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y Jeewon

2022.07.03

 

TDF(Target Date Fund)

 

근로자의 은퇴 날짜에 맞춰 주식과 채권 비중을 조절하여 운용하는 펀드

타겟데이트에 맞춰 2030, 2040, 2050과 같이 은퇴날짜를 펀드이름에 같이 명기되어 있다

연령, 은퇴시기에 따라 위험자산과 안전자산의 비중이 자동으로 조정되기 때문에 효율적인 자산 관리가 가능

 

유의사항

 

국내에 활성화된 지 오래되지 않아 장기간 수익률을 통계적으로 보여주지 못하고 있다.

 

ETF 출시

 

기존 Active fund형태로 출시되던 상품이 대거 ETF로 출시되었다

주식처럼 실시간으로 거래할수 있다

Fund 비해 운용보수가 싸다

 

ETF 출시 상품

 
상품명 운용사 총보수
ARIRANG TDF2030 / 2040 / 2050 / 2060액티브 한화자산운용 0.2%
KODEX TDF2030 / 2040 /2050 액티브 삼성자산운용 0.2%
히어로즈 TDF2030 /2040 / 2050 액티브 키움투자자산 0.3%

 

주요 자산 구성

분류 구분 한화자산운용 삼성자산운용 키움투자자산운용
위험자산 선진국주식 KODEX 선진국 MSCI
미국 S&P500
Vanguard European ETF
IShares MSCI Canada ETF
JPM BetaBuilders Japan
VANGUARD S&P 500 ETF
iShares S&P500 Index Fund
SPDR S&P500 ETF



JPM BetaBuilders EU
IShares MSCI Japan index
IShares MSCI Australaia INDX
신흥국주식 ISHARES CORE MSCI EMERGING
ARIRANG 200
ISHARES CORE MSCI EMERGING ISHARES CORE MSCI EMERGING
글로벌주식 IShares MSCI World DTF iShares Core Dividend Growth ETF
VANGUARD HIGH DVD YIELD ETF
IShares Global
안전자산 한국국채 Arirang 국채선물10년 KODEX 국채선물10년
KODEX 종합채권
KODEX 장기종합채권
KODEX 국고채3년
KINDEX 단개채권PLUS
 
신흥국국채 IShares JP MORGAN USD EMERGING    
선진국국채 IShares International Treasure BOND ISHARES US REAL ESTATE ETF JPM US AGG BOND ETF
글로벌      
현금 원화 원화예금 원화예금
USD 예금
      맥쿼리인프라

 

by Jeewon

2022.06.26.

 

주식투자를 시작하고서, 많은 지표를 보고 있자면, 주식 가격의 변동성을 판단할때, 최대 손실이 얼마나 되었는지 보는 중요한 지표MDD(Maximum DrawDown) 이라 할수 있다. 

 

MDD( Max Draw Down) : 최대손실폭

 

한마디로 설명하면, 새로운 고점에 도달하기전 이전 전 고점에서 저점까지 최대 손실을 의미한다. 특히, 시장을 길게 투자하고자 할때 주식의 시장 변동성과 예상할수 있는 최대 손실을 예상하여, 투자의 방향을 정할수 있다. 그래서, 개인들은 포트폴리오/펀드가 안정적으로 수익을 창출 할수 있게, MDD가 최대한 작게 구성하는것이 좋은 전략이라 할수 있다.

 

KOSPI의 MDD

 

다음 그래프는 1997년부터 한국 주식시장, KOSPI 의 변동성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역사적으로 보면 코스피시장은 MDD가 40~60%를 나타내는 변동성이 큰시장이다. 크게 떨어진후 전고점을 회복하는데 길게는 5년 짧게는 2년의 시간이 걸렷다는 것을 알수 있다. MDD가 50%란 얘기는 손실이 -50%이며, 투자한 자금이 반토막이 났다는 얘기이다. 1억을 투자했으면 순식간에 5천만으로 추락한것이다. 정말 살벌한 시장이라고 생각하며, 이런 부분을 참조해서, 주식투자에 유의 해야 한다

 

 

MDD의 제약

 

MDD가 하방경직성, 가격안정성 등에 대해 나타내지만, 모든 것을 파악하는 데 한계가 있습니다. 

  

  1. MDD가 가격 하락의 빈도를 반영하지는 못한다.  MDD는 시장 붕괴시 얼마나 깊게 골을 형성할 수 있는가를 측정하지, 얼마나 자주 가격이 무너지는지에 대한 것을 알수가 없다.

 

  2. MDD가 회복 속도를 알려주지는 못합니다. 가격이 무너지고 난 후 얼마나 빠른 시간 안에 본래 가격을 되찾으며 상승하는지는 MDD가 표현하지 못한다. 

'투자이야기 > 이것 정도는' 카테고리의 다른 글

[용어] 경기 순환 (변동)  (0) 2022.07.29
[경제용어] 불황이란  (0) 2022.07.23
[경제지표] 경기종합지수  (0) 2022.06.24
[주식용어] PBR, PER, EPS, ROE, ROA  (0) 2022.04.29
[달러] 달러지수  (0) 2022.02.25

by Jeewon

2022.06.24

 

경기종합지수

국민경제 전체의 경기동향을 쉽게 파악하기 위하여 경제부문별(생산투자,고용소비 등)경기에 민감하게 반영하는 주요 경제지표들을 선정한 후 이 지표들의 전월대비 증감률을 합성하여 작성

 

개별 구성지표들의 증감률 크기에 의해 경기변동의 진폭까지도 알 수 있으므로 경기변동의 방향, 국면 및 전환점은 물론 속도까지도 동시에 분석할 수 있다

경기종합지수에는 선행(Leading), 동행(Coincident), 후행(Lagging)종합지수가 있음

 

경기선행종합지수

경기동향을 예측하는 지표로서 구인구직비율건설수주액재고순환지표 등과 같이 앞으로 일어날 경제현상을 미리 알려주는 9개 지표들의 움직임을 종합하여 작성

 

선행종합지수 구성지표


1. 재고순환지표 2. 경제심리지수 3. 건설수주액(실질) 4. 기계류내수출하지수(선박제외) 5. 수출입물가비율 6. 코스피 7. 장단기금리차

 

경기동행종합지수

 

현재의 경기상태를 나타내는 지표로서 광공업생산지수, 소매판매액지수, 비농림어업취업자수 등과 같이 국민경제 전체의 경기변동과 거의 동일한 방향으로 움직이는 7개 지표로 구성됨

 

경기 후행종합지수

 

경기의 변동을 사후에 확인하는 지표로서 생산자제품재고지수, 회사채유통수익률, 가계소비지출 등과 같은 5개 지표로 구성됨

 

한국의 경기종합지수는 통계청에서 확인 가능하며, 나라지수 사이트에서 확인가능하다

 

출처 통계청「산업활동동향」

 주석 추세치=100을 기준으로 순환변동치가 100을 상회하면 추세이상의 성장을 하고 있고 100을 하회하면 추세이하의 성장을 하고 있다고 볼 수 있으며 순환변동치 수준보다는 방향 중심으로 해석

 

사이트에서 경기 동행지수와 선행지수를 볼수있다 일반적으로 선행지수는 3~6개월 앞서 경기예측을 할수 있다. 2022년4월 기준으로 경기 선행지수는 지속적으로 하락을 보이고 있어 앞으로 경기는 점차 하락으로 전환될것으로 전망할수 있다.

 

상세 정보는 위의 테이블형태로 확인수 있으며, 상세한 기간동안에 대한 통계치는 "시계열조회"를 통해 확인할수있다

 

 

by Jeewon

2022.06.19.

 

엔비디아(NVIDIA, 나스닥NVDA)

 

  • 컴퓨터 GPU를 설계/디자인하는 회사
  • 2021년 기준 시가총액 7000억 달러
  • 매출 부분에서 독립형 GPU 시장점유율 1위, 자율주행 자동차 부문 1위, 반도체 분야에서 10위권

지난 5년간 주가 흐름이다. 2021년기준 최고가 $300 이상을 찍고 현재 하락하여, $150 정도 에 거래 되고 있다

'투자이야기 > 기업분석' 카테고리의 다른 글

[기업분석] 메타플랫폼스  (0) 2022.08.12
[기업분석] 삼성전자  (0) 2022.06.03

by Jeewon

2022.06.18.

 

최근 시황이 좋지 않다. 주식을 투자하기 위해 많은 증권사가 있으며, 쏟아져나오는 상품도 많고, 한마디로 어지럽다.

해외에 명품이라 불리는 마젤란펀드, 투자의 귀재 워렌버핏. 다들 들어 알고 있다

과연 국내에도 믿고 맡기거나 안정적인 상품, 증권사, 투자자문회사등이 있을까?

그런데 모든 사람들이 알고 있지만, 모두가 외면하고 있고 가장많은 규모의 투자를 하는 곳이 있다. 그것은 바로 "국민연금공단" 이다. 사실 국내에서 가장 보수적으로 그리고, 오랫동안 안정적인 투자를 이어 가고 있다고 볼수 있다. 

국민연금에 대한 통계는 "https://www.nps.or.kr/jsppage/fund/mcs/mcs_08_01.jsp" 에서 확인 할수 있으며, 모든 정보가 공개되어 있다. 그래서, 개인이 직접 확인 할수 있다.

국민연금의 현재 적립그 규모는 938조 규모이다

국민연금 포트 폴리오 구성이다

국내주식,해외주식, 채권, 대체 투자 등 확실한 구성이라고 볼수 있다.

국민연금 포트폴리오를 자신의 포트폴리오로 간주 할수있다..

지금 형태의 투자를 지속할 경우 국민연금의 수익률을 확인해보면 된다

 

국민연금의 기대 수익율은 6~8%로 볼수 있다. 

by Jeewon

2022.06.17.

근래 주식 방송의 다양화로 많은 분들이 다양한 컨텐츠를 보고 있다

그중에서 삼프로 TV가 유명한데, 그중 패널중 한분이신

사경인님의 방송이 내게 참 많은점에서 공감을 가지게 했다

그래서, 사경인님의 책 중 하나를 구매하게 되었는데,

책이름은 바로 "사경인의 친절한 투자과외"

아직 모두 읽은건 아니지만,

이해가 참 쉽게 쓰여져있다.

