps.or.kr/ 을 통해  조회가능

 

국민연금 수령 개시 시기

 

출생연도별 수급 연령
출생연도 ~’52 ‘53~56년생 ’57~60년생 ’61~64년생 ‘65~68년생 ‘69년생~
수급개시 60 61 62 63 64 65

 

현재, 기금규모에 따라 정년퇴직은 만60세이나, 69년생이후로는 만 65세에 수급이 가능하다. 그래서, 경제적인 공백기 때문에 5년까지 당겨서, 조기 수령 가능하며, 반대로 지급을 연기 신청하여 5년 연기하여 만70세부터 수급도 가능하다

 

조기노령연금 vs 연기연금

 

조기 노령 연금

연금 받는 시기를 최대 5년까지 일찍 앞당겨 받는것.  경제적 공백기 동안 일정한 수입이 없는 경우 연금을 당겨 받고자 할때 선택한다

조건 : 국민연금 가입 최소 10년이상, 소득 X, 55세 이상

단점 : 연령에 따라 연 6% 감액됨. 최대 5년 신청할 경우 30% 감액된 70%만 받게 됨

 

연기 연금

연금 받는 시기를 최대 5년까 연기하여 수령할수 있다. 은퇴후에도 일정 소득이 있는 경우 연금 수령을 연기하여, 더큰 금액을 이후에 받고자 할때 선택할수 있다

 

연간 7.2% 연금액을 올릴수 있으며, 최대 5년인 경우 36% 증액된 금액을 수령하게 된다

by Jeewon

2022.10.14

 

 

8월 16일 미국대통령, 조바이든 공표한 중요한 법안을 하원에서 통과시켰다. 인플레이션 감축법안인데, 주요 내용은 아래와 같다

  • 기후변화에 대응하기 위해 2030년까지 온실가스를 40% 까지 줄이기 위한 대응 방안 마련
  • 미국 보건의료에 지원을 위한 법안

 

그래서, 에너지 확보와 지원 방안 과 보건의료의 구체적인 지원 방안을 논하고 있다. 하지만, 이 내용이 왜 인플레이션 감축과 관련이 있는지 의문이 들수 있다. 의도는 빠른 청정 에너지 전환을 통해  기존 에너지에 대한 의존도를 낮추고, 에너지가격폭등에 대응하겠다. 그리고 늘어나는 엄청난 가계부담인 의료/복지비를 지원 해주는 내용을 주요 골자로 하고 있다

 

 

청정에너지 확보

 

에너지확보 및 기후변화 대응에 3,750억 달러(약 479조원) 투자

친환경에너지 발전지원 태양광 패널, 풍력터빈업체 등에 600억 달러 규모의 세액공제/인센티 제공
에너지 효율가전 구입 리베이트 열펌프나 기타 에너지 효율적인 가전제품 구입시 14,000달러의 직접 소비자 리베이트 제공
태양열 설치 세금 공제 가정에서 지붕에 태양열 설치시 30% 세금공제(750 가구)
전기차 구매 세액 공제 신차는 최대 7,500달러 /
중고차는 최대 4,000달러 세액 공제

 

여기서 중요한것은 현재 이슈가 되는 전기차는 중국 등 우려국가에서 생산된 배터리/핵심광물을 사용한 전기차 제외하고

미국에서 생산되고 조립된 차에만 해당되며, 배터리 핵심광물의 일정 비율 이상을 미국에서 생산되어야 하는 조건이 전제 되어 있다. 그래서, 현재  한국의 현대 / 기아차는 한국에서 생산 조립되어 구매 세액 공제 혜택을 받을수 없다

 

그러나, 또 하나  전기차 구매 세액 공제를 받을 수있는 미국 제조 자동차도 정확히 해당 조건을 충족 시키지 못해서, 아직은 논란이 되고 있다. 정확히 구매에 대한 세액공제를 받으려면 2024년이후는 되어야 적용가능해보인다.

 

 

보건의료 지원 확대

 

노인 처방약 부담금 감소  메디케어 (공공건강보험) 파트D 가진 노인 5천만명의 처방약 본인 부담금 상한선 연간 2,000달러
당뇨환자 인슐린 비용 감소 메디케어에 가입된 당뇨병 환자 330만명의 인슐린 비용 상한선 월간 35달러
건강보험료 지원 연장 연간 평균 800달러의 건강보험료 보조금 지급 연장(1,300만명)

 

재원 마련 방안

 

대기업 법인세 확대 : 연소득 10달러 이상의 기업에 최소15% 법인세 부과

자사주 매입 시 세금 부과 : 매입액의 1% 과세

 

 

결론적으로 인플레이션 감축법안은 대규모 자국 산업 육성에 최대한 지원하고, 자국의 복지/의료지원을 확대 하고자 하는 지원 방안 이며, 다만 법안의 이름을 현재, 핫 이슈가 되는 인플레이션 이란 이름으로 포장한 것 처럼 보인다

그리고, 현재, 대한민국이 가장 우려하는 현대차/기아차 수출 영향은 아직 1년이상의 유예가 있는것 처럼 보이며, 2025년에는 미국 현지에서 직접 생산을 하므로, 크게 영향을 받지 않을 것처럼 보인다. 그리고, 법안으로 수혜를 보는 국내 배터리 기업도 있다. LG에너지솔루션, SK온 GM/포드와 함께 북미 투자를 단행해서 미국 현지에서 직접적인 수혜대상이 될것으로 보인다.

