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y Jeewon
2022.07.23
작년부터 많은 투자자들이 실망스러운 시간을 보내고 있다. 주식은 마냥 하락하고 있고 최근 코로나 펜데믹 이후 2년간 주식시장이 활황이어서 많은 사람들이 불나방처럼 달라들었다.
많은 수익도 내고, 어디든 투자하면 수익을 내는것 처럼 보였다
지금은 많은 이들이 경기침체를 논하고있고, 어떻게 대응할지 많은 고민들이 있다
그럼 불황에 대한 정의에 대해 알아보자
일단, 불황은 경기침체 , 경기 하강과 동일하게 이해 하면 된다

그 의미는
경기 순환의 여러 국면에서 경기가 하락하는 상태, 즉 경제 활동의 전반적인 감소로 나타나는 경제 활동 위축이다
- 일정 기간 동안 연속해서 국내총생산(GDP)가 감소하는 국면
- 수 개월간 실질 GDP, 실질 소득, 고용, 산업의 생산량, 총소비액 등이 감소세를 보이면 경기후퇴로 판정(미국)
- 2분기 연속 경제성장률이 마이너스(영국)
- 전기 대비 경제 성장이 일정 정도 이상 둔화(대한민국)
결론적으로 경기성장률이 연속적으로 마이너스 성장을 보이면 경기침체로 보는게 타당한것 같다.
국내 경기성장률 확인
국내 경기 성장률은 e-나라지표에서 확인가능하며 아래 사이트에서 확인하면 된다
https://www.index.go.kr/potal/main/EachDtlPageDetail.do?idx_cd=2736
국내총생산 및 경제성장률 (GDP)
국내총생산 및 경제성장률 (GDP)
www.index.go.kr
예시로 2020년 2사분기와 3사분기가 같이 조회하면, 2분기 연속 성장률이 마이너스(-)를 기록하므로 통상적으로 경기 불황이라고 볼수 있다.
반면, 2022년 1사분기 까지 발표된 경기성장률을 확인해보면 아래와 같다
2022년 1사분기까지는 아직 시장이 마이너스 성장을 보이고 있지 않아, 본격적인 경기 불황이라고 하기는 힘든 상태이다. 분기별로 발표되는 경기성장률을 보면 언제 경기 불황인지를 확인할수 있다.
미국 고용지표 확인
미국의 실업률은 아래 사이트에 확인가능하며, 보통 12개월 평균값보다 전월 실업률이 높을 경우 경기침체 상황이라고 해석하기도 한다
https://kr.investing.com/economic-calendar/unemployment-rate-300
미국 실업률
실업률 같은 주요 경제 이벤트 및 글로벌 마켓에 미치는 그 영향력을 실시간으로 확인하세요.
kr.investing.com
12개월 평균값은 아래 포스트에서 내용 확인가능 하다
[포트폴리오] LAA전략
by Jeewon 2022.03.01 LAA(Lethargic Asset Allocation) 최근 자산 투자에 많은 관심이 있습니다. 여태껏 주식투자를 위해 어느종목을 투자할지 고민해왔지만, 그 위험성 때문에 자산을 적절히 안정적인 수익과
webbie.tistory.com
'투자이야기 > 이것 정도는' 카테고리의 다른 글
[경제 지표] 경제시황 확인 (0) | 2022.10.09 |
---|---|
[용어] 경기 순환 (변동) (0) | 2022.07.29 |
[MDD]Maximum DrawDown (0) | 2022.06.26 |
[경제지표] 경기종합지수 (0) | 2022.06.24 |
[주식용어] PBR, PER, EPS, ROE, ROA (0) | 2022.04.2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