 

기본적으로 사경인님의 회계학 전공이시라 전문용어들이 난무할거라 생각했지만,

가족을 대상으로 문답식으로 이뤄진 책이라,

참 쉽게 설명을 해주고 있다

 

앞부분에서 주식과 부동산 수익에 관한 설명을 하고 있다

아래표를 보면 지난 1980~2022년까지 수익을 비교한것인데,

모든 지수의 시작은 100으로 가정하고 

확인을 해보자

 

주식, 코스피지수의 수익이 월등히 높아보인다

구분 기준시점 지수 비교시점 지수 연간상승률(CAGR)
코스피지수 1986-01-15 155.86 2020-12-15 2756.82 8.58%
아파트가격지수 1986-01-15 20.973 2020-12-15 109.346 4.84%

코스피지수는 동기간동안 17.7배로 연평균 8.58% 의 상승이 발생했고, 아파트지수는 5.2배로 연평균  4.84%의 상승 가져왔다. 이 지수 수익 그래프는 많이들 인용되는 그래프로, 단순히 주식이 훨씬더 나은것처럼 보인다

 

하지만, 수익률을 10년단위로 나눠서 보면

1980년대는 주식의 대호황기로 연평균 상승률이 53%에 달했으나 이후 1990년대 이후로는 연평균 5%이하의 상승률을 보이고 있다. 이말은 다시말해 주식투자를 하고 10년 기다리면 겨우 본전이 나오는 경우가 있을수 있다고 볼수 있다.

반드시 주식투자가 부동산 투자보다고 낫다고 보기 힘들어진다.

 

이를 다시 재구성해서 시작점을 1990년으로 바꾸면 아래와 같다

시점을 바꾸면 오히려 주식수익이 떨어지는것 처럼 보인다.

즉 얘기하고 싶은것은 시점의 차이를 보면, 그래프는 소개하는 사람의 의도에 따라 달라질수 있으므로,

자신의 방법과 해석이 반드시 따라야 한다는 얘기이다

 

여기서 저자는 다시이를 매월 이동시키며 5년 투자했을 수익을 비교하고 있다

  5년 수익율 연환산 수익율 승리회수
  평균값 중간값 평균값 중간값 최대값 최소값
코스피 52.57% 32.11% 7.89% 5.73% 26.45% -2.28% 133회
아파트지수 25.0% 18.39% 4.44% 3.43% 10.30% 1.68% 47회

5년 투자로 비교해보면 연환산수익률로 기대할수있는

수익률 코스피가 7.89%, 아파트 지수는 4.44%의 평균을 보이고 있다

확실히 주식투자가 좀더 나아 보인다.

 

하지만 이책에서는 좀더 정리를 하게 되는데,

주식은 배당금, 아파트의 경우 월세를 감안하여 다시 비교하고,

보유기간에 따라 수익률이 어떻게 바뀌는지 독자들에게 각인시켜주고 있다

 

 

'책돌아보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리뷰] 거인의 포트폴리오  (0) 2022.02.12

2022.06.03

by Jeewon

 

국민주라 불리는 삼성전자 주식하는 개인이면, 누구나 가지고 있는 주식이다

특히 작년에 엄청난 주식붐이 불면서 누구나 망하지 않을 주식이라며, 적금대신 가져갈려고들 많이 하고 있다

 

삼성전자의 지난 10년간 주가추이를 보면 다음과 같다. 주가 종목에 대한 종목은 다음이나 네이버에서 조회해 볼수 있다

현재가는 66,800(22.6.3 기준) 이며, 최고점(96,800) 대비 30%가량 하락 한 상태이다. 주가는 레벨업 되듯이 지속적으로 상승하였으며, 10년간 3배이상의 상승을 보여줬다. 하지만,  주의 해야 할점은 삼성전자는 대체로 전고점 대비 하락시, 재 돌파하는데 2년이상의 기간이 시간이 걸린다. 따라서 투자시 2년이상의 투자를 고려하는게 좋아보입니다

 

삼성전자 종목에 대해서 더 상세히 확인해볼수있는데, 기업개요를 확인해보면

 

 

'투자이야기 > 기업분석' 카테고리의 다른 글

[기업분석] 메타플랫폼스  (0) 2022.08.12
[기업분석]엔비디아  (0) 2022.06.19

by Jeewon

2022.05.28.

 

미국주식 투자를 해야 하나?

 

2020년부터 국내투자자들의 미국주식에 많은 투자금이 몰려왔다. 그 이유는 몇가지가 있다. 무엇보다도 해외투자 방법이 아주 단순해졌다. 본인의 증권사앱에서 해외 주식을 바로 조회하고, 바로 매수 매도를 할수 있게 되었다. 그리고, 그다음으로는 국내 주식과 해외주식 특히 미국주식의 차별화 있다. 세계적인 글로벌 기업들의 실적의 개선에 따라 미국주식은 지속적으로 상승했다는 것이다. 국내 주식이 지루한 조정장세 및 하락 장세가 지속되는 동안 미국 주식은 실적이 개선되거나 성장성 확인 될때마다 주식가격에 현재 시황이 반영된다고 볼수 있다.  마지막으로, 세계에서 가장 큰 시장이다. 국내 KOSPI, KOSDAQ은 수십~수백조로 투자되지만, 미국 주식시장에 투자되는 단위는 조단위가 아니라 경단위의 아주 큰시장이다. 소소한 소문이나 세력들의 장난에 의해 조정될수 없을 정도로 큰 시장이다

 

투자 이유

1. 세계에서 가장 오래되고 자본이 모두 모여있는 1등 시장

세계 주식 시장의 2/3 자본이 미국 주식시장에 모여 있어, 일부 세력만으로, 자본만으로 주식시장을 좌지우지 할수가 없으며, 주요자본들이 모두 모여있다. 

 

2. 국내증권사를 통해 매수/매도가 편리해짐

3. 철저히 실적에 의해 평가 받는 시장

 

 

(TBD)

by Jeewon

2022.05.10

 

NFT가 엄청난 공전의 열풍을 불고 왔다가 최근에는 점차 사그라지는듯하다. 디지털세계에서 새로운 카테고리의 상품처럼 느껴 졌었다. NFT는 대체불가능한 토큰(자산)이고, 해킹, 임의수정이 불가능한 특징을 가지고 있어서 디지털자산에 대한 소유권을 완전히 바꿔줄것 처럼 보였다. 하지만, 시간이 한동안 지나고 보니, NFT의 취약한 부분들이 눈에 보이기 시작했다.

 

 

무엇보다도, 종류가 다른 블록체인에  중복 판매할수 있다

 

이더리움 기반의 NFT를 발행했다 하더라도, 다른 가상자산으로 동일한 NFT를 재발행할수 있어서, 그 유일성에 의문점을 가질수 있다.

 

둘째, 실제 작품에 대한 첫 NFT 발행에 대해 통제할수가 없다. 

작품에 대한 권한은 소유권과 저작권으로 구분할수 있는데, 작품을 구매했을때, 작품에 대한 소유권은 구매할수 있지만,

보통 작품을 이용한 2차저작물에 대한 저작권은 분리되어 작가와 별도 계약을 해야 한다. 단순히 작품을 소유했다고, NFT를 발행할수 있는것도 아니고, 발행에 대한 권한 또한 통제가 사실상 불가하다.  저작권에 대한 보호가 어떻게 되는지 규제와 감시가 어려워 보인다

 

세째, NFT의 활용은 아직 제한적이다

 

현재, 분야는 디지털소장품, 미술작품, 게임 등에 활용되고 있다. 그 이상 자산에 대한 부분 실제 티켓이나, 증명서등에 대한 활용은 아직 제도권 밖으로 보인다. 물론 이부분은 시간이 지남에 따라 정비될 수 있는 부분으로 여겨진다

 

넷째, NFT는 단순 거래장부이다

 

역설적으로 NFT는 위조할수 없는 거래장부가 가장큰 장점임에도 불구하고 이것이 어찌보면 단점으로 보인다. 실제 자산과 거래장부가 별도로 존재하여, 거래하고, 소유한 사람은 디지털 거래장부만을 가지고 있는것이지, 디지털 자산에 대한 복제, 배포에 대해서는 규제에는 제한적일수 밖에 없다

 

결과적으로 개인적인 의견으로는 NFT는 디지털자산에 대한 소유권을 주장할수 있는 단초로서 의미가 있지만, 아직은 절반의 성공으로 보인다.

 

'기술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블록체인] 블록체인  (0) 2022.01.30
[NFT] Non-Fungible Token (NFT)  (0) 2022.01.24

by Jeewon

2022.05.08

 

 

개인이 채권을 살수 있는 방법은 여러가지가 있다. 자신의 거래패턴을 생각해서 증권사, 은행을 통해 약간씩 다르게 거래를 할수있다.  채권은 기본적으로 돈을 빌리기 위해 발행하며, 이자를 약속하고서 발행하는 차용증서이다. 

 

주식과 다른 점은 돈을 빌리고 약속된 만기도래시 원금만 갚으면 된다. 복잡한  배당, 의결권등을 생각하지 않아도 되므로 간단하다. 

 

채권의 종류는 그 주체에 따라 국채, 지방채, 특수채, 금융채, 회사채가 있다.

  • 국채 -  정부가 원리금 지급을 보증하므로 신용도가 높은 채권
  • 지방채 - 지방공공기관인 특별시·도·시·군 등이 지방재정법의 규정에 의거하여 필요한 자금을 조달하기 위해서 발행하는 채권 ( 도시철도채권, 지역개발채권, 도로공채 )
  • 특수채 - 한국전력공사, 토지개발공사 등과 같이 법률에 의해 직접 설립된 기관이 특별법에 의하여 발행하는 채권
  • 금융채 - 금융기관이 발행하는 채권 (산업금융채권, 카드채, 리스채, 할부금융채 )
  • 회사채 - 상법상의 주식회사가 발행하는 채권 (보증사채, 무보증사채, 담보부사채, 전환사채(CB), 교환사채(EB), 신주인수권부사채(BW), 옵션부사채 )

 

증권사에서 채권을 직접 매입

 

증권사 금융상품 메뉴로 직접 채권을 구매할 수 있으며, 장내채권시장과 장외채권시장을 구분하여 구매할 수있다. 이경우 수수료가 가장저렴하다고 볼수 있다. [기관투자자 → 한국거래소 채권시장 → 개인투자자] 이를 장내채권 시장이라 한다. [기관투자자 → 증권사 → 개인투자자] 이를 장외채권 시장이라 한다. 

보통 장내시장에서 구매하며, 국공채가 안정성이 높으나 이자가 상대적으로 낮으며, 회사채는 투자등급을 BBB등급 이상의 채권 투자를 권장하며, 시장상황에 따라 경기가 좋지 않으면 A등급이상 채권을 선택하도록 한다.