 

by Jeewon

2022.10.09

 

각종 현재의 경제 시황을 알수 있는 각종 지표와 그 의미 다음과 같다. 기본적으로 아래 지표들로 부터 현재 경제 현황과 앞으로 예측등을 어느정도는 판단할 수 있다

 

경제지표 의미 확인 사이트
한국 기준 금리 한국은행이 금융기관과 환매조건부증권(RP) 매매, 자금조정 예금 및 대출 등의 거래를 할 때 기준*이 되는 정책금리 https://www.bok.or.kr/portal/singl/baseRate/progress.do?dataSeCd=01&menuNo=200656
한국 경기 성장률 실질 국내총생산(Gross Domestic Product, GDP)의 연간 증가율을 백분율로 나타낸 것임. , 금년의 실질 GDP가 작년보다 얼마나 더 증가 혹은 감소하였는지를 나타내는 지표 https://www.index.go.kr/unify/idx-info.do?idxCd=4201
한국 소비자 물가 지수 각 가정이 생활을 위해 구입하는 상품과 서비스의 가격 변동을 알아보기 위해 작성하는 통계 http://kostat.go.kr/incomeNcpi/cpi/index.action
원 – 달러 환율 외국 돈과 우리 돈의 교환비율 https://finance.daum.net/exchanges
미국 기준 금리
https://ko.tradingeconomics.com/united-states/interest-rate
미국 실업률 지난달 실업상태에 있으며 적극적으로 구직활동을 하는 총노동력의 비율 https://kr.investing.com/economic-calendar/unemployment-rate-300
미국 소비자 물가 지수 소비자의 시각에서 상품 및 서비스 가격의 변동을 측정하며, 구매 동향 및 인플레이션의 변동을 측정하는 중요한 수단 https://kr.investing.com/economic-calendar/cpi-733

 

한국 기준 금리

• 한국은행이 금융기관과 환매조건부증권(RP) 매매, 자금조정 예금 및 대출 등의 거래를 할 때 기준이 되는 정책금리, 다시 말해 한국은행이 시중 은행/금융기관에 돈을 빌려주면 받는 기준 이자

• 시장에 미치는 효과 (기대효과)

    보통 경제정책 이나 정부입장에서 금리의 효과로 아래와 같은 효과를 기대한다. 하지만 실제 시장현황은 보다 복잡하여 아래와 일치 하지 않는다

 

   기준금리 인상 –> 통화량 감소 –> 경기 감소/침체 –> 주가하락

   기준금리 인하 –> 통화량 증가 –> 경기 활성/과열 –> 주가상승

 

기준금리의 영향

 

 

만약 금리를 인상하게 되면, 아래의 상황을 예측할수 있으며, 금리를 인하하면 아래와 반대와 같은 상황이 발생한다고 생각하면 된다

by Jeewon

2022.10.08

 

 

연금활용 실전편 두번째 이야기이다.

먼저, 연금 상품을 활용 해야 하는 이유는 아래 링크를 통해 첫번째 이야기를 확인하면 된다

 

* 첫번째 이야기 -  연금 활용 실전편(1)

 

실전이야기 

우선, 가용가능한 상품은 연금저축, 퇴직연금, ISA 이며, 가능한 투자금액의 규모에 따라 연금저축과 퇴직연금을 우선 활용하고, 추가 여유가 되면 ISA 상품을 활용하는 적극적인 투자를 진행하면 된다. 일단 목표는 20년 이상 투자시, 20억이상, 10년 투자시 10억대 수익을 목표로 잡고 시작하자

 

우선 순위 상품 구성 연간 투자 금액  투자 전략
1 순위 연금저축 + 퇴직연금 최대 1800 만원
최대 세액 공제(700~900만원) 노린다
최소 55세까지 투자
예금, 펀드, ETF 활용
2 순위 ISA 최대 2000 만원
여유자금에 대해 용돈 통장으로 활용한다
3 이상 투자 돈으로 활용
3000만원이상 모이면 연금저축으로 이관
예금, 펀드, 국내주식,  ETF, ELS 상품 투자

 

 

I. 연금저축과 퇴직연금 활용

 • 우선 개인연금과 퇴직연금을 최대한 세제혜택을 받아 활용 받을수 있는 방법은 아래와 같다.  상품을 활용하여 1년에 넣을수 있는 최대금액은 연간 1800만원이며, 납입 방법은 아래를 링크를 확인하면된다

 

 

• 요약하자면, 퇴직연금에는 세액공제 받을수 있는 만큼만 넣고, 연금저축에는 세액공제후 남은 여유돈을 넣는다

 

• 최대 1800만원까지 납입하는걸 목표로 한다. 다만 사회 초년에는 목돈이 필요할수있으니, 연금저축에서 세액공제를 받지 못한 추가 금액은 중도 인출 할수 있다. 

