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y Jeewon
2022.10.09
각종 현재의 경제 시황을 알수 있는 각종 지표와 그 의미는 다음과 같다. 기본적으로 아래 지표들로 부터 현재 경제 현황과 앞으로 예측등을 어느정도는 판단할 수 있다
경제지표 | 의미 | 확인 사이트 |
한국 기준 금리 | 한국은행이 금융기관과 환매조건부증권(RP) 매매, 자금조정 예금 및 대출 등의 거래를 할 때 기준*이 되는 정책금리 | https://www.bok.or.kr/portal/singl/baseRate/progress.do?dataSeCd=01&menuNo=200656 |
한국 경기 성장률 | 실질 국내총생산(Gross Domestic Product, GDP)의 연간 증가율을 백분율로 나타낸 것임. 즉, 금년의 실질 GDP가 작년보다 얼마나 더 증가 혹은 감소하였는지를 나타내는 지표 | https://www.index.go.kr/unify/idx-info.do?idxCd=4201 |
한국 소비자 물가 지수 | 각 가정이 생활을 위해 구입하는 상품과 서비스의 가격 변동을 알아보기 위해 작성하는 통계 | http://kostat.go.kr/incomeNcpi/cpi/index.action |
원 – 달러 환율 | 외국 돈과 우리 돈의 교환비율 | https://finance.daum.net/exchanges |
미국 기준 금리 | https://ko.tradingeconomics.com/united-states/interest-rate | |
미국 실업률 | 지난달 실업상태에 있으며 적극적으로 구직활동을 하는 총노동력의 비율 | https://kr.investing.com/economic-calendar/unemployment-rate-300 |
미국 소비자 물가 지수 | 소비자의 시각에서 상품 및 서비스 가격의 변동을 측정하며, 구매 동향 및 인플레이션의 변동을 측정하는 중요한 수단 | https://kr.investing.com/economic-calendar/cpi-733 |
한국 기준 금리
• 한국은행이 금융기관과 환매조건부증권(RP) 매매, 자금조정 예금 및 대출 등의 거래를 할 때 기준이 되는 정책금리, 다시 말해 한국은행이 시중 은행/금융기관에 돈을 빌려주면 받는 기준 이자
• 시장에 미치는 효과 (기대효과)
보통 경제정책 이나 정부입장에서 금리의 효과로 아래와 같은 효과를 기대한다. 하지만 실제 시장현황은 보다 더 복잡하여 꼭 아래와 일치 하지 않는다
기준금리 인상 –> 통화량 감소 –> 경기 감소/침체 –> 주가하락
기준금리 인하 –> 통화량 증가 –> 경기 활성/과열 –> 주가상승
기준금리의 영향
만약 금리를 인상하게 되면, 아래의 상황을 예측할수 있으며, 금리를 인하하면 아래와 반대와 같은 상황이 발생한다고 생각하면 된다
'투자이야기 > 이것 정도는' 카테고리의 다른 글
[환율] 엔 환율 확인 (0) | 2022.10.29 |
---|---|
[정책] 인플레이션 감축법안 (Inflation Reduction Act of 2022) (0) | 2022.10.14 |
[용어] 경기 순환 (변동) (0) | 2022.07.29 |
[경제용어] 불황이란 (0) | 2022.07.23 |
[MDD]Maximum DrawDown (0) | 2022.06.2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