 

후순위채권, 신종자본증권 매입

 

은행에서 후순위채권이나 신종자본증권 등을 가끔씩 발행한다. 보통 만기가 5년이상 으로  긴 상품이다. 특히 신종 자본 증권은 만기가 30년이상 긴경우가 많으며, 매년 이자나 배당을 주는 상품이며, 약정에 따라 만기 이전에 은행이나 회사가 원금상환을 위해 채권 매입을 하기도 한다. 상대적으로 이자가 높아 장기간 꾸준한 이자를 받고자할때 유용하다. 다른 용어로 하이일드채권이라고 부르기도 한다.

 

채권펀드상품으로 매입

 

펀드상품으로도 다양한 채권 상품이 나온다. 국채, 회사채, 미국채등 다양한 자산을 바탕으로 하는 채권상품이 있으며, 본인이 원하는 자산으로 구성된 채권펀드를 구매하면 된다. 펀드 상품은 채권수수료외에 펀드수수료가 추가로 나간다는 점을 유의해야 한다.

초보자의 경우 펀드상품을 투자하는게 가장 간편하며, 안전하다고  할수 있다.

 

ETF로 구매

 

주식거래가 활발하여, 개인들이 가장 편하게 거래를 할수 있다. 펀드보다 판매수수료가 저렴한 장점이 있으며, 주식처럼 거래를 할수 있다.  KODEX단기채권, KODEX국고채3년, KBSTAR중기우량회사채, KOSEF국고채10년 등이 있으며, 미국채 상품도 있다. 

주식거래 경험이 있다면, ETF로 거래할 것을 추천한다. 

by Jeewon

2022.04.30

 

인플레이션이 최대 화두이다. 코로나 시기를 거치며, 자본이 시중에 엄청나게 흘러들었고, 또한,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으로 인한 원자재 상승, 미연준의 금리 인상 기조. 모든게 복잡한 시기 이다. 이것저것 복잡한 시황을 고려하고 예측하려면 힘들다. 이때는 잠시 투자를 멈추는 것도 한 방법이다. 아니면, 자본을 투자할  상품에 대해 알아보자

 

   전통적으로, 인플레이션 헤지 수단으로 인정받고 있는 상품이다. 인플레이션이 오면 당연히 돈의 가치가 하락하고, 각종 자산 가격들이 폭등하고, 물가도 오르게 된다. 이때는 돈과 달리 금은 그 자체로 가치를 인정하는 경향이 있어서, 금은 인플레이션 환경에서 시중 유통되는 돈에 비해 그자치가 지속적으로 상승하게 된다.

 

금에 대한 투자 방법

실물 금 투자 (KRX 금시장)

 증권사에서 현물 금계좌를 개설후 투자. 실제 금을 거래. 거래시 양도소득세 면제, 부가세 할인의 혜택이 있다. 세금측면에서 가장 유리

 

금 ETF 투자

증권사에 주식시장에 상장된 금 ETF를 주식 거래하듯이 투자, 거래측면에서 가장 편리.

대표적인 상품은 KODEX 골드선물(H), TIGER 골드선물(H), KINDEX KRX 금현물

 

골드뱅킹 

은행에서 골드 계좌를 개설, 실제 골드로 사서 은행에 투자. 인출시 실제 금으로 인출가능. 수수료가 가장 비쌈

 

원자재

 

인플레이션으로 물가도 상승하고 각종 원자재 가스, 곡물, 광물등의 가격도 폭등하며, 원자재에 투자 하기 편한 방법은 원자재 관련 기업 주식을 직접 사거나, 원자재 ETF에 투자하거나, 원자재 펀드에 투자 하는 것이다

 

채권

 

인플레이션 환경에서는 채권 투자가 쉽지 않다. 왜냐하면 각국의 통화 정부들이 물가 안정화를 위해 금리를 올리는 경향이 있다. 인플레이션이 심해질수록 고금리로 정책을 유지한다. 하지만, 그림가 오르게 되면 문제가 각국의 채권 가격이 하락한다. 채권 가격이 하락하는 이유는 앞으로 국가에서 팔게될 채권들이 점점 높은 금리로 팔릴것이라, 현재의 채권은 점점가치가 떨어져서 투자자들은 보유하고 있는 채권들 팔고, 새로운 채권을 구매하려 할것이다. 그래서 채권가격은 하락한다. 이런경우 채권에 대한 투자는 장기채권은 가급적 비중을 줄이거나 매도를 하고 빠른 시장대응을 할수 있는 단기채권에 집중하는게 유리하다

그래서, 인플레이션 환경에서는 1~2년 짜리 단기채, 회사채를 추천

 

부동산 

 

물가가 오르고, 현금가치가 떨어지게 되면 당연히 자산가치는 상대적으로 비싸진다. 부동산은 자산에 해당하므로, 부동산은 현금에 비해 그 가치를 인정받게 된다. 그래서 보유한 부동산은 점점 가치가 상승한다. 

이경우 부동산에 대해 추천하는 투자는 인프라, 리츠 ETF나 펀드 투자를 추천

 

 

'투자이야기 > ETF' 카테고리의 다른 글

[ETF] 국내 물가연동 채권 ETF  (0) 2022.07.22
[TDF] TDF ETF  (0) 2022.07.03
[미국채]국내상장 미국채ETF  (0) 2022.04.24
[배당주] 미국고배당 ETF  (0) 2022.04.08
[금ETF] 국내 골드 ETF  (0) 2022.03.30

by Jeewon

2022.04.29

 

주식투자를 할때 많은 기초적인 지표가 있다. 그 중 기본적인 지표가 몇가지가 있다. 기업가치를 판단하는데, 많이 쓰이는 지표이며, 기업이 가진 자본과 현재 수익, 주가에 대한 상관관계를 나타낸다

 

PER(Price Earning Ratio) : 주가 수익 비율

1주당 수익의 몇배를 나타내는 지표

 

 

PBR(Price Book-value Ratio) 주가 순자산비율

주가가 그기업의 순자산에 대해 1주당 몇 배로 거래되고 있는지를 측정하는 지표

PBR = 주가/ 주당순자산가치(BPS) = 시가총액/순자산

 

PBR이 1미만이라면 장부가치보다 주가가 낮다는 의미이나 부채가 반영되어 있지 않다.

 

 

ROE(Return On Equity ) 자기 자본 이익률

기업이 자기자본으로 운영할때 기간동안 얼마를 벌어들였는지에 대한 비율

 

ROA(Return On Assets) 총자산순이익률

기업의 총자산으로 당기순이익이 얼마나 올랐는지 가늠하는 지표

 

기업의 주식이 시장에서 어떻게 평가되는지를 분석하는 지표 : PER, PBR

기업자체의 수식을 분석 : ROE, ROA

가치주 : PBR, PER수치가 낮을수록 ROE, ROA가 높을수록 좋다

 

 

by Jeewon

2022.04.24

 

미국채 투자는 언제?

 

주식은 변동성과 위험성이 크다. 그래서, 자산에 상당부분 주식에 투자를 하더라도, 가급적 주식과 반대의 수익성을 가지는 채권이 대표되는데, 그중 가장 안정적인 모양새를 나타내는것이 미국채로 많이 평가하고 있다. 특히 국내주식에 대한 투자가 많을경우, 반드시 미국채를 일정부분 가지고 있는것이 어느정도 안정성을 가져갈수 있다.

 

미국채 투자는 꾸준히 일정 부분 비율을 유지하는게 좋다

 

국내 상장 미국채 ETF 종류는 ?

 

미국주식시장에 직접 투자하기 번거롭거나 힘든경우 국내에 상장되어있는 미국채 ETF에 투자 하면 된다

 

  KODEX 미국채울트라
30년 선물(H)
KODEX 미국채 10년선물 Tiger 미국채 10년선물 Tiger 달러단기액티브
종가(22.4.22) 10,275 11,210 11,400 10,590
평균거래대금 338백만원 106백만원 570백만원 1,843백만원
시가총액 257억원 157억원 821억원 3,103억원
자산운용사 삼성자산운용 삼성자산운용 미래에셋자산운용 미래에셋자산운용
총보수 0.3% 0.09% 0.29% 0.3%
특징 30년 장기미국채
환헤지 상품
10년 장기 미국채 10년 장기미국채 1년이하 미국채권

 

가급적 환헷지보다 달러에 직접투자하는 것이 좋으며, 

장기 미국채는 KODEX 미국채 10년 선물

지금처럼 채권금리가 지속적으로 상승하는 경우는 Tiger 달러단기액티브 투자하는게 좋은 방법으로 생각 되며,

장기 투자 관점에서는 장기 국채 + 단기국채를 6:4 나 7:3 비율로 투자하는것이 바람직해보인다

'투자이야기 > ETF' 카테고리의 다른 글

[TDF] TDF ETF  (0) 2022.07.03
[인플레이션] 인플레이션 시대에 투자 ETF  (0) 2022.04.30
[배당주] 미국고배당 ETF  (0) 2022.04.08
[금ETF] 국내 골드 ETF  (0) 2022.03.30
[금융ETF] 미국 금융/은행 ETF  (0) 2022.03.25

by Jeewon

2022.04.15

금리인상기 돈은 어디로?

 

금리가 인상되면, 시중에 자금이 줄어들게 되고, 자산 가격에 대한 변동성이 커질것이 우려되어 자산이 은행권으로 모여들게 된다. 이 경우 상대적으로 안정상품으로 생각되는 은행권 예.적금 상품에 대한 매력도가 올라가서 시중 은행권에 자금이 몰리는 경향이 있다.

 

금리인상기 채권은 ?

금리가 지속적으로 인상되면, 채권가격은 상대적으로 떨어지게 된다. 이유는 채권자산은 구매시 이자가 결정되는데, 시간이 지날수록 이자가 오르게 되면 채권을 늦게 살수록 좋은 이자 조건을 받게 되어서, 채권을 팔고서 자꾸 갱신하게 된다. 채권 매도량이 많아지므로 채권 가격이 점점 떨어진다고 볼수있다. 이런경우 상대적으로 장기 채권의 가격이 상대적으로 크게 떨어진다

  

금리인상  -->  채권가격 하락

 

금리인상기 채권 투자 조정은 어떻게 ?

전통적으로 채권은 안전한 투자상품 자산으로 생각하여, 주식에 대한 헤지 수단으로 채권을 생각할수 있지만, 금리인상기에는 채권가격이 지속적으로 하락하기 때문에서 채권투자는 손해라고 생각할수 있다.