 

 퇴직연금을 최소한 입금하고, 연금저축에 나머지를 넣는 이유는 퇴직연금은 해지가 아니면 중도인출이 불가하며, 구매할수 있는 상품이 안전성자산에 무조건 40%이상 입금해야하며, 또한 상품선택의 폭이 좁다는데 있다

 

II. ISA 추가 활용

 

연금활용은 연금저축과 퇴직연금만으로는 부족한 면이 있다. 그래서, 추가로 ISA 상품을 활용하여 최대한 여유자금을 늘릴수 있다. ISA 상품은 세제혜택을 최대한 활용하여, 개인 평생 용돈 계좌로 활용할수 있다. ISA 계좌에 대한 설명은 아래 포스트글에서 확인할수 있다

 

https://webbie.tistory.com/3

 

[ISA] ISA 운영은 어떻게 할까요?

ISA 통장이란 ISA (Individual Savings Account)은 개인의 재산형성을 위해 하나의 계좌에서 종합적으로 여러가지 상품 - 예금·펀드(ETF,리츠 포함)·주가연계증권(ELS) 등 - 을 담아서 세제 혜택을 주는 상

webbie.tistory.com

 

  ISA 계좌에서는 분리과세이므로 투자 하는 금액은 가급적 ISA 계좌에서 운영한다. 수익금이 아닌 원금은 중도 인출이 가능하므로 목돈이 필요할때는 ISA계좌에서 인출한다

 

ISA계좌는 3천만원 정도 모이면, 해지하여 연금저축으로 이관하고 다시 재가입하는것을 권한다

by Jeewon

2022.10.02

 

- 미국 주식을 주된 투자대상자산으로 하며, “S&P 500 Dividend Aristocrats 지수(원화환산)”를 기초지수로 하여 1좌당 순자산가치의 변동률을 기초지수의 변동률과 유사하도록 투자신탁재산을 운용함을 목적으로 한다


- “S&P 500 Dividend Aristocrats 지수(원화환산)”는 S&P Dow Jones Indices LLC에서 발표하는 지수로서, 미국 주식시장 상위 500개 기업으로 구성된 S&P500 지수 종목을 대상으로 배당금을 최소 25년 연속 증가시켜 온 40개 이상의 기업으로 구성된 지수입니다.

 

기본 상품 소개

 

 

현재 기준가 : 10,000원 (2022/09/30 기준)

운용회사 : 미래에셋자산운용

총보수 : 0.25%

순자산총액 : 약 190억원

설정일 : 2022.05.16

일일 거래량 : 259백만원

 

차트

2022년 5월에 상품이 구성되었으며, 5개월간 운영되었으며, 최근 시장 분위기 때문에 좋은 성과는 내지 못하지만

지금 같은 장에서 버틸수 있는 고배당주로 구성되어 있다고 볼수있다

 

구성종목

 

기초지수 - ProShares S&P500 Dividend Aristorats ETF

 

지난 1년간 S&P500 지수와 비교하면 시장이 좋지 않을때 변동성이 작은것을 알수있다. 

 

 

정리

 

- 연금계좌에서 투자할수있는 미국 고배당 ETF

- 시장이 안좋을때 변동성을 어느정도 제한적으로 운용할수 있다

- 아직은 신생상품이니 본인이 국내상장 S&P ETF에 투자하고 있다면, 일부 비율로 투자하여 1년이상 투자해본후, 결정할것 

'투자이야기 > ETF' 카테고리의 다른 글

[금ETF] 골드ETF 비교  (0) 2022.11.12
[ETF] ETF vs 펀드  (4) 2022.10.21
[단기채] 단기채권 ETF  (0) 2022.09.23
[ETF] 신한Sol 미국 S&P500  (0) 2022.08.27
[체크포인트] ETF 점검사항  (2) 2022.08.21

by Jeewon

2022.09.25

 

금융상품에 대한 투자는 다양한 종류가 있다. 그중 주식상품을 기반으로 변동성 심한 주가에 대해 수익구조를 단순화시킨 파생상품으로 ELS가 있으며, 인플레이션으로 인한 자산의 하락, 금리 상승으로 인한 주식의 수익률이 최악의 상황으로 가고 있는 상황에 ELS 상품은 금리 조건을 점점좋게 출시되어 주식투자의 대안으로 고려해봄직한 상품이다

 

• ELS

ELS 상품구조에 대한 이해

• ELS 상품종류(2)

 

ELS(주가연계증권, Equity-Linked Securites) 란

 
  • 개별주식의 가격이나 주가지수에 연동하여 수익율이 결정되는 상품
  • 조건에 따라 상승/하락에도 은행이자 이상의 수익을 기대할수 있다
  • 주식가격의 급격한 변화와 달리 구간별로 단순화 시켜서 수익 추구
  • 짧게는 3개월/6개월의 조기상환을 노리거나 길게는 3년간 상품을 운용한다
  • 상품의 구성 목표는 주식보다 단순한 변동성으로 안정성을 추구, 채권보다는 높은 수익을 추구한다

 

ELS 상품구조에 대한 이해

 

1.기초자산

-상품의 수익을 추구하기 위한 기본 자산 , 개별주식이나 주가지수가 기초자산이 될수 있다. 개별주식이라고 하면 국내, 국외에 상장된 주식, 주가지수는 국내 KOSPI 해외 국가 주가지수가 될수 있다.