 

그래서, 일단, 자신의 목돈, 전체자산 포트폴리오에서는 일단 채권의 비중을 줄인다. 그리고, 현금 비중과 단기채권/하이일드 채권의 비중을 높이고, 10년물 이상의 장기 국채 비중을 줄인다.

 

추가적으로 투자하는 적립식 소액 투자는 반대로 장기 채권을 지속적으로 투자 해준다. 왜냐하면 언제 채권가격이 바닥이 될지 모르며, 이미 채권 가격이 저평가 시점에 들어갔다고 보면되므로, 기다리는 시간이라고 생각하면 된다

 

보유한 채권포트폴리오 조정 --> 장기채권 비중 줄이고, 단기채권+하이일드채권+현금 비중을 올린다

적립식 투자 --> 장기채권 투자 지속

 

 

금리 상승기 투자 상품 조정

구분 투자기간 내용 상품
수익률 확정상품 2~5 3% 내외 기대수익 2금융권 정기예금
은행 신종자본증권 (은행채권)
ELS 3 4~7% 내외 기대수익 지수형 ELS
(코스피, S&P500, EUROSTOXX, NIKKEI225)
가치주 펀드/신탁 1~2 금리둔감 금융주, 보험주, 소비재, 경기 방어주 중심
골드/원자재 1 인플레이션 헤지 KRX 금현물투자, 골드 ETF

 

'투자이야기 > 투자포트폴리오' 카테고리의 다른 글

[국민연금] 포트폴리오  (0) 2022.06.18
[투자] 미국주식  (0) 2022.05.28
[백테스트] 국내 주식 백테스트  (0) 2022.03.18
[포트폴리오] LAA전략  (0) 2022.03.01
[포트폴리오] 모멘텀투자  (0) 2022.02.27

by Jeewon

2022.04.08

배당주 ETF를 투자 하는 이유

 

배당주는 비교적으로 안정적인 수익을 내는 종목으로 간주되며, 일정한 주기로 현금을 제공한다. 그러나, 개인이 각종목을 선정하기는 쉽지 않아서, 고배당주를 지속적으로 평가하고 일정한 잣대에 따라 종목들을 선정, 주기적으로 일정한 현금흐름을 가질수 있도록 ETF에 투자하는 방법이 가장 적절하다고 볼수있다

 

  • - 일반적인 주식보다 안전성을 가진 주식으로 간주
  • - 주식처분없이 일정한 현금 수입을 주기적으로 가질수 있다
  • - 종목선정은 각 ETF별로 정해진기준에 따라 자동 조절해준다

미국 배당주 ETF 장점

 

배당금이 한국보다 많다

분기 혹은 월배당을 받을수 있는 상품이 많다

대체로 주가 변동성이 작은 주식이어서, 주가 방어 수단으로 일부 활용가능하다

 

미국 배당주 ETF 단점

 

일반적으로 배당주는 변동성이 작아서, 성장성이 작아서, 주가수익률은 크게 기대하기 어려울수있다

기대할수있는 배당 수익율은 평균 2~7% 사이이다

해외 주식 수익에 대해서는 연 250만원 이상의 수익에 대해서는 15.4%의 소득세를 내야 한다

 

대표 ETF 비교

 

티커/명칭 SCHD VIG VYM DGRO QYLD SPHD
상장년도 2011 2006 2006 2014 2013 2012
운용사 찰스 스왑 뱅가드 뱅가드 블랙락 글로벌X 인베스코
총자산($) 31B 64B 42B 22B 6B 3B
운용보수 0.06 0.06 0.06 0.06 0.6 0.3
1년배당수익율 2.83 1.53 2.69 1.94 11.27 3.65
배당주기 분기 분기 분기 분기
총수익율
(5년, %)
79.72 82.79 47.69 77.82 -9.52 20.05
특징 가장 인기 있는 배당주 ETF 가장 규모가 큰 배당주 ETF 고배당 ETF 중 가장 규모가 큰 ETF S&P 500과 비견되는 높은 주가성장률과 더불어 높은 배당률 초고배당 ETF 저변동성 + 고배당 ETF

 

SPY ETF와 수익률 비교(5년)

 

 

미국 배당주 추천

 

주가 성장성과 자산규모, 배당율을 고려했을때 SCHD가 안정적이라고 생각된다.

구성종목도 누구나 아는 쉬운 종목으로 구성되어 있는 강점이 있다.

 

by Jeewon

2022.3.30.

 

금투자 해야 할까? 

 

금은 투자 상품이라기 보다는 철저히 수요와 공급에 따라 이익이 결정되는 구조이다. 당연히 금에 대한 자원은 한정적이라 금액은 오른다고 생각하지만 , 대체재인 달러의 가격에 따라 많은 영향을 받는 상품이다. 변동성이 심해서 자본시장의 상황에 따라 자산의 비중을 조절해야 한다. 최근 사상 최악의 인플레이션 시기가 다가 오고 있다고 많은 분들이 느끼고 있다. 그래서 주식보다 실물자산의 하나인 골드에 투자를 많이들 생각하고 있다.

 

인플레이션 헤지의 수단으로 일정 부분 골드를 가져가는것도 시장에 대비하는 한 수단으로 고려해 볼수있다.

 

금 국제 시세 (USD/T.oz)

 

 

1 t.oz = 31.1g = 8.29돈

 출처 : samsunggold.co.kr ((TradingView 제공 XAUUSD 차트)

 

우선 최근 20년간 변동을 보자, 아주 급상승 한걸 알수 있다. 2000년 초에 비해선 거의 7~8배 상승한걸 알수 있다. 하지만 전 최고점 2012년에서 다시 전고점을 지나는 데 10년을 지난걸 알수있다. 따라서 변동성 따라 지키는 자산으로 금액을 조정해야 할것이라 생각이 든다. 다음 차트를 보자. 

 

1 t.oz = 31.1g = 8.29돈

 출처 : samsunggold.co.kr ((TradingView 제공 XAUUSD 차트)

1970년대 이후 금에 경쟁수단인 달러가 본격적으로 통용되면서 금에 대한 가격 변화를 보면, 변동성이 굉장히 크며, 정체되는 시간도 아주 극단적일 정도로 10년이상 오랜 시간이 걸린것을 알수 있다. 그래서 금에 대한 투자 접근법은 자산 증식의 수단보다, 자산의 방어수단으로 적정수준을 유지하는게 중요한것으로 생각돤다.

 

주식과 동일하게 위험자산으로 간주, 전체자산의 10% 내외에서 운영하는것을 추천한다.

 

골드 ETF

 

금가격에 연동해서 간단히 투자 할수 있는 방법은 금 ETF를 거래하는것이다. 주식시장에 상장된 금시세를 추종하는 골드 ETF에 투자 하는것이다.

KODEX 골드선물(H)

TIGER 골드선물(H)

KRX 금현물 ETF

 

KRX 금현물 ETF은 최근에 출시된 신상이며, 골드 선물과 달리 실제 금을 투자하는 ETF로 금으로 교환 가능하다

 

골드 ETF 비교

 

현재, 상장되어 있는 상품중  KODEX 골드선물(H), TIGER골드선물(H)은 모두 미국 상품 거래소(COMEX)에 상장되어 있는 금선물 가격에 연동되어 투자 하는 ETF로 원달러 변동에 환헤지를 통해 국제 금가격에 연동되는 상품이다.

 

항목 KODEX 골드 선물(H) TIGER 골드 선물(H) KINDEX KRX금현물
운용사 삼성증권 미래에셋증권 한국투자신탁운용
상장일 2010.10.01 2019.4.9 2021.12.13
총자산 2310억원 305억원 230억원
거래대금 1,847백만원 225백만원 2,847백만원
주당가격(22.1.21) 12,425원 13,280원 10,950원
총보수 0.68% 0.39% 0.5%
추종지수 S&P GSCI Gold Index S&P GSCI Gold Index KRX 금현물지수

 

결론

금투자는 인플레이션 발생시 헤지수단으로 자산의 10%내에서 운용한다

금투자는 안전자산이 아닌, 위험자산으로 생각해야 한다

원자재ETF이므로 별도 배당이 없다

연금계좌에서는 골드ETF가 유용하며, 선물보다 금현물 지수 ETF를 고려하여 KRX금현물 ETF를 추천한다.

by Jeewon

2022.03.26.

 

은행상품들은 뭐가 있지?

 

모두들 은행에서는 예금과 적금 상품을 생각한다. 당연히 두상품이 일반인이 접근하고 돈을 모으는 가장 기본 상품으로 생각할수 있다. 하지만 두상품에도 세부사항으로 가면 조금씩 미세하게 다르게 가입할수 있다. 또한 은행에서도 투자 상품을 가입 할수 있다

우선 대표적인 원금을 지키는 상품부터 알아보자

 

예금과 적금

 

분류 상세 구분 설명
적금 정기적금 정해진 금액을 약정한 일정에 납입하여 목돈을 모으는 상품
가입시 이율이 정해짐
  자유적립적금 정해지지 않은 금액을 자유롭게 납입하는 적립식 상품
가입시 이율이 정해짐
예금 정기예탁금 약정기간동안 예치하는 거치식 상품
가입시 이율이 정해짐
  회전정기예탁금 일정한 주기별로 이율이 변동가능 한 상품으로 장기간 자유롭게 가입가능한 상품

 

5천만원까지 원금 보장

 

제1 금융권은 이자까지 포함 최대 5천만원까지 원금 보장이 된다. 모든 상품이 되는것은 아니고, 예금(외화예금포함), 적금, 증권계좌에 남아 있는 현금이 원금 보장 대상이다. 반명 양도성예금증서(CD), 환매조건부채권, 펀드, 신탁, 채권, 주택청약저축등은 비보호대상이다. 

 

이자소득에 대한 세금

 

은행권 상품에도 세금이 붙는다. 요즘같은 저금리 시국에 세금은 최대한 아껴서 내는것이 최선이다.

 

항목 세율
이자소득세 14%
지방소득세 1.4%
총세액 15.4%

 

 

세제 혜택을 노릴 상품

 

완전 비과세 상품 

 

1. 생계형 저축

  •     인당 5000만원
  •     완전 비과세
  •     중도해지시에도 비과세유지
  •     은행, 증권사 상품 가입가능

 

    가입 대상    

  •           만 65 세이상
  •           장애인
  •           독립유공자와 그 유가족
  •           생활보호 대상자 대상

 

    직전 3개 과세기간 내 1회이상 금융 소득 종합과세 대상자는 제외

 

    *** 2022년 12월 31일까지 가입분에 대해서만 적용 , 이후 폐지 예정

       

2. 세금 우대 저축 

    

  •    인당 3000만원 한도
  •    이자소득세만 비과세, 농어촌특별세 1.4%는 과세

    가입 대상

     만19세이상 거주자로서, 농민,어민, 농협등의 조합원.회원

 

세율변경 예정

   ~2022.12.31  : 1.4%

   ~2023.12.31  : 5.9%

   ~2024.1.1 이후 : 9.5%

 

가입할수있는곳

  새마을금고, 신협, (단위)농협, (단위)수협, 산립조합

 

'투자이야기 > 금융상품소개' 카테고리의 다른 글

[221230] 카카오뱅크 상품소개  (0) 2022.12.30
[ELS] ELS의 이해(1)  (0) 2022.09.25
[채권] 채권 구매하는 방법  (0) 2022.05.08
[주식종류] 성장주와 가치주  (0) 2022.02.11

by Jeewon

2022.03.25

 

금융 및 은행 ETF

 

최근 금리가 올라서 금융주에 많은 관심이 생기고 있다. 그래서, 이런 시기에 미국내에 상장되어 있는 금융 및 은행 ETF 를 소개한다. 

 

어떤 ETF가 있을까 ?

일정 자산이상이 되는 ETF를 골라서 리스트 하면 다음과 같다

Ticker Name 총보수(%) 총자산($) 거래량
($)
배당율 특징
XLF Financial Select Sector SPDR Fund 0.12 45.9B 2.91B 1.52 S&P 500 금융주 지수를 추종하는 ETF
KRE SPDR S&P Regional Banking ETF 0.35 4.41B 939M 2.43 미국 전체기업 지역은행을 선정한 ETF
KBWB Invesco KBW Bank ETF 0.35 2.94B 115M 2.37 미국 대형은행과 투자 은행을 포함한 ETF
IAT iShares U.S. Regional Banks ETF 0.41 1.19B 15M 2.68 미국의 초대형은행을 제외한 중소형 지역은행

 

1. SPDR S&P Regional Banking ETF (KRE)

미국 은행주 ETF 가장 큰 규모의 ETF
미국 전체 기업 지역은행을 선정
운용수수료 0.35%, 연간배당률 2.4%
중소형주 위주의 지역은행주

2. Invesco KBW Bank ETF (KBWB)

미국 은행주중 2번째로 규모가 ETF
미국 대형은행과 투자은행을 포함한 ETF
운용수수료 0.35%, 연간배당률 2.3%
대표 종목은 JP모건, BOA, 웰스파고, 시티그룹
 

3. iShares U.S. Regional Banks ETF (IAT)

미국의 중소형 은행주를 모아놓은 ETF
KRE 비해 소형주에 노출됨
운용수수료 0.41%, 배당률 2.6%

 

4. Financial Select Sector SPDR Funds (XLF)

 

'투자이야기 > ETF'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배당주] 미국고배당 ETF  (0) 2022.04.08
[금ETF] 국내 골드 ETF  (0) 2022.03.30
[나스닥100] 국내상장 나스닥100 ETF  (0) 2022.03.12
[S&P500] 국내상장 S&P500 ETF 비교  (0) 2022.03.11
[고배당ETF] 국내 고배당 ETF  (0) 2022.02.26

by Jeewon

2022.03.18.

Invest Helper

 

해외 주식에 대한 백테스트는 portfolio visualization 이 유명하다면, 역시 국내주식에 대해서도 무료로 백테스트사이트들이 있다. 그중 접근이 편한 사이트가 invest helper 가 있으며, 사이트는 https://www.backtest.kr/ 로 접속할수 있다.

처음 사이트 접속하면 아래 화면을 볼수 있다.

 

각 메뉴에 대해 간략히 설명을 하면 다음과 같다.

각 메뉴에 대해 설명을 하자면,

1. 극내주식 퀀트 백테스트

'투자이야기 > 투자포트폴리오' 카테고리의 다른 글

[국민연금] 포트폴리오  (0) 2022.06.18
[투자] 미국주식  (0) 2022.05.28
[투자] 금리인상기에 채권 투자  (0) 2022.04.15
[포트폴리오] LAA전략  (0) 2022.03.01
[포트폴리오] 모멘텀투자  (0) 2022.02.27

 

by Jeewon

2022.03.12.

 

나스닥 100

 

국내 주식시장은 대형주 중심의 KOSPI시장 소형 및 기술기업 중심의 KOSDAQ 시장 있다. 이와 마찬가지로 미국도 대형주 중심의 S&P 시장 기술주 중심의 대표적인 나스닥 주식시장 있다. 그중 NASDAQ시장은 많은 사람들이 알고 있듯이 혁신적인 기업들이 많이 소속되어 있어, 변동성이 큰시장이다. 대표적인 종목들이 애플, 마이크로소프트, 어도비, 테슬라 등이 있다. 이런 첨단 기술주에 한꺼번에 투자 하고 싶다면, NASDAQ 100지수를 추종하는 ETF 투자하면 되며, 국내시장에서는 국내 상장된 나스닥100 ETF을 추종하는 ETF 투자 하면 된다.

 

역시, 주관사마다 각 비용과 자산규모에 대해가 다르며, 해외 달러 계좌에서 직접 투자하기 힘들때, 특히 연금계좌에서 미국 주식시장에 투자하기에 더 없이 좋은 상품이라고 볼수있다.


다만 여기서는 선물, 인버스 제품은 제외하고 비교한다.

 

국내 나스닥100 ETF 비교

(2022.03.11)

상품 TIGER
미국나스닥100
KODEX
미국나스닥100TR
KINDEX
미국나스닥100
KBSTAR
미국나스닥100
주관사 미래에셋자산운용 삼성자산운용 한국투자신탁운용 케이비자산운용
현재가() 74,995 11,030 11,043 12,500
시가총액 19700 3,100 3,600 1,900
거래대금(백만원) 12,584 4,299 1,371 2,359
총보수(%) 0.07 0.05 0.07 0.021
총비용(%)
(총보수+기타비용)
0.19 0.16 0.18 0.18
운용개시일 2010.10 2021.04 2020.10 2020.11
특징
배당금재투자
 

 

역시, ETF 상품을 판단하는 가장 중요한 기준은 역시 시가총액/거래대금 과 총비용이라고 보면 된다. 자산규모는 역시 Tiger미국나스닥100이 압도적으로 규모도 크고 거래량도 많다고 볼수있다. 그리고 보수측면에서는 KBSTAR 가 최근에 나온 상품이라 가장 적은 0.021%이지만 역시 숨겨져 있는 기타비용이 있다. 기타 비용을 포함한 총비용을 비교 하면 4가지 상품 모두 0.16~0.19% 로 큰 차이가 없다 할수있다.

 

그럼 어느상품을 ?

 

그래서, 최종 투자는

 

적립식이든 거치식이든 배당금까지도 모두 신경안쓰고 장기 투자 하고 싶다 --> KODEX 미국나스닥100TR

안정적으로 투자 하고, 배당금을 중간중간에 투자나 생활비로 활용하고 싶다 --> TIGER 미국나스닥100

'투자이야기 > ETF' 카테고리의 다른 글

[금ETF] 국내 골드 ETF  (0) 2022.03.30
[금융ETF] 미국 금융/은행 ETF  (0) 2022.03.25
[S&P500] 국내상장 S&P500 ETF 비교  (0) 2022.03.11
[고배당ETF] 국내 고배당 ETF  (0) 2022.02.26
[ETF] ETF를 투자해야 하는 이유  (0) 2022.01.31

by Jeewon

2022.08.28

 

미국의 대표적인 S&P 주식시장을 추종하는 ETF가 있다. 국내상장된 S&P 500 지수를 추종하는 ETF도 있으며, 주관사마다 각 비용과 자산규모에 대해 알아보자. 해외 달러 계좌에서 직접 투자하기 힘들때, 특히 연금계좌에서 미국 주식시장에 투자하기에 더없이 좋은 상품이라고 볼수있다.

 

다만 여기서는 선물, 인버스 제품은 제외하고 비교한다.

 

(2022.08.28 기준)

상품명 TIGER
미국S&P500
KODEX
미국S&P500TR
KINDEX
미국S&P500
KBSTAR
S&P500
ARIRANG
미국S&P500(H)
SOL
미국S&P500
주관사 미래에셋자산운용 삼성자산운용 한국투자신탁 KB자산운용 한화자산운용 신한자산운용
현재가 14,020 12,410 14,130 12,235 17,880 11,720
시가총액 1400억원 3400억원 5300억원 1300억원 430억원 270억원
거래대금(백만원) 9,795 1,918 1,052 451 238 1,142
총보수(%) 0.07 0.05 0.07 0.021 0.3 0.05
기타비용(%) 0.08 0.13 0.1 0.43 ? 0.15
운용개시일 2020.08 2021.04 2020.08 2021.04 2017.05 2022.06
특징   배당금재투자     환헤지상품 월별배당

 

운용보수측면에서는 KBSTAR가 제일 유리해보인다. 하지만, 숨어있는 기타비용이 있다. 대체로 자산규모가 클 경우에 유리하다. 그래서 가급적 총보수가 큰차이가 없을때는 대체로 자삭규모나 거래규모가 큰 제품을 고르는것이 유리하다. 현재 기술된 상품들은  총보수가 ARIRANG 상품을 제외하고는 0.1% 이내여서 크게 차이가 나지 않아 보인다.

 

각 상품별 총 비용 = 총보수+ 기타 비용 이며, 이를 감안하면, KBSTAR 상품이 무려 0.45%이다.

 

총비용은 다음과 같다. 

TIGER = 0.15%

KODEX = 0.18%

KINDEX = 0.17%

KBSTAR = 0.45 %

SOL = 0.2%

 

비용측면이나 하루 거래 대금 측면에서 TIGER S&P500제품이 가장 좋은 선택으로 보인다. 