-1개의 기초자산이 될수도 있고, 2개이상의 기초자산으로 구성될수도 있다

예를 들면

 

ELS 28366 SK하이닉스, LG화학 :개별주식이 기초자산

ELS 28358 Nikke225, HSCEI, SUROSTOXX50 : 각나라별 주가지수가 기초자산

 

2. 수익구조

기초자산의 변화에 대해 다양한 옵션을 걸어서, 수익을 얻을수 있도록 구성되어있다

옵션에 따라 원금보장도 될수있고, 원금비보장이더라도 수익을 내는것이 쉽게 나올수 있도록 구성될수 있다

종류 설명
녹아웃형 주가 하락시에도 원금 보장
일정구간 내에서는 기초자산 상승률에 비례 수익확정
스탭다운형 가장 많은 유형이며, 정해진 시점(통상 6개월) 마다 정해놓은 주가수준을 유지하면 수익을 확정하고 상환하거나 만기까지 약속된 하한선 이하 하락하지 않은경우 수익확정
월지급형 모든 기초자산의 행사가격이 매월 수익 지급 조건을 충족하면 수익을 지급하는 상품

 

스탭다운

6개월마다 상환조건 확인

-6개월(1)~24개월(4) : 기초자산의 80%이하 하락이 없는지
-30개월(5) : 75%이하 하락이 없는지
-만기(6)

   : 65%이하 하락이 없는지

   : 원금 손실은 조건을 만족하지 못할시 발생

  

by jeewon

2022.09.23.

 

세계적인 불황이다. 각국의 미친듯한 물가상승으로 극심한 인플레이션을 겪고 있는중이다. 그래서, 하루하루가 다르게 금리가 인상중이다. 금리가 하루가 다르게 상승중이라, 장기채권가격이 지속적으로 하락중이다.

그래서, 대개 잔존만기 1년 이하의 채권을 담고 있는 단기 채권에 자금이 몰리고 있다. 이는 단기 채권이 금리 상승에 따른 자산 가격 변화가 크지 않다는 장점이 있어, 금리 인상기에 이자 수익 등 단기적 이익을 노릴 때 주로 투자되고 있다. 금리와 채권 가격은 반대로 움직여서, 채권에 장기투자는 이시기에 삼가하게 된다

 

대표적인 단기 채권 ETF상품은 다음과 같다

 

상품명 운용사 총보수 시가총액
(억원)
연수익 설명
KODEX KOFR금리액티브 삼성운용 0.05 28,405 0.56
(3M)
KOFR 지수를 비교지수
TIGER 단기채권액티브 미래운용 0.07 6,130 1.19 국채, 특수채, 산금채, 중금채, 은행채, 회사채 등의 국내 채권 전체 섹터에 분산 투자
TIGER 미국달러단기채권액티브 미래운용 0.30 5,958 20.08 안정형 자산인 미국 달러 현물 채권에 투자하는 해외채권 ETF
KBSTAR 단기통안채 KB운용 0.13 5,229 0.97 잔존만기 10개월 이내의 한국은행 통화안정증권 10개 종목으로 구성해 지수를 산출
KODEX 단기채권 삼성운용 0.15 14,065 0.79 1년미만 단기 통안채 국고채 투자
KBSTAR 단기국공채액티브 KB운용 0.07 777 0.39 MMF, CMA 처럼 자유로운 환금성&안정적 수익률 추구(듀레이션 0.65)



'투자이야기 > ETF' 카테고리의 다른 글

[ETF] ETF vs 펀드  (4) 2022.10.21
[미국고배당] Tiger 미국S&P500배당귀족  (2) 2022.10.02
[ETF] 신한Sol 미국 S&P500  (0) 2022.08.27
[체크포인트] ETF 점검사항  (2) 2022.08.21
[ETF] 국내 물가연동 채권 ETF  (0) 2022.07.22

by Jeewon

2022.08.27.