 

투자하고서 배당금까지도 신경안쓰고 자동투자 되고 싶다 --> KODEX미국 S&P500 TR

거래량이나 규모면에서 안정적으로 투자하고 싶다 --> TIGER 미국 S&P500

 

다만, 월배당을 고려하면  SOL 미국 S&P500 ETF도 매력 있는 상품으로 생각된다. 최근 거래규모를 고려하면 꽤 인기 있는 상품으로 보인다

 

SOL 미국 S&P500상품에 대해 더 자세히 알고 싶으면 아래 링크를 조회해보면 알수 있다

 

SOL 미국 S&P500상품 

by Jeewon

2022.03.01

 

LAA(Lethargic Asset Allocation)

 

최근 자산 투자에 많은 관심이 있습니다. 여태껏 주식투자를 위해 어느종목을 투자할지 고민해왔지만, 그 위험성 때문에 자산을 적절히 안정적인 수익과 동시에 투자의 위험성을 감소 시켜주기 위해 자산의 투자를 분산해오고 있습니다.

그중 LAA에 대해 소개를 하자면 기존 영구포트폴리오가 너무 수동적인 면을 약간은 시장의 상황에 따라 약간의 변동을 가지는 전략이며 Wouter J. Keller가 소개한 전략입니다

 

LAA 특징

 

  • 영구포트폴리오의 개선 : 자산 구성은 영구포트폴리오를 참조. 주식,채권, 금으로 구성
  • 게으른 자산배분 : 고정적인 영구포트폴리오 보다는 조금은 아니, 가끔은 되돌아보면서 자산배분을 수정하는 전략
  • 자산을 고정자산과 동적자산으로 구분한다

LAA 전략의 자산구성

 

운용 비중 내용 관련 ETF 특징
고정자산 25% 미국대형가치주 IWD 호황기에 수익률
25% GLD 인플레이션기에 방어
25% 미국중기국채 IEF 불황기에 수익 보호
동적자산 25% 나스닥
혹은
미국단기국채
QQQ
or
SHY
경제 상황에 따라 단기채 혹은 나스닥 중 선택

 

자산 운용방법

 

자산의 구성은 영구포트폴리오와 동일하게 구성하고 고정자산과 동적자산으로 나눈다. 고정 자산은 미국 대형 가치주, 금, 미국중기국채로 나누어 자산의 25%를 투자 한다. 그리고 동적자산은 나스닥 과 미국 단기국채 중 하나를 선택한다.

이때 동적자산의 선택은 경제상황이 좋을때 나스닥(QQQ)를 선택하고, 좋지 않을때는 단기채권(SHY)를 보유한다.

고정자산은 1년에 한번 리밸런싱하고, 동적자산은 월 1회 점검하여 리밸런싱한다.

 

경제상황의 좋을때와 나쁠때의 구분

 

미국경기가 불황인지는 미국의 실업률로 판단하며, 현재 주식시장이 하락장인지 상승장인지는 S&P500지수의 추세선으로 판단하다. 그래서, 미국의 경기가 불황이고 하락장일때는 단기채권으로 위험을 방어하고 그외는 수익이 좋은 나스닥에 투자를 한다.

 

미국 실업률(전월실업률) > 12개월 이동 평균 , S&P 500 지수 < 200일 이동 평균 : 미국단기채권 (SHY) 선택

그외의 경우 : 미국 나스닥(QQQ) 선택

 

미국 실업률 확인과 S&P 500 지수 확인

 

아래 사이트에서 확인 가능하다. 전세계 주가지수, 각종 지표들을 조회하고 편집이 가능한 사이트이다

https://www.tradingview.com/

 

TradingView – Track All Markets

Where the world charts, chats and trades markets. We're a supercharged super-charting platform and social network for traders and investors. Free to sign up.

www.tradingview.com

 

 

 

미국실업률 및 12개월이동평균 확인

 

"unrate" 을 입력하고 "unemployment rate"를 선택한다. 

미국 1개월 단위로 갱신되는 실업률 지표를 확인할수있다. 여기서, 12개월 이동평균선을 추가하기 하기 위해서는 indicator를 선택하여 "Moving average"를 입력한다

 

새로 생성된 이동평균선을 선택한후 왼쪽 위 톱니바퀴모양을 클릭하면 아래와 같은 설정화면 이 나온다

 

지수가 1달 단위를 나타내므로 이동평균선 단위를 12로 입력한다

최종 실업률과 12개월 이동 평균선을 확인할수있다.

 

 

S&P500 지수 와 200일 평균선

 

위 사이트에서 똑같이 SPY 코드를 검색하고, indicater = moving average 를 선택. length = 200으로 설정하면 아래와 같은 그래프를 확인하게 된다.

 

 

이로써 실업률과 12개월 이동평균 실업률, S&P 500 지수와 200일 이동평균선을 확인할수 있다

by Jeewon

2022.02.27

 

최근에 알게된 포트폴리오. 보통은 영구적으로 고정적인 포트폴리오를 유지하면서, 일정 시간마다 각 자산의 퍼센티지를 일정하게 유지하도록 리밸런싱을 한다. 대표적인 포트폴리오가 레이달리오의 올웨더포트폴리오, 6/4 포트폴리오등이 유명하고 많은 분들에게 익숙하다. 

 

모멘텀 투자

 

모멘텀은 말그대로 투자를 결정하는 조건을 말한다. 조건에 따라 투자 종목이나 비중을 조정하는것을 모멘텀투자로 이해하면 된다. 모멘텀은 상대 모멘텀과 절대 모멘텀으로 구분할수 있으며 상대모멘텀 투자는 최근에 수익이 좋은 자산에 투자하는 전략이다. 절대 모멘텀 투자는 오로지 상승장일 경우에만 수익이 나는 자산에 투자 하는 전략이다.

 

상대모멘텀 투자

 

상대모멘텀은 상대적으로 수익이 좋은 자산에 투자를 옮겨타는 전략이다. 

간단히 전략예를 한국 지수와 미국지수로 들어 보자

 

  • 선정자산  : 한국 주식 KOSPI 200, , 미국 주식 S&P 500 (SPY)
  • 매수전략
    - 한국지수와 미국 지수중 12개월 수익이 더 높은 자산에 투자
  • 투자 주기 : 월1회 리밸런싱

 

절대모멘텀 투자

 

상대모멘텀은 상대적으로 수익이 좋은 자산에 투자하는 개념인데, 이럴 경우 시장의 현상황 즉 폭락장이나 상승장이냐를 고려하지 않고 투자한다. 그래서 폭락장일 경우에 대해 투자 라기 보다는 지키는 전략을 사용하고, 상승장인 경우 수익을 쫒는 자산에 투자 하는 방법이다. 

한국 코스피지수로 투자를 하는 방법을 예로 들어보면

 

  • 선정자산  : 한국 주식 KOSPI 200, 한국 국채 5년 상품
  • 매수전략
    - KOSPI 지수가 10개월 이동평균선 이상이면 상승장으로 판단 하여 KOSPI200에 투자, 그렇지 않을 경우 한국 국채 5년 상품에 투자
  • 투자 주기 : 월1회 리밸런싱

 

 

by Jeewon

2022.02.26

고배당 ETF

 

국내 고배당 ETF 종목을 알아보자. 국내 ETF 열풍은 작년부터 높아졌지만, 배당에 대해서는 아직 국내 상장주들

배당은 해외 시장에 비해서는 아직 많이 야박한 수준이다. 하지만, 배당주를 고르기는 미래의 불확실성 때문에

국내 인기있는 고배당 ETF 종목들을 알아보자

 

거래량순으로 상위 5 종목들

ARIRANG 고배당주
KODEX 고배당
KOSEF 고배당
TIGER 코스피고배당
KBSTAR 고배당
 

ARIRANG 고배당주

 - 시가총액 상위 200종목 중에서 60 평균 거래 대금이 5 억원 이상인 종목

 - 예상 배당수익률이 높은 상위 30 종목을 선별

(다음금융 제공)

 

구성종목

고배당 특성상, 산출 기준으로 뽑다보니, 금융주 위주로 구성되어 있다.

 

(다음금융 제공)

배당지급

 

연 3~4% 배당 이익을 기대할 수 있다. 지금까지 4%내외로 연 1회 지급되었다

 

(한화자산운용 제공)

 

달러지수

by Jeewon

2022.02.25

 

미국 달러 인덱스(영어:U.S. Dollar Index)는세계주요 6개국통화에 대비미국 달러평균적인가치를 나타내는지표다. 1973년3월을 기준점(100)으로 하여미국연방준비제도이사회(FRB)에서 작성·발표한다. 6개국 통화는유로,일본 엔,파운드 스털링,캐나다 달러,스웨덴 크로나,스위스 프랑이며, 각 통화의비중은 그국가경제규모에 따라결정된다. (위키피디아)

 

학문적인 얘기이고, 다시 말하면 달러의 값어치가 비교되는 6개국통화와 비교해서 얼마나 변화되었느냐 이다.

절대 비교값은 1973년의 달러가치를 100 으로 잡으며 그때 달러대비 얼마나 달라졌는지를 나타내는 인덱스 이다

 

달러지수를 쓰는 이유

달러환율은 국가마다 다르기 때문에, 달러의 가치가 올랐는지 알수가 없다. 예를들면, 유로화에 비해 달러가 10% 내렸는데, 엔화에 비해 5% 올랐다면, 달러가 가치가 올랐는지 내렸는지 알수가 없다. 그래서 절대적인 기준을 두고서 어제 비해, 작년에 비해 달러의 가치가 어떻게 변했는 보기 위함이다

달러지수의 조회

달러지수는 아래 사이트에서 조회해볼 수 있다.  지수가 나타내는 96은 1973년도의 달러가치가 100이니 그때와 거의 유사하다고 볼수있다. 그리고 2000년초에 달러가치가 급상승하다가 서브프라임 사태가 벌어졌을때, 거의 최저치까지 떨어진것을 볼수있다.

 

 

https://kr.investing.com/currencies/us-dollar-index

 

미국 달러 지수 - Investing.com

일부 외국 통화들에대한 미국 달러의 가치를 측정하는 미 달러 지수 (USDX)

kr.investing.com

 

by Jeewon

2022.02.20

 

자산 포트폴리오에 대한 검증으로 유명한 사이트가 포토폴리오 비주얼라이저가 대표적인 사이트이다. 회원 가입을 하지 않아도 자산에 대해 성과와 이력을 조회하는데, 문제가 되지 않는다. 다만, 저장을 하고 이력 조회를 하려면, 회원가입이 필요하다.

 

Portfolio Visualizer 사이트 접속

 

https://www.portfoliovisualizer.com/

 

처음 접속하면 아래처럼 보인다. 주로 사용한 메뉴는 아래 메뉴이다. " Backtest Portfolio "를 확인하면 된다. 

 

선택할수 있는 메뉴는 3개이며 Backtest Asset Allocation, Backtest Portfolio, Backtest Dynamic Allocation 으로 구성되어 있다. 