 

국내증시에 상장된 미국 S&P500 지수를 추종하는 ETF가 이미 시장에 다양하게 출시되었다. 최근 신한 자산 운용에서 S&P500을 추종하는 ETF를 출시하였다. 그이름 Sol 미국 S&P500 ETF이다

 

상품에 대한 정보는 기본적으로 금융투자 협회에서 확인할수있다

 

 

현재 기준가 : 11,581.79원 (2022/08/26 기준)

운용회사 : 신한자산운용

총보수 : 0.05%

순자산총액 : 약 270억원

설정일 : 2022.06.17

 

총보수는 0.05%이나 기타 비용은 금융투자협회에서 확인해볼수 있다

 

 

기타비용은 0.15%, 총보수는 0.05%

총비용 = 총보수 + 기타비용

그래서 총비용은 0.2%이다

 

 

신한 자산운용에서 기술한 내용중 본상품의 특징을 기술한 내용이 있다. 타 운용사의 제품과 틀린 내용은 최초로 월 배당을 한다는 얘기이다

 

 

 

대표상품 TIGER S&P500 와 비교하면 아래와 같다

 

상품명 TIGER 미국 S&P500 SOL 미국 S&P500
주관사 미래에셋자산운용 신한자산운용
현재가 (22.8.26) 14,020 11,720
시가총액 1400억원 270억원
거래대금(백만원) 9,795 1,142
총보수(%) 0.07 0.05
기타비용(%) 0.08 0.15
운용개시일 2020.08 2022.06.21
배당주기 분기별 월별

 

결론적으로 얘기하면, 아직 시가총액이나 보수면에서는 좀더 지켜봐야 하는 상품이지만, 장기 투자후 국내에서 미국지수 투자를 통해 월배당을 받을수 있는 유일한 상품으로 볼수 있다

 

향후, 월배당 수입을 위해 일정부분 유지해볼수있는 상품이라 할수 있다

'투자이야기 > ETF' 카테고리의 다른 글

[미국고배당] Tiger 미국S&P500배당귀족  (2) 2022.10.02
[단기채] 단기채권 ETF  (0) 2022.09.23
[체크포인트] ETF 점검사항  (2) 2022.08.21
[ETF] 국내 물가연동 채권 ETF  (0) 2022.07.22
[TDF] TDF ETF  (0) 2022.07.03

by Jeewon

2022.08.21

ETF

우선 ETF에 대해 왜 ETF를 투자해야 하는지 알고 싶다면 아래 링크를 참조바랍니다.

 

왜 ETF에 투자해야 하는가 ?

 

여기서, 간략히 ETF의 특징을 말하자면

 

* 특정 지수 또는 가격의 수익을 추종하는 인덱스 펀드

* 거래소에 상장되어 주식계좌를 통해 거래 가능

* 구성종목과 수량 등은 자산 구성내역을 통해 공개

* 1좌를 거래할 수 있는 최소한의 금액만으로 분산투자 효과를 누릴 수 있음

* 펀드보다 운용보수가 낮고 주식에 적용되는 거래세도 붙지 않음

 

ETF 내용 점검

 

아래 사이트에서 기본적인 사항은 확인 가능하다

http://finance.daum.net 

http://finance.naver.com

 

점검할 포인트

중요한 아래 네가지 포인트에서 확인이 필요하다

 

  • ETF 가격정보 - 가격, 일일거래대금, 시가총액등
  • 주요 자산 구성
  • 총보수
  • 벤지마크 대비 괴리율

 

가격 정보 - 현재가, 거래량, 거래대금, 시가총액, 수익율

 

시가총액과 거래량이 충분히 큰 상품일수록 안정적인 ETF라고 할수 있다.

 

주요 자산구성

주요 자산 구성을 통해 , 해당 ETF를 통해 투자 하는 종목과 비율을  확인할수 있다

 

 

상품개요 확인 - 기초지수 , 총보수, 자산 운용사

 

추종 벤치 마크 지수

 

벤치마크 지수 대비 괴리율을 확인하여, 얼마나 충실히 투자가 이루어지는지 확인할수있다

 

추가로, 숨겨진 보수 총비용

앞서 얘기한 총보수를 얘기하였지만, 금융사에서 얘기하지 않은 숨어있는 비용이 있다. 공식적인 보수외에

기타 비용이 있다. ETF를 운영하는데, 종목을 매수하는데, 괴리율을 보정하는데 등등 금융기관이 해당 ETF를 유지하기 위해 드는 숨겨진 비용이 있으며 이는 네이버, 다음에서 확인이 불가하다. 금융투자협회 홈페이지에서 ETF 상품명을 입력하면, 운용사가 공식적으로 공지한 총비용에 대한 비율이 조회된다

 

금융투자협회 

 

투자협회 홈페이지 가서 상품명을 클릭 , TER을 조회하면 됩니다

'투자이야기 > ETF' 카테고리의 다른 글

[단기채] 단기채권 ETF  (0) 2022.09.23
[ETF] 신한Sol 미국 S&P500  (0) 2022.08.27
[ETF] 국내 물가연동 채권 ETF  (0) 2022.07.22
[TDF] TDF ETF  (0) 2022.07.03
[인플레이션] 인플레이션 시대에 투자 ETF  (0) 2022.04.30

by Jeewon

2022.08.12.

 

메타플랫폼스는 많은 주주들의 맘을 아프게 하고 있는 주식이다. 2020~21년에 걸쳐 전세계적으로 메타에 대한 광풍이 불어와서 모두가 열광하던 주식이었지만, 각종 악재와 모바일플랫폼들의 제한된 사용자 정보 액세스로 인해 각종 광고수익이 극도로 악화되었습니다

 

메타(Meta Platforms, Inc.)는 2004년 Facebook Inc.라는 이름으로 설립

창업자는 현재 CEO인 마크 저커버그 포함한 다수의 동업자들

세계 최대 규모의 소셜 미디어 플랫폼인 Facebook을 운영

2012년에 인스타그램, 2014년엔 왓츠앱오큘러스를 인수

2021년에는 명칭을 페이스북에서 메타로 변경

 

주가현황

현 주가는 2022년 기준으로 $179 입니다.  지난 52주간 $384 ~ $154 간의 변동성을 가지고 있음 볼수있습니다
 

차트분석

차트를 보자면 작년에는 최대 $378의 최고점을 찍고서 22년 8월현재, $160로 최저점을 기록 최고점대비 50%이상 하락한것을 알수 있다.

 

 

매출현황

21년까지 메타는 매출액은 꾸준히 증가했을 알수 있다. 하지만 아래 분기별 수익에 대해 변화를 보면 2022년들어서 확연히 이익이 줄어드는것을 볼수 있으며, 특히 광고 수익이 많이 줄은것을 알수 있다.

자회사 및 서비스

메타 플랫폼의 자회사는 페이스북, 메신저, 인스타그램, 왓츠앱, 오큘러스의 5가지 서비스 사업으로 구생되어 있다.
각각에 대한 설명은 아래와 같다.
페이스북: 사용자가 30억 명에 육박하는세계 최대의 소셜 미디어 플랫폼 서비스. 2004년 창업 때부터 20211028일까지의 회사명이었다.
인스타그램사진 촬영과 공유에 특화된 소셜 미디어. MZ세대를 중심으로 한 청소년 및 청년층이 가장 많이 쓰는 중 하나로 꼽힐 만큼 SNS 분야에서 폭발적인 인기와 압도적인 점유율을 보이고 있다. 글을 중심으로 하는 페이스북 서비스보다 더 잘 나가는,[6] [7] 말 그대로 메타의 효자. 인수 당시 1조 원을 들인 저커버그는 고평가 논란과 함께 '너무 많은 돈을 들여 괜한 짓 한다'는 주위의 회의적인 시선을 한몸에 받았다. 하지만 인스타그램의 현재 가치는 111조 원이 넘는다. 이제는 메타가 인수합병(M&A)을 통해 시장을 독점한 핵심 사례로 규제당국에게 지목당하는.
왓츠앱: 모바일 메신저 서비스[8]. 문자 메시지와 이메일 사용 빈도가 높은 미국과 현지 메신저들(카카오톡라인위챗 등)이 시장을 장악한 동아시아, 지역적 특수성으로 글로벌 기업이 제대로 진출하지 못한 일부 국가를 제외하면 페이스북 메신저와 함께 세계에서 가장 널리 쓰이는 모바일 메신저. 특히 유럽 일대에서 점유율이 높다.
오큘러스: 가상현실(VR) 기기를 개발하는 회사. 현재 VR 기기 시장에서 압도적인 1를 차지하고 있다. 페이스북소셜미디어 사업을 중심으로 했던 메타가 SNS 기업을 넘어 메타버스 기업으로 발돋움하겠다는 비전을 밝힌 현재메타버스 부문의 하드웨어를 담당하는 핵심 회사가 될 예정. 다만 20211028페이스북 사내에서 리얼리티 랩을 책임지는 앤드류 보스워스 부사장이 '오큘러스 퀘스트''메타 퀘스트', '오큘러스 ''메타 퀘스트 '으로 개칭하겠다고 밝혔다. 이에 따르면 메타로 새출발하는 페이스북 산하에서 오큘러스 브랜드가 소멸하고 '메타' 브랜드로 대체될 것으로 보인다.

'투자이야기 > 기업분석' 카테고리의 다른 글

[기업분석]엔비디아  (0) 2022.06.19
[기업분석] 삼성전자  (0) 2022.06.03

by Jeewon

2022.08.06

 

 

• 직장인들이 향후, 은퇴시까지 활용할 있는 연금자금은 개인연금, 퇴직연금, ISA를 상품을 이용하여 세제혜택을 최대한 활용하는게 좋다

 

연금 상품을 활용하는 이유

 

첫번째, 시간에 투자할수 있다

 

전문가는 각종 투자를 할때, 시황, 적절한 시기, 충분한 자금, 위험관리, 자산배분 등 수많은 조정을 통해 목표로 하는 수익을 위해 투자를 하며, 위험을 최소화하려고 노력한다. 하지만, 개인들은 어느 요소 하나 적절히 사용하기 쉽지 않다. 하지만, 유일하게 개인이 수익을 올릴수 있는 방법은 시간에 투자하는것이다

 

기술된 연금 상품은 가입후 중도 해지시 가입기간동안 받은 세제 혜택과 세금을 모두 부담하는 상품으로, 연금수령시까지 계속 가져가야 하는 상품이다.  20대면 40년을 투자하고, 30대면 30년을, 40대면 20년을 투자한다고 생각해야 한다. 각 기간에 따른 수익금의 차이를 보면 시간에 따른 차이가 큰걸 알수 있다.