Backtest Asset Allocation 투자 자산별 포트폴리오 구성에 따른 과거시간동안 수익률 시뮬레이터
(예. 미국주식, 채권, 선진국주식, 국채, 현금, 금 등)
Backtest Portfolio 상세 수익증권 구성에 따른 과거시간동안 수익률 시뮬레이터
(예. SPY, QQQ, DBC 등)
Backtest Dynamic Allocation 특정 조건에 따라 동적으로 변하는 포트폴리오 구성으로 과거시간동안의 수익률 테스트

 

가장 기본이 되는 뮤추얼펀드를 선택해서, 과거 수익률을 비교하는 가장 기본적인 시험을 해보자

 

Backtest Portfolio를 선택하면, 아래처럼 선택화면이 나온다. 중요한 항목은 아래 표시한 항목들이 주요항목들이다.

 

선택항목 중 "Cashflows" 항목은 초기 투자 금액 외에, 매년 적립식으로 추가투자 할 경우, 선택할수 있는 항목이다.

 

"Benchmark" 메뉴는 비교할 벤치마크지수를 나타내며, 드롭다운 메뉴를 클릭하면 아래와 같은 메뉴가 나오며,

특별히 비교하고 싶은 뮤추얼펀드가 있으면, 아래 ticker를 선택하면 된다.

본격적으로 선택할 ETF나 종목은 아래 Asset에서 선택하면 된다. 

시험 할 종목은 레이달리오의 사계절 포트폴리오를 벡테스트 해보기로 한다. 고맙게도 유명한 포트폴리오는 자동으로 선택할수 있게 되어 있다. 

 

아래 포트폴리오 메뉴에서 레이달리오의 사계절포트폴리오를 선택해본다. 물론, 뮤추얼펀드를 수동으로 선택할수 있으며, 포트폴리오를 3개까지 구성 선택할수 있다.

선택하면 뮤추얼펀드는 자동으로 선택되고 비율도 포트폴리오에 맞게 설정된다. 그리고, portfolio #2에 하나 더 추가해서,  비율넣고 "Analyze Portfolios" 버튼을 클릭하면 결과를 조회 할수 있다.

아래 포트폴리오 비교 결과물이 나온다. 각 자산별 비중과  과거 백테스트 결과가 나온다.

결과를 보면, portfolio1(레이달리오 사계절포트폴리오) 최종 자산과 연평균수익을 알수 있다. MDD는 전고점대보 최대하락율로 투자시 개인 겪을수 있는 최대 하락율을 알수 있다.

 

by Jeewon

2022.02.12

 

 

작년부터 삼프로TV를 시청하면서, 이런저런 경제/주식시황 얘기를 틈틈이 들으면서, 많은 도움이 되어오고 있다.

그러던중, 강환국 작가 님의 인터뷰를 보고서 자신있게 포트폴리오를 얘기하기에 어떤 얘기를 하고 싶어하는지,

결국 책을 샀다. 읽는데 참 오래 걸렸다.

 

책제목은 "거인의 포트폴리오"

아직 마지막까지 읽진 못했지만, 작가님이 하고 싶은 일관된 얘기는 흔들리지 않은 기계적인 투자포트폴리오를 유지 하는 것이다. 그리고, 소개되는 포트폴리오가 어떻게 개인에게 유용하고 시장에서 의미가 있는지에 대해 오랜 지면을 통해 설명하고 있다.

 

이 책의 구성

 

Part 1. 투자의 이유와 마음가짐

Part 2. 검증된 역사적인 투자 포트폴리오

 

Part 3. 투자의 타이밍을 통한 수익의 극대화

 

일반투자자나 초보투자자들은 Part2 까지만 숙지를 하고 따라해도 큰 무리없이 자산의 투자를 통해 긴시간 수익이 날수있는 모델을 가질수 있다. 그리고, 본인을 위한 투자 - 돈이 아닌 본인을 위한 꺼리를 가질수 있는 여유를 가지게 해주고 싶은게 작가의 생각인것 같다.

Part 3.는 보다 전문적인 투자의 길로 들어서서 좀더 치열하게 시장과 함께 시장을 따라가면서, 투자를 하나의 업으로 가고자 하는 이들을 위한 가이드라고 할 수 있다.

 

Part 1. 투자의 이유와 마음가짐

 

작가가 얘기하고 싶은 내용은 아래와 같은것 같다.

 

은퇴 후 돈에 얽매이지 않는 경제적 자유를 위해 투자를 해야 한다.

경제적 자유를 위해 자신에게 필요한 구체적인 자금과 수익을 목표로 세운다.

수치에 기반한 끝까지 지킬 수있는 담담한 규칙기반의 투자 계획을 세운다.

 

일관된 투자를 방해하는 갖가지 투자 심리에 대해 마음가짐을 가지자

작가는 기본적으로 인간의 심리에 의 심리적으로 투자를 망칠수밖에 없는 본성을 가지고 있다고 얘기하고 있다. 이에 대해 얘기를 하고 있는데, 일관된 투자를 위해 여기에 대해 숙지하고, 지속적으로 인지하고 있을 것을 강조 하고 있다. 그 심리에 대해 10가지 심리를 소개하는데 투자중독, 상대적 박탈감, 손실회피/처분, 기하급수적성장, 과잉확신, 확증편향, 장기추세맹신, 전망망상, 통계불신/스토리텔링중독/권위중독, 일관성 결여로 얘기하고 있다.

 

기본적으로 일관성을 가지는게 인간 심리상 정말 어려운일이고 이에 대해 계속적으로 변심된다는것은 너무나 당연하고, 투자에 큰방해가 된다고 생각한다.

 

이런 심리적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수많은 백테스트를 자기확신을 강화하고, 오랜시간 시장에서 보여준 통계를 통해 일관된 투자전략을 가지도록 한다. 

 

또한, 포트폴리오 구성을 위해 중요한 포인트는 수익율보다, 손해를 최소로 해야 한다는것을 수치와 통계를 통해 보여주고 있는것이 가장 인상적인 부분이었다.

책에서 제시하고 있는 예를 보면,

 

다음중 가장 큰 수익율을 보인 사람은 누구 일까요?

A가 소유한 주식은 10% 상승했다가 10% 하락

B가 소유한 주식은 20% 상승했다가 20% 하락

C가 소유한 주식은 50% 상승했다가 50% 하락

D가 소유한 주식은 150% 상승했다가 75% 하락

 

이에 대한 결과는  A이다.

A: 1.1 x 0.9 = 0.99

B: 1.2 x 0.8 = 0.96

C: 1.5 x 0.5 = 0.75

D: 2.5 x 0.25 = 0.625

 

그래서 결론은 손실을 최소화 하고 변동성을 낮춰야 한다는 것이다. 여기에 이 책의 모든 포트폴리오가 집중되고 있다고 보면 된다.

 

Part 2. 검증된 역사적인 투자 포트폴리오

 

Part 1의 지식을 바탕으로 역사적인 포트폴리오의 구성과 이에 대한 검증을 Part2에서 소개하고 있다.

자산배분을 구성할 자산에 대한 선택은 장기적으로 우상향하는 자산군을 선택한다. 상관성이 낮은 자산군을 선택한다. 각각의 자산군에 대한 변동성을 동일하게 유지 한다. 이 3가지를 기초로 포트폴리오를 구성하고 역사적으로 검증된 포트폴리오를 소개한다. 유대인의 전략, 해리브라운의 영구포트폴리오, 레이 달리오의 사계절 포트폴리오, 올웨더 포트폴리오를 소개하고 백테스트를 통해 검증하고 있다.

 

여기서 두가지만 소개하자면,

 

1. 레이달리오의 사계절 포트폴리오

  - 주식 30%, 미국중기국채 10%, 미국장기국채 40%, 금 7.5%, 원자재 7.5%

백테스트를 통해 알수 있는것은 연복리 9.6%를 꾸준히 보여주며 최대 손실율은 -13.1%로 낮은값을 보여준다는 것이다.

 

2. 올웨더 포트폴리오

 

올웨더 포트폴리오는 미국에만 집중되어있는 자산을 글로벌하게 분산하여, 보다 유연하게 대처할수 있도록 구성되어있다.

 

여기 결과에서는 MDD -40~50%는 1900년대초에 발생한 비정상적인 경제 대공황이 고려되어 -40~-50으로 나왔으며, 사계절 포트폴리오와 비교하면 유사하게 -12~-13% 로 예상하면 된다.

 

이 두가지 포트폴리오만으로도 충분히 초보 투자자들은 오랜시간 함께할수 있는 포트폴리오라고 볼수있다.

 

'책돌아보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책리뷰] 사경인의 친절한 투자 과외(1)  (0) 2022.06.17

by Jeewon

2022.2.11.

 

가치주와 성장주

 

가치주와 성장주 오랜 논쟁이다. 어떤게 투자 옳은지, 각자 취향에 따라 다를수도 있고, 경제상 금리, 위기등 각종 변수에 따라 희비가 엇갈릴수 있다. 그렇다면 각각이 어떻게 다른지 확인해보자

 

가치있는게 가치주 ?

한마디로 말해 실제 기업이 가지고 있는 값보다 저평가되어 있는 주식 말한다.

 

실제 기업이 가지고 있는 값이라고 하면 기업의 실제 가치, 자산(부동산, 실적, 현금) 등의 합산이 현재 주식값의 총액  시총가 보다 많을 경우 가치주라고 부른다.

 

그래서, 가치주는 가지고 있는 내재가치 때문에 경기가 좋을때 보다 경기 침체기나 경기 회복 초기에 가치주를 선호한다.

 

보통 가치주는 장기 투자를 할때 싼가격에 사서 제가격이나 비싼가격에 판다 생각으로 보유하게 된다.

하지만, 경기활성화될때 경기 활황 일때는 원하는 만큼 성장을 기대하기 힘들어 상대적으로 가치주에 대한 투자를 보류하는 경향이 있다

 

하지만, 경기 불황기나 경기 이제 막 회복할때는 가치주에 상대적으로 주목하게 된다.

 

항상 빠른 성과를 주는 성장주

 

성장주에 대한 정의는 솔직히 한마디로 얘기하기 힘들다.

그래도 굳이 정리하자면, 미래의 가치를 생각해 현재의 가치가 저평가 되어 있다고 믿는 주식이다. 다시 말하면, 미래에 탁월한 수익률을 기대할 있는 주식이다.

 

성장주는 시장의 심리 따라 투자 환경이 달라진다.