연 수익은 복리로 연 7% 수익을 목표로 하면 하면 다음과 같다. 20대에 연 천만원투자는 어려울수 있다. 하지만 투자액을 지속적으로 늘린다는 생각으로 투자를 계속 해야 한다

 

나이대 투자기간 원금( 천만원 투자시 ) 예상 수익금(7%)
20 40 천만원 * 40 = 4 24억
30 30 천만원 * 30 = 3 10억
40 20 천만원 * 20 = 2 5억
50 10 천만원 * 10 = 1 2억

 

연간 투자할수 있는 금액을 늘리면 수익은 훨씬 더 늘어 나게  된다. 40대, 50대에서는 수입이 더 늘어 날수 있으니 투자 금액을 각 연금 상품에서 최대 금액을 투자하면 다음과 같다

( 퇴직연금+연금저축 = 1800만원, ISA = 연 1000만원, 전체 = 2800만원)

 

나이대 투자기간 원금( 천만원 투자시 ) 예상 수익금(7%)
40 20 28백만원 * 20 = 56천만원 12억
50 10 28백만원 * 10 = 28천만원 4억

 

시간에 대한 투자를 통해 20년이상의 투자를 통해 10억대 이상의 노후 자금을 마련할 수 있다

 

두번째, 강력한 세제 혜택을 누릴수 있다

 

현재, 개인이 활용할수있는 상품은 연금저축, 퇴직연금이다. 이들 상품의 가장 특징은 세액공재, 과세이연, 분리과세 세가지로 볼수 있다.

세액공제는 두상품 합산 연간 최대 700만원까지 세액공제 가능하며, 연말정산시 최대 115만원을 돌려 받을수 있다.

과세 이연 효과란 과세를 추후 연금 수령시 세금정산을 하도록 늦출수 있는것을 말하는데, 연간 투자수익금에 대해 통산 16.5%의 과세를 하지만, 60세이후 수령시에는 3.3~5.5%의 낮은 연금소득세를 내는 효과를 볼수 있다. 

분리과세란 소득에 대해 최대 45%까지 과세를 하지만, 연금수령시 연 1200만원까지는 연금 소득세만 낼뿐 추가 과세를 하지 않는다는 얘기이다.

 

정리하자면

 

 

 

 

by Jeewon

2022.7.29

 

경기 순환

 

경기(경제)가 상승과 하락을 일정한 주기를 두고 반복

한 국가의 총체적 경제활동에서 나타나는 변동의 형대로 확장기(expansion), 후퇴기(recession), 수축기(contraction), 회복기(revival)로 구성

 

  • I 사분면 : 확장(expansion), 장기추세선을 상회하면서 상승
  • II 사분면 : 후퇴(recession), 장기추세선을 상회하면서 하락
  • III 사분면 : 수축(contraction), 장기추세선을 하회하면서 하락
  • IV 사분면 : 회복(revival), 장기추세선을 하회하면서 상승

각 국면별 상세한 상황을 기술하면 다음과 같다

 

사이클 구분 상세 내용
경기상승
투자증가/생산증가/소비증가
국민소득증가, 고용량 증대로 실업률 감소
통화량 증가, 물가상승(인플레이션 발생)
경기둔화

과잉투자로 소비점차감소, 기업재고량 증가
일자리감소, 실업자 점진적증가, 기업 R&D축소, 투자축소
소득감소와 물가하락
경기하강
불경기: 생산량 급감(최저), 실업급증
기업이윤 감소 : 적자기업 증가, 도산(파산)하는 기업 생겨
지속되는 물가하락으로 소비 지출이 늘어날 기미를 조금 보임
경기회복
심리적회복기 시작 : 경기 바닥론 팽배, 자금 수요 증가
기업들의 투자심리 회복, 생산량도 점진적 증가 추세
경기가 확정단계로 접어들기 전 단계

 

국내 경기 순환 사이클 시계는 통계청을 통해 조회 가능하다

 

https://kosis.kr/visual/bcc/index/index.do?mb=N 

 

경기순환시계

크기 X-12 X-10 X-6 X-4 02 / 2018 둔화 상승 하강 회복 추세 상회 추세 하회 전기대비 증가 전기대비 감소 *원하는 시점부터 경기순환시계가 돌아가는 모습을 볼 수 있습니다. 경기순환시계는 주요경제

kosis.kr

by Jeewon

2022.07.23

 

작년부터 많은 투자자들이 실망스러운 시간을 보내고 있다. 주식은 마냥 하락하고 있고 최근 코로나 펜데믹 이후 2년간 주식시장이 활황이어서 많은 사람들이 불나방처럼 달라들었다.

많은 수익도 내고, 어디든 투자하면 수익을 내는것 처럼 보였다

지금은 많은 이들이 경기침체를 논하고있고, 어떻게 대응할지 많은 고민들이 있다

 

그럼 불황에 대한 정의에 대해 알아보자

일단, 불황은 경기침체 , 경기 하강과 동일하게 이해 하면 된다

 

그 의미는

 

경기 순환의 여러 국면에서 경기가 하락하는 상태, 즉 경제 활동의 전반적인 감소로 나타나는 경제 활동 위축이다

 

  • 일정 기간 동안 연속해서 국내총생산(GDP)가 감소하는 국면
  • 수 개월간 실질 GDP, 실질 소득고용, 산업의 생산량, 총소비액 등이 감소세를 보이면 경기후퇴로 판정(미국)
  • 2분기 연속 경제성장률이 마이너스(영국)
  • 전기 대비 경제 성장이 일정 정도 이상 둔화(대한민국)

결론적으로 경기성장률이 연속적으로 마이너스 성장을 보이면 경기침체로 보는게 타당한것 같다.

 

국내 경기성장률 확인

 

국내 경기 성장률은 e-나라지표에서 확인가능하며 아래 사이트에서 확인하면 된다

https://www.index.go.kr/potal/main/EachDtlPageDetail.do?idx_cd=2736 

 

국내총생산 및 경제성장률 (GDP)

국내총생산 및 경제성장률 (GDP)

www.index.go.kr

예시로 2020년 2사분기와 3사분기가 같이 조회하면, 2분기 연속 성장률이 마이너스(-)를 기록하므로 통상적으로 경기 불황이라고 볼수 있다.

반면, 2022년 1사분기 까지 발표된 경기성장률을 확인해보면 아래와 같다

2022년 1사분기까지는 아직 시장이 마이너스 성장을 보이고 있지 않아, 본격적인 경기 불황이라고 하기는 힘든 상태이다. 분기별로 발표되는 경기성장률을 보면 언제 경기 불황인지를 확인할수 있다.

 

미국 고용지표 확인

 

미국의 실업률은 아래 사이트에 확인가능하며, 보통 12개월 평균값보다 전월 실업률이 높을 경우 경기침체 상황이라고 해석하기도 한다

https://kr.investing.com/economic-calendar/unemployment-rate-300

 

미국 실업률

실업률 같은 주요 경제 이벤트 및 글로벌 마켓에 미치는 그 영향력을 실시간으로 확인하세요.

kr.investing.com

12개월 평균값은 아래 포스트에서 내용 확인가능 하다

 [포트폴리오]LAA 전략

 

[포트폴리오] LAA전략

by Jeewon 2022.03.01 LAA(Lethargic Asset Allocation) 최근 자산 투자에 많은 관심이 있습니다. 여태껏 주식투자를 위해 어느종목을 투자할지 고민해왔지만, 그 위험성 때문에 자산을 적절히 안정적인 수익과

webbie.tistory.com

 

'투자이야기 > 이것 정도는' 카테고리의 다른 글

[경제 지표] 경제시황 확인  (0) 2022.10.09
[용어] 경기 순환 (변동)  (0) 2022.07.29
[MDD]Maximum DrawDown  (0) 2022.06.26
[경제지표] 경기종합지수  (0) 2022.06.24
[주식용어] PBR, PER, EPS, ROE, ROA  (0) 2022.04.29

by Jeewon

2022.07.22

 

그동안 국내에는 물가연동채권은 있었지만, ETF 상품은 없었다. 미국은 다양한 ETF가 있으며 물가연동 대표 ETF로 TIPS가 있다. 인플레이션이 심한 지금 시기에 특별히 헤지수단으로 적절한 상품을 찾기 쉽지 않다. 당연히 물가가 상승할것이라 물가에 연동된 물가 연동 채권에 투자하면 어느정도 헤지 되지 않을까 생각하는 와중에 국내에 ETF 상품이 나왔다.

 

KOSEF 물가채KIS

 

물가연동국채에 투자하는 국내 최초 ETF

국내 물가연동국채는 소비자물가지수(CPI)에 연동된 만기 10년물 국채로 2년에 한 번씩 발행되며 해당 채권에 투자하는 ETF 상품이다

 

지금 시세 현황은 아래와 같다

나온지 몇개월 되지 않아 아직 거래량과 거래대금은 크지 않다. 하루 거래량이 7/22 기준 330주, 거래대금은 33백만원이라고 보면 된다. 

 

시가 총액은 100억규모로 크지 않은 규모로 판단하면 되겠다

 

최초 상장일은 22.5.30 이며, 총보수가 0.15% 로 조금 높은편이다

 

개인적인 의견은 본인의 포트폴리오 구성상 일부 채권에 투자 하고 있다면, 채권비중에서 일부는 물가연동 채권 ETF에 넣어서 인플레이션 헤지로 활용하는것이 좋을것 같다

'투자이야기 > ETF' 카테고리의 다른 글

[ETF] 신한Sol 미국 S&P500  (0) 2022.08.27
[체크포인트] ETF 점검사항  (2) 2022.08.21
[TDF] TDF ETF  (0) 2022.07.03
[인플레이션] 인플레이션 시대에 투자 ETF  (0) 2022.04.30
[미국채]국내상장 미국채ETF  (0) 2022.04.24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