경기가 활황이고 누구나 시장이 좋다고 판단할때많은 투자자들은 미래의 가치를 보고서 주식에 투자하게 된다.

 

그래서 상대적으로 성장주가 주식시장이 활성화될때 많은 자금이 몰려든다.

 

짧은 투자기간 동안 높은 성과로 많은 투자가 몰리게 된다성장주 투자를 위해서는 현재 경제의 금리가 충분히 낮은지, 지속적으로 낮은 금리를 유지하는지, 현재 트렌드  어떻게 되는지에 대해 충분한 관찰을 살펴봐야 한다.

 

  가치주와 성장주 비교

 


가치주 성장주
의미 현재가치 < 실제가치(자산,실적)


저평가 우량주/자산가치 우량주
현제가치 < 미래 수익율
고평가/ 성장률 높은 수익
특징 펀더멘털우수, 장기 안정적수익 고수익/고위험, 시장트렌드
업종 금융,에너지,화학,철강,기간산업 IT, 전기차, 신재생에너지, 바이오
투자 시기 상대적인 고금리
/불황기~경기회복 초기
저금리
경기 회복이후
금리 영향 적음 민감
참고지표 러셀1000 가치주 지수 러셀1000성장주 지수

by Jeewon

2022.02.06.

 

주식투자를 위해 많은 것을 알아야 한다.  그중 기본은 기업분석이라고 할수 있다.

어떤 종목/기업을 투자하기 위해서는 기업에 대해서 알아야 하는것이 기본이다.

 

그 기업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는것을 기업분석이라고 할수 있으며, 기업분석은 많은 시간과 지식을 필요로 한다.

하지만, 이미 기업들에 대해 많은 정보들을 인터넷을 통해 알수 있으며, 간단히 알아볼수 있는 방법을 

소개하고자 합니다.

 

우선, 투자하고자 하는 기업에 대해서, 네이버금융다음금융에서 검색해볼수 있습니다.

네이버금융  : https://finance.naver.com/

 

네이버 금융

국내 해외 증시 지수, 시장지표, 뉴스, 증권사 리서치 등 제공

finance.naver.com

다음금융 : https://finance.daum.net/

 

Daum 금융

 

finance.daum.net

네이버 금융에서 간단히 검색해보겠습니다. 네이버 금융에서 한국의 대표 기업 삼성전자를 검색해봅니다

 

 

기본 종목 화면에서 시가총액은 확인할수 있으며 상세정보는 종목분석을 확인하며, 현재 재무현황을 확인할수 있습니다.

종목분석 화면에서는 아래 정보들을 볼수 있습니다.

 - 기업분류

 - 거래량

 - 시가총액

 - 수익율

 - 외국인지분율

 - 기업개요

 

재무분석 항목을 통해 아래 내용을 조회해볼수 있다

- 매출액

- 순이익

- 영업이익

 

여기까지가 일단, 기본항목이라고 할수 있다. 

다음편에서는 좀더 상세한 항목으로 기업의 견실함을 좀더 알아보도록한다.

by Jeewon

2022.01.31.

ETF란 ?

 

ETF(Exchanged Traded Fund)는 특정 지수의 성과를 추적하도록 자동화 하여 해당하는 펀드를 거래소에 상장시켜 주식처럼 거래할 수 있게 한 펀드를 말합니다. 그래서 상장지수펀드라고 부르며, 인덱스 펀드와 주식 거래의 장점을 모두 갖추도록 설계한 상품입니다. 

 

ETF 투자를 해야 하는 이유

 

개별 펀드 매니저의 역량에 의존하지 않고 따르는 기초지수에 대한 투자가 자동화 되어 있습니다.

 

ETF종류에 따라 추종하는 기초지수는 종류가 많으며, 대표적인 것으로 국내의 경우 국내 주식시장의 KOSPI시장에 상장된 종목중 상위 200종목을 기초지수로 하는 KOSPI 200지수를 추종하는 상품이 대표 적인 ETF이며,  KODEX200, TIGER200, KBSTAR200 등이 있습니다. 그리고, 특정 산업군에 투자하는 IT, 금융, 바이오, 헬스등에 투자하는 ETF등도 있습니다. 또한, 특정 금, 석유, 은, 구리 등 원자재에 투자하는 ETF, 채권에 투자하는 ETF등 종류는 다양하며, 해당 종목군에 자동으로 매매하며, 해당 기초지수를 따라가도록 되어 있습니다. 그래서, 일반 펀드처럼 주관적인 판단에 따르지 않고 현재 시장의 추세를 자연스럽게 따라간다고 보면 됩니다. 

 

일반 주식형 펀드 보다 운용보수가 낮습니다.

 

매니저가 특별히 관리하는것이 아니여서, 시스템적으로 자동으로 운용되므로 일반 펀드에 비해 상대적으로 운용비가 적게 들며, 특별한 시황분석등이 필요하지 않습니다. 일반 펀드처럼 매니저나 특정팀이 운영하지 않으며, 시스템적으로 자동으로 운용되어, 운용보수가 상대적 저렴 합니다. 그래서, 장기적인 투자 관점에서 수수료가 적게 든다고 볼수있습니다.

 

일반 펀드 대비 투자비용이 낮아, 소액으로 투자가능합니다.

 

일반 펀드는 일정규모 이상의 투자나, 이익을 가져가기 위해 가입시 펀드 종류에 따라 최소 가입금액, 최소투자 금액등 여러조건이 있을 수 있습니다. 그러나, ETF에는 주식시장에 상장된 주식과 동일하게 매매 되므로 개별주식에 투자하는것처럼 개인이 직접 소액으로 매매가 가능합니다. 

 

일반 주식처럼 거래가능하므로 원하는 시점에 원하는 수량만큼 매매 가능합니다.

 

또한 ETF는 주식으로 상장되어 있으므로 주식과 마찬가지로, ETF 종목의 시장 참여자들의 공급과 수요에 따라 언제나 시장에서, 원하는 만큼 매수, 매도를 할수있습니다. 

 

1주만 매수해도 지수를 구성하는 모든 종목에 투자하는것과 유사한 효과를 낼수 있습니다.

 

ETF의 가장 큰 장점은 ETF 주식자체가 지수를 추종하는 상품이므로, 1주를 사더라도 ETF가 추종하는 지수를 구성하는 모든 종목에 투자하는것과 동일한 효과를 가집니다. 예를 들어 KODEX 200을 1주만 사더라도 KOSPI 시장에 상장된 상위 200종목을 비율에 따라 투자하는것입니다.

 

ETF의 구성종목, 보유비중, 보유수량, 가격이 실시간으로 공개 됩니다.

 

펀드는 분기별 결산, 혹은 연말결산등 특정 시점에 결산보고서를 통해 투자 종목, 투자금액, 비율 , 자산 총액등을 알수 있지만, ETF는 시장에 상장되어 있으므로 실시간으로 현재가, 자산총액, 현재 투자 종목, 매매 규모를 실시간으로 확인가능하며, 현재 개인이 매매 규모나 전략을 짜기에 적당합니다. 

 

다양한 종류의 상품이 있습니다.

 

앞서 얘기한것 과 같이 ETF는 정말 다양한 종류가 상장되어 있어, 본인이 투자하고 싶은 분야에 골라서 투자 할수 있습니다.

 

추종 지수 대표 상품 상세 설명
국내 시장지수 KODEX 200
TIGER 200
KODEX MSCI Korea TR
TIGER MSCI Korea TR
KBSTAR 200
주식시장의 상장 지수를 추종하는 상품
 예)  KOSPI200, KOSDAQ150, MSCI지수등
국내 업종/테마 KODEX 삼성그룹
TIGER 2차전지테마
KODEX 2차전지산업
TIGER TOP10
TIGER 200IT
특정 섹터, 산업군, 테마에 투자하는 상품
 예) 삼성그룹, 2차전지산업, 자동차, IT, 메타버스, 은행, 반도체등
국내 파생 상품 KODEX 200선물인버스2X
KODEX 레버리지
KODEX 인버스
KODEX 코스닥150레버리지
KODEX 코스닥150선물인버스
선물과 같은 파생상품이나, 인버스상품에 투자하는 상품
해외 주식 TIGER 차이나전기차SOLACTIVE
TIGER 미국나스닥100
TIGER 미국 S&P500
TIGER 미국테크TOP10INDXX
TIGER 미국필라델피아반도체
해외 주식시장 지수나, 산업군에 투자하는 상품
예) 중국전기차, 미국S&P, 미국나스닥, 선진국MSCI지수, 베트남등
원자재 KODEX 골드선물(H)
KODEX WTI원유선물(H)
KODEX 은선물(H)
TIGER 원유선물Enhanced(H)
TIGER 농산물선물Enhance(H)
원재재에 투자하는 상품
예) 골드, 원유, 은, 농산물, 구리, 은, 팔라듐 등
채권 KODEX 단기채권
KODEX 종합채권(AA-이상)액
TIGER 단기통안채
KODEX 단기채권PLUS
KBSTAR 단기통안채
채권에 투자하는 상품
예)  국고채, 기업채권, 물가연동채 등
기타 TIGER CD금리투자(합성)
TIGER 미국MSCI리츠(합성H)
KODEX TRF3070
KODEX 미국달서선물
TIGER KIS부동산인프라채권TR
리츠, 포트폴리오구성, 배당주 등에 투자하는 상품

 

ETF는 정말 좋은점 밖에 없을까요?

 

ETF는 위에 열거된 여러장점도 있지만, 상품자체의 자산총액규모에 따라 원활한 매매의 제한이 있을 수 있습니다. 또한 여러종목에 분산투자하는 측면이 있으므로, 집중적인 투자를 통해 단기간 고수익과는 거리가 멀며, 장기간에 걸쳐 꾸준한 수익을 목표로 해야 합니다. 하지만, 원자재, 선물등에 투자하는 상품은 접근성이 좋지만, 쉽게 수익을 내기는 어렵다고 볼수있습니다

그래서, ETF투자할때는 일정규모 이상, 가급적 시장에 투자할수있는 상품위주로 투자하는것이 좋다고 볼수있습니다.

'투자이야기 > ETF' 카테고리의 다른 글

[S&P500] 국내상장 S&P500 ETF 비교  (0) 2022.03.11
[고배당ETF] 국내 고배당 ETF  (0) 2022.02.26
[달러]국내상장 달러 ETF  (0) 2022.01.14
[ETF] 코스피(KOSPI) ETF  (0) 2022.01.13
[ETF] 메타버스 ETF - 미국편  (0) 2022.01.06

+ Recent posts